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6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761347 | |
005 | 20100807083552 | |
007 | ta | |
008 | 020222s2002 ulka 000a kor | |
020 | ▼a 8995091657 ▼g 03300 : ▼c \8500 | |
035 | ▼a KRIC08123728 | |
040 | ▼a 211059 ▼c 211059 ▼d 211009 | |
049 | 1 | ▼l 111208688 ▼f 개가 ▼l 111214047 ▼f 개가 |
082 | 0 4 | ▼a 323.4450953 |
090 | ▼a 323.4450953 ▼b 2002 | |
245 | 0 0 | ▼a 너마저 배신하면 이민갈 거야! / ▼d 성유보...[등저]. |
260 | ▼a 서울 : ▼b 월간말 , ▼c 2002. | |
300 | ▼a 280 p. : ▼b 삽도 ; ▼c 22 cm. | |
500 | ▼a 박정희 정권의 언론탄압에 맞선 자유언론운동. | |
504 | ▼a 참고문헌수록 | |
700 | 1 | ▼a 성유보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112086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112140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211215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511245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112086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112140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211215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3.4450953 2002 | 등록번호 1511245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탄압에 맞섰던 언론자유운동의 발단과 전개, 그리고 그 의미를 알아본다. 특히 당시 동아 광고 해약 사태와 시민들의 격려광고 게재는 한국 언론사에 길이 남을 하나의 사건이었다. 이 책의 제목인 <너마저 배신하면 이민갈 거야>는 1975년 1월 18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동아! 너마저 무릎 꿇는다면 진짜로 이민갈 거야"라는 이대 S생의 격려 광고 문구에서 따온 것이다.
이 책은 유신독재 시절에 자유언론의 횃불을 치켜든 해직 언론인들의 투쟁 과정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의 위원으로 있는 여러 언론인들이 서술하고 있다. '10.24 선언'에서 '동아투위'의 결성에 이르기까지 언론인들이 겪었던 역경과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되살린다.
책의 매 페이지에는 "세배돈을 여기 드립니다 - 삼남매 막내가", "우리 모두 작은 등불을 켜자 - 한국신학대학 젊은 교수 부인들이" 등과 같은 시민들의 격려 광고를 보여주고 있다. 언론자유를 염원했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임동욱(지은이)
광주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민주언론시민연합 부이사장, 광주・전남 민주언론시민연합 상임 대표, SBS 프로덕션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레스터대학교에서 문화제국주의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한국 언론의 정치경제학》(공저), 《새로 쓰는 한국언론사》(공저), 《미디어 바로 보기》, 《세계화와 문화제국주의》, 《소통과 협력의 진화》, 《소통과 공감의 힘》, 《인간 소통 발전의 역사》, 《문화의 시대, 한중 문화 충돌》(공저) 등이 있다.
김진홍(지은이)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독일어를 전공했으며, 동 대학교 신문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6년여 동안(1969~1975) 동아일보에서 기자(문화부·편집부·사회부)로 일했으나 이른바 ‘동아투위’ 사태로 기자직을 그만둔 후 학문에 뜻을 두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신문학 전공)를 받았다. 1982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로 임용된 뒤, 동 대학의 홍보실장과 언론정보연구소장, 정책과학대학원장 등을 지냈고 2009년 7월까지 사회과학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도서출판 전예원과 도서출판 실천문학사의 편집인 및 대표로 있었으며 무크지 ≪실천문학≫ 편집인, 계간 ≪외국문학≫ 편집인 겸 주간으로 일했다. PAS 청년 해외 봉사단장으로 8회에 걸쳐 해외 봉사 활동을 하기도 했다. 한국출판연구소장, 한국언론법학회 회장, 아시아문화교류재단 이사장, 한국-베트남친선협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바 있으며, 2006년 12월에는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표창장, 2 정치학, 『취재와 기사 작성』(공), 『한국 저널리즘의 쟁점』(편),『취재 보도론』(공) 등이 있으며 『고독의 사회학』, 『미디어는 맛사지다』 등의 역서와 다008년 2월』에는 베트남 정부로부터 국가훈장(세계민족우호증진 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언론 통제의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태호(지은이)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위원. 사회평론가.
성유보(지은이)
1943년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1968년 동아일보 기자로 언론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으며, 1974년 10월 24일 박정희 정권의 언론 탄압에 맞서 ‘자유언론실천선언’에 동참하면서 해직됐다. 1988년 5월 국민 모금을 통해 탄생한 한겨레신문 초대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1991년 논설위원을 끝으로 한겨레신문을 떠난 이래 사회평론사 대표,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이사장, 국가보안법폐지 국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맡아 언론 운동의 맨 앞줄을 지켰다. 2000년대 들어 방송통신위원회 남북방송통신교류 추진위원회 위원장, 방송평가위원회 위원장, 케이블TV윤리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내며 언론 발전에 기여했다. 2014년 10월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던 순간까지도 희망내일 이사장으로서 남북철도와 대륙철도 잇기를 통한 한반도 통일의 꿈을 실현하고자 헌신했다. 저서로 〈미완의 꿈〉〈너마저 배신하면 이민갈 거야〉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정치사상사 1, 2〉가 있다.
주동황(지은이)
<너마저 배신하면 이민갈 거야!>
정정일(지은이)
(사)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신문모니터위원회 회원.
홍건표(지은이)
AP통신 동경 특파원

목차
목차 희망의 카피라이터께 올리는 글 = 7 책을 열면서 : 언론자유의 길은 고난의 길 = 8 1부 : 광고탄압·격려광고·동아투위 동아일보 격려광고의 사회적 의미 / 임동욱 1. 들어가는 말 = 20 2. 1970년대 초의 정치·경제적 상황 = 21 3. 1970년대의 언론통제와 광고통제 = 24 4. 언론인들의 언론자유수호운동과 광고주 협박 = 30 5. 국가 정보기관의 개입과 광고해약 과정 = 35 6. 격려광고의 전개와 내용 = 38 7. 격려광고의 역사적 의미 = 59 동아일보 광고탄압 해제와 경영진의 변절 / 주동황 1. 1970년대 언론자유운동의 성격 = 64 2. 광고해약 사태에 따른 광고결손 = 66 3. 경영진의 굴복과 기자 해직 = 68 4. 광고 재개의 배경 = 78 5. 광고사태가 남긴 의미 = 83 자유언론실천, 그 격동과 시련 / 이태호 1. 기자들은 왜 농성을 시작했나? = 88 2. 단식농성으로 돌입하다 = 91 3. 재야인사들의 격려 = 94 4. 폭도들의 난동 = 97 5. 권력과 동아일보사의 야합 = 104 6. 동아의 행패는 세상에 알려지고 = 106 7. 동아투위의 결성 = 111 2부 : 동아를 통해 본 한국언론의 어제와 오늘 박정희 정권의 언론정책과 동아 광고통제 / 김진홍 1. 머리말 = 118 2. 5·16쿠데타와 제3공화국 정부의 언론정책 = 121 3. 유신체제의 등장과 언론통제 정책의 강화 = 127 4. 동아광고 통제와 제도언론화 시대의 도래 = 133 5. 맺음말 = 140 동아! 너는 그때 무엇을 했는가 / 정정일 1. 유신정권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 1) 박정희 정권의 나팔수 = 151 2) 유신 2기의 출범 찬양만이 살길 = 152 3) 유신 말기의 민주화 물꼬 튼 'YH여성노동자'들의 투쟁보도 = 154 4) 부마사태를 '불순분자'의 '난동'으로 묘사 = 161 5) 봇물처럼 터지는 학생들의 민주화운동 '폭력성' 부각 = 163 6) 사북 광산 노동자 투쟁 = 168 7) 광주민주화운동을 '폭도들의 소요사태'로 = 170 2. 제5공화국의 탄생과 언론권력의 재탄생 1) 5공의 서막 = 175 2) 언론인 숙정, 언론통폐합 및 언론기본법 정비 = 178 3) 전두환에 대한 미화의 끝은 어디? = 182 4) 사회안정이란 구실로 노동자 죽이기 = 187 5) 친미정권에 화 입힐라 노심초사 = 192 6) 민주화세력을 용공세력으로 덧칠하기 = 196 7) 4·13 호헌조치와 6·10 민주화투쟁 보도 = 204 자유언론실천운동과 언론의 과제 / 성유보 1. 들어가는 말 : 해직과 투옥이 예비된 실천 운동 = 212 2. 민주, 인권, 민생 관계 보도를 둘러싼 공방전 = 215 3. 유신독재에 대한 언론의 굴종 = 236 4. 맺음말 : '언론자유'의 명제는 아직도 '진행형' = 247 3부 : 동아투위를 기억하며 그때의 흥분 아직도 생생 / 홍건표 1. 동아투위의 미해결은 우리 모두 반성해야 할 일 = 260 2. 편집국에서 같이 농성하며 송고 = 263 3. 동아투위원과 그 가족 여러분 감사합니다 = 266 일본에서 온 편지 = 269 일본 시민들의 동아일보 지원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