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ⅲ
Ⅰ. 담화분석의 이해 = 1
제1장 담화분석의 개념과 접근법 = 1
1. 서론 = 1
2. 담화분석의 개념 = 1
3. 담화분석의 흐름과 접근법 = 5
4. 연구의 내용과 구성 = 23
Ⅱ. 어휘의 담화기능 = 27
제2장 시간부사 '이제'의 담화기능 = 27
1. 서론 = 27
2. 발화시간의 표시 = 29
3. 사건시간의 표시 = 31
4. '이제'의 담화기능 = 34
4.1. '이제'의 기본 성격 = 34
4.2. '이제'의 "연결관계 표시" 기능 = 37
4.3. 대화에서의 '이제'의 기능 = 45
5. 요약과 분석의 함축 = 57
제3장 의지감탄사 '예', '글쎄', '아니'의 담화기능 = 61
1. 서론 = 61
2. 감탄사의 정의와 분류 = 64
3. '예', '글쎄', '아니'의 담화기능 = 67
3.1. '예'의 담화기능 = 67
3.2. '글쎄'의 담화기능 = 75
3.3. '아니'의 담화기능 = 84
4. 논의 : 분석의 함축 = 99
4.1. "의지감탄사"로서의 문제점 = 99
4.2. "담화표시"로서의 기능 = 101
4.3. 말뭉치의 역할 = 106
제4장 간투사 '뭐야'의 담화기능 = 109
1. 서론 = 109
2. 담화표지 : 정의와 특징 = 111
3. '뭐야'의 분포적 특징 = 113
4. '뭐야'의 출처와 잠정적 핵심 의미 = 114
5. 담화표지로서의 '뭐야' = 116
6. 요약 및 함축 = 126
제5장 인과관계 접속표현 : 세 가지 의미영역과 일관성의 성취 = 129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9
2. 이론적 바탕 = 132
2.1. 인과관계의 의미영역과 언어의 기능 = 132
2.2. 일관성 : Schiffrin(1987)의 모델 = 134
3. '-어서'와 '-니까' : 기능 및 한계 = 137
3.1. 각각의 의미영역과 통사 및 의미론적 차이 = 137
3.2. 일관성 모델에서의 기능 = 144
4. '왜냐하면' 구문의 담화기능 = 147
4.1. '왜냐하면' 구문의 특징 = 147
4.2. 의미영역과 일관성 모델에서의 기능 = 149
5. 요약 및 함축 = 171
Ⅲ. 언어사용에서의 주관화와 문법화 = 175
제6장 설화 구연자의 관여전략 = 175
1. 서론 = 175
2. 참여자틀과 관여 = 177
3. 분석자료로서의 설화 : 요지와 이야기 구조 = 179
4. 설화 구연자의 관여를 위한 담화전략 = 180
4.1. 종결어미 = 180
4.2. 역사적 현재형 = 181
4.3. 담화표지 = 182
4.4. 논평(표지) = 182
4.5. 도치 = 183
4.6. 반복 = 184
4.7. 세부적 기술 = 185
4.8. 구성 대화 = 186
5. 논의 = 189
5.1. 저자와 주역으로서의 설화 구연자 = 189
5.2. 설화 : 개인적 이야기와 소설의 경계 = 191
제7장 인용조사 '-고'의 담화분석 : 간접인용의 주관화와 문법화 = 195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95
2. 이론적 바탕 = 200
2.1. 주관화와 문법화 = 200
2.2. 인용 : 재귀성과 화자의 태도 표현 = 202
3. '-고' 보문소의 의미와 기능 : '-것' 보문소와의 비교 = 204
3.1. 기존의 분석 = 204
3.2. 보문의 태도 표현 기능 = 208
3.3. 대안의 제시 = 211
4. '-고 하-'의 생략 현상 = 223
4.1. 동격관형절 '-다는'의 기능 = 224
4.2. 화제표시소 '-(이)란' = 231
4.3. 복합 종결어미 '-단다' = 234
5. 요약 및 결론 = 236
제8장 상호작용에서 문법화로 : '왜냐하면-' 구문의 경우를 중심으로 = 239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39
2. '왜냐하면' 구문의 특성과 대화의 일관성 문제 = 243
2.1. '왜냐하면' 구문의 특징 = 243
2.2. Schiffrin의 대화 일관성 모델 = 246
3. '왜냐하면'의 수사성(rhetoricity) = 248
3.1. 명제의 분리와 (수사)의문문의 기능 = 248
3.2. 조건절의 수사성 = 251
3.3. '왜냐하면'의 상호작용적 성격과 "내적 언어화" = 254
4. '왜냐하면' 구문의 담화기능 = 256
4.1. 담화통제 기능 = 256
4.2. 감정표현 기능 = 258
4.3. 개념구조에서의 기능 = 259
5. '왜냐하면'의 문법화 = 270
6. 요약 및 분석의 함축 = 272
Ⅳ. 담화와 사회 문화적 변인 = 275
제9장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 : 담화기능과 사회적 변인 = 275
1. 서론 = 275
2. 말의 중복과 중단시키기 : 이전의 분석과 주요 논점 = 277
3. 자료 : 토크쇼 = 282
4.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의 유형과 담화기능 = 284
4.1. 말 끼어들기의 식별 = 284
4.2. 말 끼어들기의 유형과 담화기능 288
5. 사회적 요인에 따른 말 끼어들기의 빈도 : 실험적 분석 = 309
5.1. 말 끼어들기 유형의 빈도 = 310
5.2. 역할과 말 끼어들기 빈도의 관계 = 311
5.3. 진행자의 성(sex)과 말 끼어들기의 관계 = 314
6. 요약 및 결론 = 319
제10장 한국 대학생의 칭찬 화행에 사용된 공손법 분석 = 323
1. 서론 = 323
2. 공손법의 개념과 칭찬 및 칭찬에 대한 반응 = 325
3. 분석의 방법 = 330
4. 분석의 결과 = 332
4.1. 칭찬에 대한 반응 전략 = 332
4.2. 칭찬에서의 전략 = 339
5. 분석의 함축 = 345
5.1. 공손 전략 이론 = 345
5.2. 영어 및 중국어와의 비교와 사회 문화적 요인 = 350
5.3. 존대법과 칭찬 화행 = 355
6. 요약 및 결론 = 358
Ⅴ. 제도상황에서의 담화 = 365
제11장 한보청문회에서의 질문 분석 : 제도상황과 화자의 태도 표현 = 365
1. 서론 = 365
2. 제도상황에서의 질문 = 369
3. 자료 : 한보청문회 = 371
4. 한보청문회의 일반적 모습 = 373
4.1. 신문의 구조 = 374
4.2. 질문의 구조 = 382
5. M의원과 K의원의 신문 분석 = 391
5.1. 발언의 양과 말순서 취하기 = 392
5.2. 반응 = 396
5.3. 진술의 성격 = 399
5.4. 의문문의 형태와 기능 = 402
5.5. 질문의 지속성 = 411
6. 결론 : 분석의 함축 = 417
6.1. M의원 : "직접신문";K의원 : "교차신문" = 418
6.2. 이상(ideal)으로서의 공정성 : 화자의 태도 표현과 "말하기 위한 질문" = 421
제12장 대통령 취임사 : 수사구조와 담화의 민주화 = 425
1. 서론 : 정치담화로서의 취임사 = 425
2. 이론적 바탕 : 장르분석과 비판적 담화분석 = 427
3. 자료 : 네 개의 한국 대통령 취임사 = 429
4. 대통령 취임사의 수사구조와 기저 이념 = 431
4.1. 수사구조 = 431
4.2. 기저 이념 : 민주주의 = 450
5. 취임사에서의 민주화 = 451
5.1. "민주적 담화"의 정의 = 452
5.2. 전두환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의 취임사 비교 = 453
6. 결론 : 요약 및 함축 = 468
참고문헌 = 471
색인 =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