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과교육학신론

교과교육학신론 (5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허경철 이화진 박순경 소경희 조덕주
서명 / 저자사항
교과교육학신론 / 허경철...[등저].
발행사항
서울 :   문음사 ,   2001.  
형태사항
449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교과교육총서 ; 1
ISBN
898168233X
일반주기
공저자 : 이화진, 박순경, 소경희, 조덕주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795namccc200301 k 4500
001 000000760243
005 20100807082101
007 ta
008 011115s2001 ulka 000a kor
020 ▼a 898168233X ▼g 94370 : ▼c \14000
020 1 ▼z 8981682331(세트)
035 ▼a KRIC08068233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8315 ▼f 개가 ▼l 111208316 ▼f 개가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1d
245 0 0 ▼a 교과교육학신론 / ▼d 허경철...[등저].
260 ▼a 서울 : ▼b 문음사 , ▼c 2001.
300 ▼a 449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교과교육총서 ; ▼v 1
500 ▼a 공저자 : 이화진, 박순경, 소경희, 조덕주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허경철 ▼0 AUTH(211009)144019
700 1 ▼a 이화진
700 1 ▼a 박순경
700 1 ▼a 소경희
700 1 ▼a 조덕주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1d 등록번호 111208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1d 등록번호 1112083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허경철(지은이)

<교과교육학신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교과교육학 논의에 대한 반성적 고찰 / 박순경 = 11
 제1절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재고 = 13
 제2절 교과교육학의 새로운 관점 : 교과학 = 28
제2장 교과의 개념과 성립 과정 / 박순경 = 43
 제1절 교과의 개념 이해 = 45
 제2절 교과의 사회 역사적 배경과 그 성립 과정 = 59
제3장 지식의 성격과 교과교육 / 허경철 = 73
 제1절 지식교육의 필요성 = 75
 제2절 지식의 성격 = 79
 제3절 교과에서 지식을 가르칠 때의 유의점 = 97
제4장 통합 교육과정 / 조덕주 = 107
 제1절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 = 109
 제2절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 = 112
 제3절 통합의 대상과 방법 = 116
 제4절 통합의 절차 = 130
제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 / 박순경 = 143
 제1절 우리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고찰 = 145
 제2절 외국의 크로스커리큘럼과 7차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 = 152
 제3절 크로스커리큘럼의 재개념화 = 163
제6장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 / 이화진 = 173
 제1절 객관주의 인식론과 교육 내용으로서 '무엇' = 175
 제2절 구성주의 인식론과 교육 내용으로서 '무엇' = 177
 제3절 구성주의적 교육과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191
제7장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 설계 / 소경희 = 207
 제1절 교육과정 개발의 유형 = 209
 제2절 교육과정 개발의 세 수준 = 214
 제3절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20
제8장 사고력 교육과 교과교육 / 허경철 = 239
 제1절 사고력 교육의 필요성 = 241
 제2절 사고(력)의 구성 요소 = 243
 제3절 '성향' 영역의 유목화 = 248
 제4절 '조작' 영역의 유목화 = 251
제9장 개념학습의 본질과 교과교육 / 허경철 = 271
 제1절 개념학습의 중요성 = 273
 제2절 개념의 의미 = 275
 제3절 개념학습의 과정 = 293
 제4절 개념학습을 위한 지도 방법 = 296
제10장 개인차 교육과 차별화 수업 전략 / 이화진 = 305
 제1절 개인차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 307
 제2절 교실 학습에서 고려할 개인차 = 310
 제3절 개인차 교육과 차별화 수업 전략 = 318
 제4절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생성 모형 = 328
제11장 학습부진아 지도 수업 전략 / 이화진 = 333
 제1절 학습부진아 교육에 있어서 시각전환의 필요성 = 335
 제2절 학습부진아 개념 정립 = 338
 제3절 효과적인 학습부진아 지도 전략 = 345
제12장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와 실천 전략 / 소경희 = 365
 제1절 자기주도 학습의 역사적·이론적 기반 = 367
 제2절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와 관련된 논쟁 = 378
 제3절 자기주도 학습의 실천 전략 = 385
제13장 교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 / 소경희 = 397
 제1절 정보 사회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ICT 교육 = 399
 제2절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ICT 활용 = 406
 제3절 교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 방안 = 412
제14장 교과교육과 평가 / 조덕주 = 427
 제1절 교육 평가의 다양한 영역 = 429
 제2절 교육 평가의 목적 및 방안의 다양성(Ⅰ) = 431
 제3절 교육 평가의 목적 및 방안의 다양성(Ⅱ) = 434
 제4절 새로운 교육 평가 방안 = 44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