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1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762035 | |
005 | 20100807084416 | |
007 | ta | |
008 | 011108s2001 ulkd 001a kor | |
020 | ▼a 8995017627 ▼g 93300 : ▼c \12000 | |
035 | ▼a KRIC08067497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9 | 1 | ▼l 111208578 ▼f 개가 ▼l 111208579 ▼f 개가 |
082 | 0 4 | ▼a 659.1 ▼2 21 |
090 | ▼a 659.1 ▼b 2001i | |
100 | 1 | ▼a 이강원 ▼g 李康遠 ▼0 AUTH(211009)89010 |
245 | 1 0 | ▼a (수리적 모형을 이용한) 광고효과와 매체계획의 이해 = ▼x Effective advertising and media planning / ▼d 이강원 ; ▼e 박원기[공저]. |
260 | ▼a 서울 : ▼b 케이에이디디 , ▼c 2001. | |
300 | ▼a 310 p. : ▼b 도표 ; ▼c 26 cm. | |
490 | 0 0 | ▼a 마케팅/광고총서 ; ▼v 3 |
500 | ▼a 부록: 변형 지수 모델과 확률 결합의 관계 외 수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원기 ▼g 朴源基 ▼0 AUTH(211009)20667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 2001i | Accession No. 1112085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 2001i | Accession No. 1112085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원기(지은이)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동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마쳤다. LG애드, m.net, Kadd 등에서 근무했고, 고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현재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광고산업, 광고매체전략, 광고효과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광고매체계획, 광고전략, 마케팅, 조사방법론 등을 강의했다. 광고매체 분야의 저서, 역서, 논문 등을 다수 발표했다. 이 책의 4∼9장을 저술했다.
이강원(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와 텍사스A&M 대학교 대학원(마케팅 석사)을 졸업하고, 텍사스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마케팅 박사과정을 마쳤다.그 후 LG애드 마케팅연구실 부국장, 실버불렛(현 피플웍스) 대표, BBDO코리아 대표 등을 역임하고 2012년 현재는 숭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마케팅, 광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이 책의 1∼3장을 저술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3 제1장 광고와 매출의 상관관계 제1절 광고의 역할과 매출과의 상관관계 = 17 1. 광고의 기능과 효과 = 17 2. 광고의 효과 = 19 3. 광고와 매출의 상관관계 = 20 제2절 광고와 매출의 관계에 관한 주요 연구 = 23 1. Clarke(1976)의 연구 = 23 2. Aaker와 Carman(1982)의 연구 = 26 3. Leone(1983)의 연구 = 28 4. Assmus, Farley, Lehmann의 메타 분석 = 30 제3절 광고와 매출의 관계 = 32 1. 반응 함수의 형태 = 33 2. 광고의 이월 효과 = 35 3. 여러 가지 반응 함수 = 38 제4절 실무에의 응용을 위한 지침 = 42 1. 접근 방법 = 42 2. 측정치의 결정 = 43 3. 자료의 간격 = 44 제5절 요약 및 결론 = 44 참고문헌 = 45 제2장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제1절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광고 정보 처리 과정 = 51 1. 커뮤니케이션 과정모형 = 51 2. 광고 정보 처리 과정 = 52 3. 광고 효과 측정의 역사 = 58 4. 반응 하이어라키 모델 = 58 5. 관여 수준의 측정 = 62 6. 태도와 행동 = 63 제2절 일본의 광고효과 측정 모델 = 64 1. DIAP mk-Ⅱ 모델 = 64 2. JDB(JNN Data Bank) 모델 = 68 제3절 모델 개발시 고려 사항 = 72 1. 분석 단위 = 72 2. 모델의 구조 = 72 3. 측정치 = 73 4. 컴퓨터 시스템 = 75 제4절 광고 효과 측정의 한계 = 75 참고문헌 = 76 제3장 광고 예산의 설정 제1절 광고비의 내용 = 81 1. 광고비의 정의 = 81 2. 광고비 세부 항목 = 81 제2절 광고예산 설정 과정 및 설정시 고려요소 = 84 1. 제품 목표 = 85 2. 제품 예산 = 86 3. 시장 상황의 변화와 예측 = 86 4. 광고의 효과 = 86 5. 기타 고려 요인 = 87 제3절 광고예산 설정의 여러 기법 = 88 1. Lynch 와 Hooley의 연구 = 88 2. 광고예산 설정의 여러 기법 = 93 제4절 요약 및 결론 = 102 참고문헌 = 103 제4장 유효빈도와 유효도달률 제1절 매체계획에 있어서 도달률과 빈도, 효율성 = 107 1. 도달률 = 107 2. GRPs와 평균빈도 = 108 3. 매체 효율성 평가 지표 = 110 제2절 유효빈도의 개념적 유래와 관련 연구 = 114 1. 유효빈도의 본질 = 114 2. 유효빈도와 반응함수 = 115 3. 유효빈도와 개념적 유래 = 116 4. 유효빈도의 개념상 문제점 = 128 5. 유효빈도와 관련한 최근 논란 = 131 6. 유효빈도의 결정 = 135 제3절 유효도달률의 개념과 적용 = 143 1. 빈도 분포 = 143 2. 유효도달률과 타임 프레임 = 146 3. Murray와 Jenkins의 연구 = 148 4. 결론 = 150 참고문헌 = 151 제5장 도달범위와 빈도의 추정 제1절 빈도분포와 누적도달률의 관계 = 157 1. 빈도분포에서 누적도달률로의 전환 = 158 2. 누적도달률에서 빈도분포로의 전환 = 161 제2절 도달률 관련 연구 = 164 1. 외국의 연구 = 164 2. 국내의 연구 = 167 제3절 BBD 모델의 수리적 구조 = 168 1. f(p)형태에 관한 가정 = 171 2. 가정된 f(p)로부터 EK N 의 유도 = 172 3. EK N 로부터 파라미터 유도 = 173 4. f(p)의 적합도 검정 = 174 제4절 BBD 모델의 적용 예 = 178 1. BBD-F 모델 = 180 2. BBD-L 모델 = 189 제5절 빈도분포의 결합 = 194 1. 확률 결합 방법 = 195 2. 비확률 결합 방법 = 199 3. 변형 지수 모델과 확률 결합의 타당성 = 205 부록1) BBD 모델에서의 EK N 유도 과정 = 207 부록2) 변형 지수 모델과 확률 결합의 관계 = 208 참고문헌 = 209 제6장 종합 매체계획 모델 제1절 종합 매체계획 모델의 개관 = 217 1. 수리계획법에 의한 모델 = 217 2. 시뮬레이션에 의한 모델 = 221 3. 휴리스틱에 의한 모델 = 221 제2절 선형계획법에 의한 매체 선택 모델 = 224 1. 선형 반응 모델 = 224 2. 비선형 반응 모델 = 227 3. 상표별 매체 비히클 할당 모델 = 231 제3절 AD-ME-SIM 모델 = 235 1. 데이터 생성 단계 = 236 2. 개인별 가중치 부여 단계 = 237 3. 매체 평가 단계 = 237 제4절 MEDIAC 모델 = 240 1. 매체·노출 수준·망각 = 241 2. 시장 반응 = 244 3. 노출 수준의 계산 = 247 4. 예산 제약식 = 251 5. 종점 효과 = 251 6. 수리적 모델의 정리 = 252 7. 휴리스틱 접근을 통한 만족해의 발견 = 252 제5절 유효도달률 모델 = 254 1. 자료의 구조 = 254 2. 모델의 구조 = 255 3. 모델 적용의 예 = 259 제6절 종합 매체계획 모델의 문제점 = 261 부록1) yit 의 유도 과정 = 262 부록2) 기간 t동안 세분 시장 i의 기대반응 E{r( yit )}의 유도 과정 = 263 참고문헌 = 265 제7장 시청률 예측에 관한 연구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71 제2절 선행 연구 = 272 제3절 모형의 구성 = 275 1. 단기시청률의 예측모형 = 276 2. 장기시청률의 예측모형 = 278 제4절 자료처리 및 연구결과 = 281 1. 단기시청률 = 281 2. 장기시청률 = 285 제5절 결론 = 294 참고문헌 = 295 색인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