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 8
제1장 자본주의 발전과정(기원전 3세기∼1970년대)
자유무역에 의한 자본주의의 태동 = 14
노예무역이 부의 근원적 축적 = 15
생산수단의 소유 집중화 = 17
소수의 선택된 인간만이 생산수단을 소유 = 19
자본주의의 망령 '공항' = 21
자본주의 최고단계 '제국주의' = 23
고전적인 자본주의 종말 - 케인즈주의 수용 = 26
위기의 탈출 - 신자유주의 패러다임 등장 = 29
제2장 사회주의 발전과정(1500년대∼1970년대)
초기 사회주의의 출발 = 32
사회주의 사상의 정수 = 34
제1사회주의 인터내셔날 = 37
제1인터내셔날의 창립 = 39
개량주의의 영향력 강화 = 40
제2사회주의 인터내셔날 = 41
마르크스주의를 배신한 제2인터내셔날 = 42
제2인터내셔날의 붕괴 = 44
제3인터내셔날의 결성 = 45
푸랑크푸르트 선언 - 온건사회주의의 길 = 48
제3장 글로벌 자본주의의 형성과 전개(1980년대∼2000년)
글로벌 자본주의의 형성 = 52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대의 도래 = 54
미국식 자본주의의 확대 = 56
미국식 시장주의의 문제점 = 59
글로벌 자본주의의 전개 = 61
추방되는 대중자본주의 = 63
글로벌 자본주의에 도전받는 인류 = 66
국가로부터 자립을 요구하는 시장과 시민사회 = 70
글로벌라이제이션 진행 하의 세계적 트랜드 = 71
제4장 사회주의의 새로운 길(1980년대∼2000년)
유럽의 중도좌파 이념 = 76
영국은 왜 중도좌파라고 하지 않는가? = 77
사회민주주의의 재정의 = 79
국가와 사회민주주의 = 81
정치적인 3가지 쟁점 = 84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항하는 유럽의 중도좌파 = 87
중도좌파의 대항 = 88
미 달러에 대항하는 EURO = 92
유럽의 중도좌파 정권 = 96
이탈리아 = 96
장기정권의 붕괴 = 98
영국 - 신노동당의 탄생 = 99
불평등을 확대시킨 신자유주의 = 101
프랑스 - 싸이클화 된 보혁 공동정권 = 103
보혁 공동정권의 탄생 = 104
스웨덴 - 중도좌파의 선구 = 106
자유선택 사회 = 107
독일 - 적록연합 = 108
새로운 중도 = 109
제5장 자본주의의 신선언 - 세계화의 길
MAI의 실체를 해부한다 = 114
MAI는 무엇인가 = 115
극비밀리에의 교섭 = 116
투자 권리에의 철저한 보호 = 117
유치국 정부의 의무 = 119
개도국 개발에의 악영향 = 121
국가 기능의 대폭적인 소멸 = 122
예외 규정은 독약을 넣은 빵 = 123
MAI의 전망 = 124
대처주의의 종말 = 127
신념의 복합체 대처 = 129
불평등을 확대시킨 보수당 정권 = 131
현대화한 토니 블레어 노동당 = 133
끝없는 전쟁 - 서양과 동양의 충돌 = 136
쿠웨이트 침공과 종전 = 138
위기의 원인 = 139
이라크의 불만 원인 = 141
열강의 로비국화된 이라크 = 143
이라크의 도박 = 144
분쟁의 주체는 누구와 누구인가? = 145
법적 정당성은 충분한가? = 146
압력의 진의 = 149
장기적 대 이라크 정책을 결여한 미국 = 150
민주화 지원이 바로 유엔의 역할 = 152
제6장 사회주의 신선언 - 자주화의 길
토니 블레어의 리더쉽 - 제3의길 = 156
무엇이 블레어니즘인가? = 159
두 낫 패닉(DO NOT PANIC) = 161
쿨(Cool)한 영국건설 = 163
새로운 바이블 = 165
영국요리는 맛이 좋지 않다 = 167
뉴 베오그라드 선언 = 171
북미관계의 전망 = 172
한반도 통일방안 = 173
사회주의 민중협의회 구성에 즈음하여 = 176
메이데이 100주년에 부치는 글 = 182
가을에 만난 사람 - SI 의장 빌리 브란트 = 185
하나의 죽음 그리고 사회주의 = 188
진정한 소셜리즘이란 무엇인가 ? = 192
경부선 종착역 그곳에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있다 = 196
제7장 일본의 진실과 동북아 외교과제
재고되어야 할 한·일 조약 = 202
미국의 전략적 요구 = 202
한·일·미의 국내 상황 = 203
한·일 조약의 체결 = 205
한·일 조약의 핵심 기본 조약 = 206
일본은 진심을 말하고 있다 = 208
악명높은 731부대를 고발한다 = 212
새로운 일-러 관계와 동북아의 외교과제 = 215
일-러 관계의 시작 = 216
국교 수립 후의 평화의 시대(1855∼1904년) = 217
전쟁의 시대(1904∼1945년) = 218
대립과 긴장의 시대(1945년∼1990년대 초) = 219
신시대의 변화와 그 동인 = 220
포스트 냉전의 구미 = 224
포스트 냉전의 동북아시아 = 226
동북아의 외교과제 = 228
제8장 권력구조 개편론
대통령제냐 내각책임제냐 = 234
국내 정치를 규정해 온 구조적 요인 = 234
80년대 이후 국내정치의 변화 = 235
세대 교체론과 내각제 논의 = 238
2김 후퇴론과 세대 교체론 = 243
DJ의 지역 등권주의와 세대 교체론 = 245
정치 기반의 협소화 - 지역주의의 역류 = 247
권력구조 개편을 전제로 한 DJP 연합 = 249
DJP합의에 의한 권력 구조 개편은 실현 가능할 것인가?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