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취재보도론

취재보도론 (Loan 2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은택 김창룡
Title Statement
취재보도론 / 이은택 ; 김창룡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2001.  
Physical Medium
viii, 232 p. ; 25 cm.
ISBN
8920263167
General Note
부록: 1. 취재보도 관련 법규. 2. 반론보도청구권에 관한 공방 3. 언론피해 지원법률본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32)수록.
000 00757c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60983
005 20100807083154
007 ta
008 011130s2001 ulk AZ 000a kor
020 ▼a 8920263167 ▼g 93070
035 ▼a KRIC08082588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8660 ▼f 개가 ▼l 111208661 ▼f 개가
082 0 4 ▼a 070.43 ▼2 21
090 ▼a 070.43 ▼b 2001e
100 1 ▼a 이은택
245 1 0 ▼a 취재보도론 / ▼d 이은택 ; ▼e 김창룡 공저.
260 ▼a 서울 :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c 2001.
300 ▼a viii, 232 p. ; ▼c 25 cm.
500 ▼a 부록: 1. 취재보도 관련 법규. 2. 반론보도청구권에 관한 공방 3. 언론피해 지원법률본부
504 ▼a 참고문헌(p. 232)수록.
700 1 ▼a 김창룡
950 1 ▼a 가격불명 ▼b \44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3 2001e Accession No. 1112086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3 2001e Accession No. 1112086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취재와 보도 개관
 1. 취재와 보도의 개념 정의 = 2
  1. 취재란 무엇인가 = 2
  2. 보도란 무엇인가 = 3
 2. 편집국·보도국의 구성과 기능별 이해 = 4
 3. 취재에서 보도까지 = 5
 4. 기사의 왜곡, 축소, 확대, 누락의 메커니즘 = 7
제2장 취재와 인터뷰 바로 보기
 1. 취재와 인터뷰 개관 = 12
  1. 인터뷰의 개념 정의 = 12
  2. 취재와 인터뷰의 상관관계 = 13
  3. 인터뷰의 3변인 = 15
 2. 인터뷰의 유형과 특성 = 16
  1. 단독·대면 인터뷰 = 16
  2. 전화 인터뷰 = 21
  3. 서면 인터뷰 = 22
 3. 인터뷰의 성패 = 23
  1. 실패하는 지름길 = 23
  2. 성공의 17가지 요인 = 24
  3. 인터뷰 성공의 3단계 = 27
 4. 인터뷰의 성공과 실패의 교훈 = 34
  1. 후암동 민 마담 - 홍호표 동아일보 기자 = 34
  2. 남산의 부장들 - 김충식 동아일보 기자 = 38
  3. 내가 이 시간, 이 자리에 왜 있는가 - 송수남 스포츠서울 기자 = 40
  4.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김국후 중앙일보 기자 = 43
  5.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의 인터뷰 - 박정찬 연합통신 기자 = 46
제3장 취재수칙과 뉴스가치
 1. 취재수칙과 취재력 배양 = 54
  1. 명심해야 할 취재수칙 7가지 = 54
  2. 취재력 배양방안 7가지 = 58
 2. 뉴스의 가치기준과 기사 작성 = 61
  1. 뉴스의 가치기준 7가지 = 61
  2. 매체의 특성과 보도 = 75
  3. 기사 작성 요령 = 77
  4. 기사 작성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항 = 78
제4장 기사 작성의 실제
 1. 기사 작성 순서와 보도수칙 = 84
  1. 기사 작성 순서 = 84
  2. 보도수칙 = 85
 2. 기사 작성 훈련의 실제 = 88
  1. 묘사력과 전달력을 향상 시키는 훈련 = 88
  2. 글의 마무리를 잘 하게 하는 훈련 = 94
  3. 기사 작성 능력 배양의 테크닉 = 101
제5장 보도사례 해설
 1. 보도사례해설 Ⅰ = 106
  1. 고발기사 = 106
  2. 비판기사 = 109
  3. 미담기사 = 116
 2. 보도사례 해설 Ⅱ = 120
  1. 갈등 정리형 = 120
  2. 분석 연결형 = 122
  3. 정보 제공형 = 125
 3. 기사감 찾기와 논리 만들기 = 129
  1. 성덕 바우만 군의 백혈병과 언론보도 = 129
  2. 공부 수재의 말로와 평범한 학생의 비범한 봉사 = 133
  3. 이웃의 아픔과 평범한 사랑 실천 = 135
제6장 언론법규
 1. 취재보도와 인격권의 대립 = 142
  1. 취재보도와 명예훼손·사생활 침해의 대립 = 142
  2. 주요 판례와 취재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 143
  3. 주요 판례와 보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 146
  4. 소결 = 147
 2. 언론의 자유와 책임 = 148
  1. 비방의 목적 여부 = 148
  2. 주거의 자유 침해 여부 = 149
  3. 피의자 특정 여부 = 150
  4. 특정 강력범죄 피해자 보호 침해 여부 = 151
  5. 논평의 자유와 사실 기초 여부 = 153
  6. 명예훼손과 위자료 산정 기준 = 155
 3. 위법성 조각사유 = 156
  1. 진실한 사실 = 157
  2. 오로지 공공의 이익 = 157
  3. 진실이라고 믿을 상당한 이유 = 159
 4. 취재보도시 알아야 할 사항 = 167
  1. 취재기자의 필수 법률상식 - 취재 제한의 법률조항 = 167
  2. 취재 제한지역과 관계자의 동의 여부 = 169
  3. 불법취재로 인한 보도의 위법성 여부 = 169
제7장 취재보도와 언론윤리
 1. 언론인과 언론윤리 = 174
 2. 개별 언론사 윤리강령 제정 과정 = 175
 3. 윤리강령과 취재현실 = 178
 4. 한국언론중재위원회 시정권고 심의기준 = 179
  1. 타인의 명예 및 권리 침해 = 180
  2. 사회질서 침해 = 181
  3.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 침해 = 181
제8장 취재보도와 역사적 오보
 1. 서론 = 186
 2. 취재보도와 오보 = 187
  1. 오보의 정의와 종류 = 187
  2. 오보의 발생원인 = 189
  3. 오보의 결과 = 190
 3. 역사적 오보의 사례 = 191
  1. 우상 만들기 편 1 : '큰바위 얼굴' 전두환 = 191
  2. 우상 만들기 편 2 : 군(軍) = 198
  3. 진실 외면 편 1 : 평화의 댐, 진실과 거짓 = 205
  4. 진실 외면 편 2 : 삼청교육대 사건 = 209
부록
 1. 취재보도 관련 법규 = 216
  1. 헌법 = 216
  2. 법률 = 217
  3. 정기간행물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218
 2. 반론보도청구권에 관한 공방 = 222
  1. 입법경위와 제도적 의의 = 223
  2. 쟁점과 논의 = 225
  3. 결론 = 227
 3.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 = 228
  1.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가 필요한 이유 = 228
  2.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의 업무 = 229
  3.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와 언론중재위원회의 차이점 = 23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