목차
서문 = 3
Preface to the Korean Translation = 7
『문법과 개념화』의 출판에 부쳐 = 9
옮긴이의 말 = 11
제1장 절 구조
1. 인지문법의 기초 = 26
1.1. 인지 능력 = 27
1.2. 어휘의미 = 30
1.3. 어휘 부류들 = 37
1.4. 상징적 복잡성 = 43
1.5. 문법에로의 확대 = 51
2. 절 구조에의 적용 = 58
2.1. 개념적 원조 = 59
2.2. 문법관계들 = 64
2.3. 격표지 부여 = 75
2.4. 유표적 부호화 = 82
3. 결론 = 89
제2장 기술적 구조물들의 증거
1. '보이지 않는 의미' 구조물들 = 93
2. 범위 = 96
3. 수색 영역 = 102
4. 활성역 = 114
5. 무대 대 참여자 = 122
6. 의미론과 문법 = 127
제3장 of의 의미
1. 유의미성의 문제 = 129
2. 보어 대 수식어 = 135
3. 우회적 어법으로서의 명사화 = 143
4. 결론 = 151
제4장 활용에 바탕을 둔 역동적 모형
1. 활용에 바탕을 둔 개념 = 153
2. 심리적 현상 = 156
3. 해석 처리 = 159
4. 기본적인 언어 문제들 = 163
4.1. 활용사건들의 범주화 = 164
4.2. 범주화 구조들의 선택 = 170
4.3. 범주화 대 구성 = 175
4.4. 합성 = 178
4.5. 규칙성 정도 = 183
4.6. 분포 = 188
5. 구조적 적용들 = 194
5.1. 어휘부와 문법 = 194
5.2. 어휘 의미론 = 198
5.3. 음운론 = 203
5.4. 형태론 = 207
5.5. 형태음소론 = 213
5.6. 더 큰 조립품 = 216
6. 마지막 문제 = 221
제5장 개념적 무리짓기와 구성순서
1. 구성순서와 문법 관계들 = 228
2. 조립품 대 벽돌 = 233
3. 개념적 무리 짓기 = 240
4. 발생적 개체들로서의 성분요소들 = 245
5. 무리 짓기와 상징적 결합 = 252
6. 결론 = 259
제6장 참조점 구문
1. 기본적인 인지적 가정들 = 261
2. 참조점 = 264
3. 소유 표현들 = 266
3.1. 특징규명 = 267
3.2. 소유 요소들 = 273
3.3. 추가적 쓰임들 = 278
4. 추가적인 참조점 현상 = 284
4.1. 유사 소유구분 = 284
4.2. 비소유 구문 = 291
4.3. 환유 = 299
5. 결론 = 303
제7장 인지와 문법에서의 관찰
1. 관찰 = 308
2. 해석 = 312
3. 보어 대 수식어 = 322
4. 영어 시제와 상 = 330
4.1. 단상화 서술 = 331
4.2. 시제와 상 = 336
4.3. 진행형 구문 = 343
5. 종속 관계 = 347
6. 조응 현상 = 354
6.1. 대명사와 참조점 = 354
6.2. 대명사-선행사 형상 = 362
7. 결론 = 371
제8장 총칭 구문
1. 상위 개체 = 374
2. 복수 총칭 = 376
3. 양화사 구문 = 383
제9장 무리짓기와 대명사 조응어
1. 상호작용과 문법, 담화 = 391
1.1. 절충과 맥락적 이해 = 392
1.2. 현재 담화공간의 증대 = 396
1.3. 합성 개념의 역할 = 399
2. 공간과 장, 무리짓기 = 402
2.1. 공간과 구성순서 = 403
2.2. 유형장 = 404
2.3. 실례장 = 410
3. 선행성과 무리짓기 = 416
3.1. 영향권의 역할 = 416
3.2. 틀린 시간에 틀린 공간 내에서 = 421
4. 선행사와 참조점 = 425
4.1. 단상화 양화사들을 가진 조응어 = 425
4.2. 양화사 범위 = 433
4.3. 유형 명세사항과 '소루성 일치' = 437
5. 결론 = 442
제10장 주관화와 문법화
1. 주관화와 약화, 투명성 = 443
1.1. 주관화의 본성 = 444
1.2. 약화의 차원과 정도 = 447
1.3. 약화와 투명성 = 451
2. 문법화 = 458
2.1. have의 쓰임 = 458
2.2. 영어의 양상조동사 = 460
2.3. 스페인어 estar = 463
2.4. get-수동태 = 467
3. 결론 = 471
제11장 인상과 투명성
1. 앞선 기술들 = 473
1.1. 고전적 인상분석 = 474
1.2. 고전적 분석의 비판 = 479
2. 논리적 문법 관계 = 487
2.1. 잘못된 논증 = 488
2.2. 다의성의 경우 = 490
2.3. 활성역 분석 = 494
3. 복합구문 = 497
4. 인상구문의 일반적인 성질 = 503
4.1. 문법 관계 = 503
4.2. 의미적 부등성 = 505
4.3. 보문절의 임의성 = 508
4.4. 투명성 = 511
4.5. 숙어와 통사적 '허사들' = 513
5. 인상구문의 구체적 성질 = 519
5.1. 주어에서 목적어로의 인상 = 520
5.2. 주어에서 주어로의 인상 = 522
5.3. 목적어에서 주어로의 인상 = 526
6. 최종 문제들 = 534
제12장 역동적 개념화
1. 앞선 적용 = 542
2. 통일 = 547
3. 절 구조로 돌아와서 = 555
4. 앞으로의 전망 = 564
참고문헌 = 567
찾아보기 =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