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行政情報의 電子的 提供에 따른 法的 問題

行政情報의 電子的 提供에 따른 法的 問題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준현,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법제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行政情報의 電子的 提供에 따른 法的 問題 / 한국법제연구원 ; 鄭準鉉 硏究者.
발행사항
서울 :   한국법제연구원 ,   2001.  
형태사항
99 p.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2001-20
ISBN
8983234180
000 00865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761569
005 20100807083924
007 ta
008 020222s2001 ulk 000a kor
020 ▼a 8983234180 ▼g 94360 : ▼c \7000
035 ▼a KRIC08123717
040 ▼a 211059 ▼c 211059 ▼d 211009
049 1 ▼l 111211438 ▼f 개가
082 0 4 ▼a 351.0285 ▼2 21
090 ▼a 351.0285 ▼b 2001c
110 ▼a 한국법제연구원 ▼0 AUTH(211009)103645
245 1 0 ▼a 行政情報의 電子的 提供에 따른 法的 問題 / ▼d 한국법제연구원 ; ▼e 鄭準鉉 硏究者.
260 ▼a 서울 : ▼b 한국법제연구원 , ▼c 2001.
300 ▼a 99 p. ; ▼c 25 cm.
490 0 0 ▼a 연구보고 ; ▼v 2001-20
490 0 0 ▼a 디지털경제법제 ; ▼v 15
700 1 ▼a 정준현, ▼e 연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법제연구원) ▼v 2001-20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법제연구원) ▼v 15
940 ▼a 행정정보의 전자적 제공에 따른 법적 문제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285 2001c 등록번호 1112114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7
  1. 연구의 배경 = 7
  2. 연구의 필요성 = 1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2
제2장 정보화와 국가의 기능변화 = 15
 제1절 정보사회의 국가역할 = 15
  1. 정보사회와 국가기능 = 15
  2. 커뮤니케이션 국가의 전자정부화 = 18
  3. 정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국가의 헌법상 책임 = 19
  4. 정보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행정책임 = 21
 제2절 정보화에 따른 관계의 변화 = 23
  1. 행정과 국민의 인터페이스의 정보화 = 23
  2. 행정홍보의 멀티미디어화·홍보와 여론청취의 융합(대중관계의 쌍방향화) = 23
  3. 창구행정의 자동화·온라인화 = 24
  4. 정보·온 디멘드, 서비스 온 디멘드 = 24
  5. 행정서비스의 소프트웨어적 흐름 = 25
 제3절 전자정부법과 전자적 행정서비스 = 26
  1. 의의와 목적 = 26
  2. 전자적 민원처리 = 26
  3. 비방문민원처리 = 31
  4. 전자적 고지·통지 = 33
  5. 민원 구비서류의 일괄확인 및 직접 송신 처리 = 35
  6. 행정정보의 전자적 제공 = 39
  7. 사견 = 49
제3장 전자적 정보제공을 둘러싼 법적 문제 = 51
 제1절 정보화사회의 자유와 한계 = 51
  1. 미디어의 발전 = 51
  2. 미디어의 자유와 한계 = 52
  3. 정보자유와 경합가치 = 53
  4. 정보자유와 국익 = 55
  5. 규제입법과 위헌심사 = 56
 제2절 알 권리 = 58
  1. 알 권리의 법적 의의 = 58
  2. 정보화사회에서 알 권리의 위치 = 58
  3. 정보공개와 정보공유 = 59
  4. 정보공개와 프라이버시 = 61
 제3절 정보자기결정권 = 62
  1. 정보자기결정권 = 63
  2. 자기결정권과 프라이버시의 관계 = 66
  3. 자기결정의 대상이 되는 정보와 권리의 내용 = 66
 제4절 표현의 자유 = 69
  1. 표현의 자유 = 69
  2. 표현의 자유와 정보화 사회 = 70
  3. 표현의 자유와 제약원리 = 72
  4. 표현의 자유에 대한 다각적 접근 = 72
 제5절 개인화와 국가감시 = 76
  1. 개인화 = 76
  2. 개인화의 방법 = 76
  3. 개인화와 사생활 보호 = 77
  4. 사견 = 79
 제6절 익명권 = 79
  1. 익명의 의의와 문제점 = 79
  2. 익명의 필요성 = 81
  3. 사견 = 82
제4장 결론 = 85
(부록)
 국가안보와 표현의 자유 및 정보 접근에 관한 요하네스버그원칙 = 89
참고문헌 = 9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