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Ⅰ. 언어의 발생 = 13
1. 언어와 인간 = 13
2. 자연 발생론 = 16
1) 유희설 = 17
2) 모방설 = 18
3) 먹이설 = 18
3. 신성론 = 19
Ⅱ. 언어습득 이론 = 21
1. 언어습득 연구 = 21
1) 고전주의 언어습득 = 23
2) 생득주의 언어습득 = 33
3) 인지주의 언어습득 = 37
4) 인지발달과 언어발달 = 42
2. 언어와 사고 = 44
3. 언어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47
1) 개인적인 요인 = 48
2) 사회적 요인 = 50
Ⅲ. 감각·지각의 발달과 언어습득·발달 = 53
1. 감각발달 = 53
1) 청각 = 54
2) 시각 = 56
2. 지각발달 = 59
1) 공간지각 = 61
2) 방향지각 = 62
3) 형태지각 = 63
4) 색의 지각 = 63
5) 시간지각 = 63
6) 통합지각 = 64
3. 연령에 따른 언어습득과 발달의 단계 = 64
1) 언어 이해 = 65
2) 언어습득(의사소통)의 기본 단계 = 66
Ⅳ. 청취력의 습득과 발달 = 73
1. 청각기관 = 73
2. 청각의 발달 = 74
Ⅴ. 음운의 습득과 발달 = 77
1. 발성기관 = 78
1) 호흡기관 = 78
2) 발성기관 = 79
3) 조음기관 = 79
4) 공명기관 = 80
2. 음운의 습득 = 80
1) 모음의 조음 = 86
2) 자음의 조음 = 90
3) 음절의 습득 = 95
4) 발성의 규칙화 = 99
Ⅵ.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 105
1. 언어의 수용 = 105
2. 언어의 수용과 표현 = 109
3. 어문시기에 따른 표현 = 125
1) 일어문기 = 125
2) 이어문기 = 127
3) 삼어문기 = 128
Ⅶ. 어휘의 습득과 발달 = 131
1. 어휘습득의 연구 = 131
2. 단어의 습득과 발달 = 136
1) 명사 = 137
2) 동사 = 143
3) 부사 = 144
4) 조사 = 147
3. 어휘의미의 습득과 발달 = 150
1) 복합어 = 150
2) 소유어 = 152
3) 연상어 = 153
4) 색채어 = 155
5) 경어 = 157
6) 시제어 = 160
7) 질문어 = 162
8) 양태소 = 164
4. 계열어의 습득 = 165
1) 부정과 찬성의 어휘 = 165
2) 대립어 = 166
Ⅷ. 문법의 습득과 발달 = 169
1. 어순의 습득과 발달 = 170
1) 목적어 = 170
2) 목적어 + 서술어 = 170
3) 호칭어 + 목적어 + 서술어 = 171
4) 문두에서의 부정어 = 171
5) 의미관계의 어순 = 173
2. 기본구문의 습득과 발달 = 175
1) 구문발달 = 175
2) 문접속 = 177
3) 변형문 = 179
4) 이중부정 = 180
5) 경어법 = 181
6) 취학 이후의 경어표현 = 183
Ⅸ. 화용의 습득과 발달 = 185
1. 화용습득에 필요한 기본 요소 = 186
2. 화용의 발달단계 = 187
3. 비언어적 요소의 습득 = 187
Ⅹ. 언어장애 = 189
1. 언어장애 = 189
2. 언어장애를 일으키는 요인 = 190
1) 신체발달의 지체 = 190
2) 청각장애 = 190
3) 지적능력의 지체 = 194
4) 조음기관의 장애 = 195
5) 정서장애 = 195
6) 적절하지 못한 주위환경 = 195
3. 언어장애의 분류 = 196
1) 조음장애 = 197
2) 유창성 장애 = 197
3) 기호장애(언어장애) = 198
4) 음성장애 = 199
4. 사회성 발달과 언어 = 202
1) 만 3세 전후 ∼ 유치원 입학 전 = 203
2) 유치원 ∼ 학령기 이전 = 204
3) 학령기 = 206
참고문헌 = 207
찾아보기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