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과교육학 논의에 대한 반성적 고찰 / 박순경 = 11
제1절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재고 = 13
제2절 교과교육학의 새로운 관점 : 교과학 = 28
제2장 교과의 개념과 성립 과정 / 박순경 = 43
제1절 교과의 개념 이해 = 45
제2절 교과의 사회 역사적 배경과 그 성립 과정 = 59
제3장 지식의 성격과 교과교육 / 허경철 = 73
제1절 지식교육의 필요성 = 75
제2절 지식의 성격 = 79
제3절 교과에서 지식을 가르칠 때의 유의점 = 97
제4장 통합 교육과정 / 조덕주 = 107
제1절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 = 109
제2절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 = 112
제3절 통합의 대상과 방법 = 116
제4절 통합의 절차 = 130
제5장 교과교육과 크로스커리큘럼 / 박순경 = 143
제1절 우리 교육과정에서의 크로스커리큘럼 관련 규정 고찰 = 145
제2절 외국의 크로스커리큘럼과 7차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 = 152
제3절 크로스커리큘럼의 재개념화 = 163
제6장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 / 이화진 = 173
제1절 객관주의 인식론과 교육 내용으로서 '무엇' = 175
제2절 구성주의 인식론과 교육 내용으로서 '무엇' = 177
제3절 구성주의적 교육과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191
제7장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 설계 / 소경희 = 207
제1절 교육과정 개발의 유형 = 209
제2절 교육과정 개발의 세 수준 = 214
제3절 학교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20
제8장 사고력 교육과 교과교육 / 허경철 = 239
제1절 사고력 교육의 필요성 = 241
제2절 사고(력)의 구성 요소 = 243
제3절 '성향' 영역의 유목화 = 248
제4절 '조작' 영역의 유목화 = 251
제9장 개념학습의 본질과 교과교육 / 허경철 = 271
제1절 개념학습의 중요성 = 273
제2절 개념의 의미 = 275
제3절 개념학습의 과정 = 293
제4절 개념학습을 위한 지도 방법 = 296
제10장 개인차 교육과 차별화 수업 전략 / 이화진 = 305
제1절 개인차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 307
제2절 교실 학습에서 고려할 개인차 = 310
제3절 개인차 교육과 차별화 수업 전략 = 318
제4절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 생성 모형 = 328
제11장 학습부진아 지도 수업 전략 / 이화진 = 333
제1절 학습부진아 교육에 있어서 시각전환의 필요성 = 335
제2절 학습부진아 개념 정립 = 338
제3절 효과적인 학습부진아 지도 전략 = 345
제12장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와 실천 전략 / 소경희 = 365
제1절 자기주도 학습의 역사적·이론적 기반 = 367
제2절 자기주도 학습의 의미와 관련된 논쟁 = 378
제3절 자기주도 학습의 실천 전략 = 385
제13장 교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 / 소경희 = 397
제1절 정보 사회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ICT 교육 = 399
제2절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ICT 활용 = 406
제3절 교과 수업에서의 ICT 활용 방안 = 412
제14장 교과교육과 평가 / 조덕주 = 427
제1절 교육 평가의 다양한 영역 = 429
제2절 교육 평가의 목적 및 방안의 다양성(Ⅰ) = 431
제3절 교육 평가의 목적 및 방안의 다양성(Ⅱ) = 434
제4절 새로운 교육 평가 방안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