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특수아동상담

특수아동상담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동일
서명 / 저자사항
특수아동상담 / 김동일...[등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2.  
형태사항
468 p. ; 27 cm.
기타표제
Counsel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SBN
8975486591
일반주기
부록: 미국상담학회 실천규범  
공저자 : 김계현, 김병석, 김봉환, 김창대, 김혜숙 신종호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000 00767c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67648
005 20100807094001
007 ta
008 020107s2002 ulk 001d kor
020 ▼a 8975486591 ▼g 93180 : ▼c \17000
035 ▼a KRIC08101930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10553 ▼f 개가 ▼l 111210554 ▼f 개가
082 0 4 ▼a 618.928914 ▼a 371.9 ▼2 21
090 ▼a 618.928914 ▼b 2002
245 0 0 ▼a 특수아동상담 / ▼d 김동일...[등저].
246 0 3 ▼a Counsel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2.
300 ▼a 468 p. ; ▼c 27 cm.
500 ▼a 부록: 미국상담학회 실천규범
500 ▼a 공저자 : 김계현, 김병석, 김봉환, 김창대, 김혜숙 신종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700 1 ▼a 김동일 ▼0 AUTH(211009)12109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4 2002 등록번호 1112105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4 2002 등록번호 1112105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4 2002 등록번호 1113070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동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 특수교육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Research Associate,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서울대 사범대 기획실장, 국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BK21 미래교육디자인연구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수준의 인터넷중독 척도와 개입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역기능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로 행정안전부 장관표창 및 연구논문/저서의 우수성으로 교육부 학술상(상장 20-1075),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과 학지사 저술상(2012)을 수상하였다. 현재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연구사업단 단장,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연구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지능이란 무엇인가』,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청소년 상담학 개론』을 비롯하여 50여 권의 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등재 전문학술논문(SSCI/KCI)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를 포함하여 30여 개의 표준화 검사를 개발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특수아동상담의 기초
 제1장 특수아동과 상담 : 서설 = 11
  1. 상담의 정의 = 12
  2. 심리치료인가? 상담인가? = 20
  3. 특수아동 = 23
  4. 특수아동상담 = 26
 제2장 특수교육과 특수아동 = 35
  1. 특수교육 전달체계 = 36
  2. 특수교육 관련법 = 39
  3. 특수교육 대상자 = 41
  4. 통합교육 = 48
 제3장 상담이론 : 변화를 위한 전략 = 53
  1. 상담 목적으로서의 변화 = 54
  2. 상담과 변화의 내용 = 57
  3. 변화의 가정과 상담의 전략 = 65
  4. 변화의 통합과 유지 = 76
제2부 영역별 상담전략
 제4장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상담 = 83
  1. 들어가는 말 = 84
  2.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 = 85
  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이해 = 88
  4.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출현율 = 93
  5.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특징 = 94
  6.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상담 = 102
  7. 마치는 말 = 112
 제5장 정신지체 및 발달장애 상담 = 119
  1. 들어가는 말 = 120
  2. 정신지체에 대한 이해 = 121
  3. 전반적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 = 136
  4. 정신지체 및 발달장애 상담 = 142
  5. 마치는 말 = 147
 제6장 정서 및 행동장애 = 153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 154
  2.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 156
  3. 정서·행동장애의 원인 = 157
  4. 정서·행동장애의 평가 = 160
  5. 정서·행동장애아동의 특성 = 161
  6. 정서·행동장애아동 교육 = 166
  7. 정서·행동장애아동 상담 = 172
 제7장 감각장애, 신체장애, 의사소통장애 상담 = 177
  1. 들어가는 말 = 178
  2. 시각장애아동 상담 = 178
  3. 청각장애아동 상담 = 185
  4. 신체장애아동 상담 = 191
  5. 의사소통장애아동 상담 = 198
  6. 마치는 말 = 206
 제8장 영재아동 = 209
  1. 들어가는 말 = 210
  2. 영재아동에 대한 이해 = 210
  3. 영재아동의 출현율 = 214
  4. 영재성의 원인 = 216
  5. 영재아동의 특징 = 217
  6. 영재아동과 관련된 문제와 상담 = 223
  7. 마치는 말 = 231
제3부 특수아동상담의 다양성
 제9장 특수아동 가족을 위한 상담 = 237
  1. 특수아동 가족의 이해 = 238
  2. 특수아동 가족의 변화 돕기 = 246
 제10장 교사를 위한 자문 = 265
  1. 자문 관계의 특성 = 266
  2. 교사를 위한 자문의 영역 = 268
 제11장 진단과 평가 = 281
  1. 진단 및 평가의 목적 = 282
  2. 진단 및 평가의 기능과 제한점 = 283
  3. 진단 및 평가의 유형과 절차 = 284
  4. 검사 및 평가 관련 통계학적 기초개념 = 291
  5. 진단 및 평가도구의 선정 = 299
  6. 아동의 주요 장애유형별 진단 및 평가 = 300
  7. 특수아동 진단 및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 : 역동적 진단평가 = 308
  8. 마치는 말 = 312
  부록 = 315
 제12장 전환교육 = 329
  1. 전환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 330
  2. 전환교육의 전제조건과 원리 = 334
  3. 전환교육의 내용 = 339
  4. 전환교육의 실제 = 343
제4부 특수아동상담의 실제
 제13장 상담사례 = 355
  1. 주의력결핍아동에 대한 상담사례 = 356
  2. 정신지체 청소년에 대한 놀이치료사례 = 366
  3. 장애인에 대한 재활 상담사례 = 382
 제14장 웹기반 상담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상담 = 393
  1. 들어가는 말 = 394
  2. 웹기반 상담의 특성 = 395
  3. 웹기반 상담의 이해와 전략 = 399
  4. 웹기반 상담의 유형 = 404
  5. 웹기반 상담 서비스의 탐색 : 예시와 평가 = 406
  6. 웹기반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 410
 제15장 BASA :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계 = 417
  1. 들어가는 말 = 418
  2. 읽기 능력의 개념과 발달 = 419
  3. BASA의 구조 = 427
  4. BASA의 적용 = 431
 제16장 특수아동상담의 유의점 : 상담자의 윤리, 교사와의 협력관계 = 441
  1. 들어가는 말 = 442
  2. 특수아동상담에서의 상담자 윤리 = 442
  3. 교사와의 협력관계 = 452
  4. 마치는 말 = 453
  부록 = 456
찾아보기 = 46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