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취재와 보도 개관
1. 취재와 보도의 개념 정의 = 2
1. 취재란 무엇인가 = 2
2. 보도란 무엇인가 = 3
2. 편집국·보도국의 구성과 기능별 이해 = 4
3. 취재에서 보도까지 = 5
4. 기사의 왜곡, 축소, 확대, 누락의 메커니즘 = 7
제2장 취재와 인터뷰 바로 보기
1. 취재와 인터뷰 개관 = 12
1. 인터뷰의 개념 정의 = 12
2. 취재와 인터뷰의 상관관계 = 13
3. 인터뷰의 3변인 = 15
2. 인터뷰의 유형과 특성 = 16
1. 단독·대면 인터뷰 = 16
2. 전화 인터뷰 = 21
3. 서면 인터뷰 = 22
3. 인터뷰의 성패 = 23
1. 실패하는 지름길 = 23
2. 성공의 17가지 요인 = 24
3. 인터뷰 성공의 3단계 = 27
4. 인터뷰의 성공과 실패의 교훈 = 34
1. 후암동 민 마담 - 홍호표 동아일보 기자 = 34
2. 남산의 부장들 - 김충식 동아일보 기자 = 38
3. 내가 이 시간, 이 자리에 왜 있는가 - 송수남 스포츠서울 기자 = 40
4.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김국후 중앙일보 기자 = 43
5.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의 인터뷰 - 박정찬 연합통신 기자 = 46
제3장 취재수칙과 뉴스가치
1. 취재수칙과 취재력 배양 = 54
1. 명심해야 할 취재수칙 7가지 = 54
2. 취재력 배양방안 7가지 = 58
2. 뉴스의 가치기준과 기사 작성 = 61
1. 뉴스의 가치기준 7가지 = 61
2. 매체의 특성과 보도 = 75
3. 기사 작성 요령 = 77
4. 기사 작성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항 = 78
제4장 기사 작성의 실제
1. 기사 작성 순서와 보도수칙 = 84
1. 기사 작성 순서 = 84
2. 보도수칙 = 85
2. 기사 작성 훈련의 실제 = 88
1. 묘사력과 전달력을 향상 시키는 훈련 = 88
2. 글의 마무리를 잘 하게 하는 훈련 = 94
3. 기사 작성 능력 배양의 테크닉 = 101
제5장 보도사례 해설
1. 보도사례해설 Ⅰ = 106
1. 고발기사 = 106
2. 비판기사 = 109
3. 미담기사 = 116
2. 보도사례 해설 Ⅱ = 120
1. 갈등 정리형 = 120
2. 분석 연결형 = 122
3. 정보 제공형 = 125
3. 기사감 찾기와 논리 만들기 = 129
1. 성덕 바우만 군의 백혈병과 언론보도 = 129
2. 공부 수재의 말로와 평범한 학생의 비범한 봉사 = 133
3. 이웃의 아픔과 평범한 사랑 실천 = 135
제6장 언론법규
1. 취재보도와 인격권의 대립 = 142
1. 취재보도와 명예훼손·사생활 침해의 대립 = 142
2. 주요 판례와 취재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 143
3. 주요 판례와 보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 146
4. 소결 = 147
2. 언론의 자유와 책임 = 148
1. 비방의 목적 여부 = 148
2. 주거의 자유 침해 여부 = 149
3. 피의자 특정 여부 = 150
4. 특정 강력범죄 피해자 보호 침해 여부 = 151
5. 논평의 자유와 사실 기초 여부 = 153
6. 명예훼손과 위자료 산정 기준 = 155
3. 위법성 조각사유 = 156
1. 진실한 사실 = 157
2. 오로지 공공의 이익 = 157
3. 진실이라고 믿을 상당한 이유 = 159
4. 취재보도시 알아야 할 사항 = 167
1. 취재기자의 필수 법률상식 - 취재 제한의 법률조항 = 167
2. 취재 제한지역과 관계자의 동의 여부 = 169
3. 불법취재로 인한 보도의 위법성 여부 = 169
제7장 취재보도와 언론윤리
1. 언론인과 언론윤리 = 174
2. 개별 언론사 윤리강령 제정 과정 = 175
3. 윤리강령과 취재현실 = 178
4. 한국언론중재위원회 시정권고 심의기준 = 179
1. 타인의 명예 및 권리 침해 = 180
2. 사회질서 침해 = 181
3.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 침해 = 181
제8장 취재보도와 역사적 오보
1. 서론 = 186
2. 취재보도와 오보 = 187
1. 오보의 정의와 종류 = 187
2. 오보의 발생원인 = 189
3. 오보의 결과 = 190
3. 역사적 오보의 사례 = 191
1. 우상 만들기 편 1 : '큰바위 얼굴' 전두환 = 191
2. 우상 만들기 편 2 : 군(軍) = 198
3. 진실 외면 편 1 : 평화의 댐, 진실과 거짓 = 205
4. 진실 외면 편 2 : 삼청교육대 사건 = 209
부록
1. 취재보도 관련 법규 = 216
1. 헌법 = 216
2. 법률 = 217
3. 정기간행물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218
2. 반론보도청구권에 관한 공방 = 222
1. 입법경위와 제도적 의의 = 223
2. 쟁점과 논의 = 225
3. 결론 = 227
3.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 = 228
1.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가 필요한 이유 = 228
2.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의 업무 = 229
3. 언론피해 법률지원본부와 언론중재위원회의 차이점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