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통사론의 이해 2 판

현대 통사론의 이해 2 판 (1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우윤식
서명 / 저자사항
현대 통사론의 이해 =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yntax / 우윤식 저.
판사항
2 판
발행사항
부산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2001.  
형태사항
417 p. ; 23 cm.
ISBN
8983121327
서지주기
색인 및 참고문헌(p.393-398) 수록
비통제주제어
통사론, 구문론 , Syntax.,,
000 00711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68515
005 20100807095114
007 ta
008 020320s2001 bnk b FA 001a kor
020 ▼a 8983121327 ▼g 93700 : ▼c \12000
035 ▼a KRIC08120483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9836 ▼f 개가 ▼l 111209837 ▼f 개가
082 0 4 ▼a 415 ▼2 21
090 ▼a 415 ▼b 2001d
100 1 ▼a 우윤식
245 1 0 ▼a 현대 통사론의 이해 = ▼x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yntax / ▼d 우윤식 저.
250 ▼a 2 판
260 ▼a 부산 : ▼b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c 2001.
300 ▼a 417 p. ; ▼c 23 cm.
504 ▼a 색인 및 참고문헌(p.393-398) 수록
653 ▼a 통사론 ▼a 구문론 ▼a Syntax.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112098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112098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511264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511264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112098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112098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511264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1d 등록번호 1511264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우윤식(지은이)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언어학과 교수, 한국스칸나비아어학회 감사, 한국언어학회 회장을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언어와 인간생활>, <현대통사이론의 이해>등의 다수의 책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Preliminaries) : 문법이론의 변천과 발달 = 13
 제1장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 = 14
  1.1 규범문법(Prescriptive Grammar)과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 = 15
  1.2 전통문법의 문제점(Problems of Traditional Grammar) = 18
  1.3 전통문법의 공헌 = 21
 제2장 역사비교언어학(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 23
  2.1 존스 경의 산스크리트어 발견 = 23
  2.2 그림 법칙(Crimm's Law) = 25
  2.3 베르너의 법칙(Verner's Law) = 26
  2.4 비교방법과 재구(The Comparative Method and Reconstruction) = 27
 제3장 구조 문법(Structural Grammar) = 29
  3.1 Saussure(1857∼1913) = 30
  3.2 Saussure와 구조 문법(Structural Grammar) = 31
  3.3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 = 34
  3.4 Bloomfield이후의 구조주의 언어학 = 36
  3.5 구조주의 문법의 문제점(Problems of Structural Grammar) = 38
 제4장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 42
  4.1 「통사구조론」 (Syntactic Structure)과 변형생성문법의 시작 = 43
  4.2 「통사이론의 제 양상」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 1965)과 표준이론(Standard Theory) = 46
  4.3 생성문법의 수정과 발전 = 52
  4.4 생성문법의 특징 = 54
 제5장 언어능력과 통사론(Linguistic Faculty and Syntax) = 57
  5.1 화용적 언어능력(Pragmatic Competence) = 59
  5.2 문법적 언어능력(Grammatical Competence) = 60
   5.2.1 음운적 언어능력(Phonological Competence) = 61
   5.2.2 형태적 언어능력(Morphological Competence) = 63
   5.2.3 의미적 언어능력(Semantic Competence) = 64
   5.2.4 통사적 언어능력(Syntactic Competence) = 65
  5.3 언어능력의 창조성(Creativity of Linguistic Competence) = 70
  5.4 언어학 : 언어능력의 탐구 = 74
  5.5 통사론(Syntax) = 75
  5.6 범주 기초 통사론(Category-based Syntax) = 77
제2부 규칙 중심의 통사론 = 81
 제6장 문법 범주(Grammatical Category)와 구절구조규칙(Phrase Structure Rules) = 82
  6.1 문법 범주(Grammatical Category) = 83
  6.2 구성성분 구조(Constituent Structure) = 90
  6.3 구절구조 규칙(Phrase Structure Rules) = 97
  6.4 문법 범주(Ⅱ) = 101
  6.5 구절표시(Phrase-marker) = 107
  6.6 어휘 삽입 규칙(Lexical Insertion Rule) = 113
 제7장 단문 변형(Simple Transformations) = 116
  7.1 심층구조(Deep Structure)와 표층구조(Surface Structure) = 117
  7.2 변형규칙(Transformational Rules) = 121
   7.2.1 간접목적어 이동규칙(Indirect Object Movement Rule) = 122
   7.2.2 수동변형(Passive Transformation) = 125
   7.2.3 접사이동 규칙(Affix Movement Rule) = 128
   7.2.4 변형규칙의 적용순서(The Ordering of Transformation) = 132
   7.2.5 부정 변형(Not Placement) = 135
   7.2.6 부정어 축약(Negative Contraction) = 139
   7.2.7 명령 변형(Imperative Transformation) = 140
   7.2.8 의문 변형(Question Transformation) = 145
   7.2.9 DO-보조(DO-Support) = 150
 제8장 내포문 변형(Embedding Transformations) = 155
  8.1 내포문(Embedded Sentence) = 156
  8.2 명사절 변형(Noun Clause Transformation) = 161
  8.3 관계절 변형(Relative Clause Transformation) = 168
   8.3.1 제한적 관계절의 심층구조 = 170
   8.3.2 관계화 규칙(Relativization Rules) = 175
   8.3.3 동반 이동(Pied Piping)과 전치사 좌초(Preposition Stranding) = 180
 제9장 상승(Raising) = 183
  9.1 내포문과 보문소 = 183
  9.2 주어-목적어 상승(Subject-to-Object Raising) = 188
  9.3 주어-주어 상승(Subject-to-Subject Raising) = 196
제3부 70년대 통사론(The Syntax of 1970s) = 201
 제10장 확대표준이론(EST) = 202
  10.1 Katz-Postal의 의미 불 변화 가설과 변형 = 202
  10.2 표준이론의 문제점(Problems of Standard Theory) = 203
  10.3 생성의미론과 해석의미론 = 205
  10.4 확대표준이론(Extendard Standed Theory : EST) = 208
 제11장 통사 제약(Syntactic Constraints) = 214
  11.1 60년대의 통사 제약 = 214
   11.1.1 상위범주 우선원칙(A-over-A Principle) = 215
   11.1.2 Ross(1967)의 섬제약(Island Constraints) = 216
    1. 복합명사구 제약(Complex NP Constraint : CNPC) = 218
    2. 문장주어 제약(Sentential Subject Constraint : SSC) = 219
    3. 등위구조 제약(Coordinate Structure Constraint : CSC) = 221
    4. Wh-섬 조건(Wh-Island Condition : WHIC) = 222
  11.2 70년대 확대표준이론 하의 통사제약 = 224
   1. 하위인접 조건(Subjacency Condition : SC) = 225
   2. 시제문 조건(Tensed-S Condition : TSC) = 229
   3. 명시주어 조건(Specified Subject Condition : SSC) = 233
 제12장 수정확대표준 이론(Revised Extended Standard Theory : REST) = 237
  12.1 REST의 문법모델 = 238
  12.2 흔적이 존재한다는 증거 = 239
  12.3 수정확대 표준이론의 의미해석 = 243
  12.4 X'-이론 = 244
   12.4.1 중간범주 X'의 설정 = 245
   12.4.2 핵(Head)의 개념 = 249
   12.4.3 X'-이론과 PS-rule의 일반화 = 250
   12.4.4 REST에서의 변형규칙 = 253
 제13장 범주이동(Move-α) = 256
  13.1 NP-이동(NP-Movement) = 257
   13.1.1 NP-이동의 경험적 증거 = 258
    1. 하위범주화(Subcategorization) = 258
    2. 관용 명사구와 NP-이동(Idiom Chunk NP and NP-Movement) = 258
    3. 선택 제약(Selectional Restriction) = 259
    4. 재귀대명사화(Reflexivization)와 일치(Agreement)의 관점에서 NP-이동 = 260
   13.1.2 NP-이동의 착지(Landing Site) = 261
  13.2 WH-이동(WH-Movement) = 262
   13.2.1 WH-이동의 증거 = 263
   13.2.2 WH-이동 : 부가규칙(Adjunction Rule) = 265
  13.3 범주 이동(Move-α) = 269
   13.3.1 V 이동(V Movement) = 269
   13.3.2 I 이동(I Movement) = 271
   13.3.3 NP 이동(NP Movement) = 273
   13.3.4 의문사이동(WH Movement) = 274
   13.3.5 외치이동(extraposition) = 277
  13.4 이동규칙의 축소화 : Move-α = 277
제4부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 = 281
 제14장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의 개요 = 282
  14.1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의 이원적 문법체계 = 283
  14.2 규칙체계의 하위부문 = 284
   14.2.1 어휘부(Lexicon) = 284
   14.2.2 통사부 = 287
   14.2.3 논리형태 부문(LF Component)과 음성형태 부분(PF Component) = 291
  14.3 원리체계의 하위원리 = 292
   14.3.1 원리체계의 하위원리 = 293
   14.3.2 의미역 이론(θ-Theory) = 295
 제15장 지배이론(Government Theory) = 301
  15.1 지배의 정의(Definition of Government) = 301
  15.2 성분통어의 개념(Notion of C-command) = 304
  15.3 지배관계의 성립 = 309
 제16장 격이론(Case Theory)과 통제이론(Control Theory) = 314
  16.1 격이론(Case Theory) = 314
   16.1.1 격여과(Case Filter)와 격할당(Case Assignment) = 315
   16.1.2 격할당 조건(Conditions on Case Assignment) = 317
   16.1.3 구조격(Structural Case)와 고유격(Inherent Case) = 321
   16.1.4 예외적 격표시(Exceptional Case-marking) = 324
  16.2 통제 이론(Control Theory) = 327
   16.2.1 PRO설정의 동기(Motivation for PRO) = 327
   16.2.2 PRO의 분포(Distribution of PRO) = 329
   16.2.3 PRO의 통제(Control of PRO) = 331
   16.2.4 통제자와 PRO의 구조관계(Structural Relation between Controller and PRO) = 332
 제17장 결속이론(Binding Theory) = 334
  17.1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전의 결속조건 = 334
  17.2 Chomsky(1981)의 결속 이론(Binding Theory) = 338
  17.3 접근가능 대주어(Accessible SUBJECT) = 341
  17.4 Huang(1982)의 지배범주 = 346
 제18장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 = 348
  18.1 공범주(Empty Category)의 특성 = 348
   18.1.1 공범주의 분류(Classification of Empty Categories) = 348
   18.1.2 move-α와 공범주(Empty Category) = 350
   18.1.3 흔적(Trace)과 PRO의 특성 = 353
   18.1.4 흔적과 PRO의 상보적 분포관계(Complementary Distribution) = 354
   18.1.5 NP-t와 WH-t의 상보적 분포관계 = 355
   18.1.6 공범주와 선행사 = 356
  18.2 주어/목적어 비대칭과 공범주원리(Subject/Object Asymmetry and Empty Category Priciple) = 358
  18.3 Chomsky(1981)의 고유지배(Proper Government) = 360
   18.3.1 어휘지배의 성격(The Nature of Lexical Government) = 361
   18.3.2 선행사 지배(Antecedent Government) = 361
   18.3.3 Chomsky의 ECP의 적용 범위 = 364
  18.4 Chomsky(1986)의 공범주원리 = 366
 제19장 최근의 통사론 연구 : 최소이론(Minimalist Program) = 372
  19.1 문법체계 = 373
  19.2 유인과 기능범주 = 375
  19.3 점검이론 = 379
  19.4 경제원리 = 382
  19.5 최소이론의 설명력 = 388
참고문헌 = 393
색인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