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장 화력과 기동은 타격력을 좌우한다, 구스타프 아돌프의 브라이텐펠트 전투(1631. 9. 7.) / J u ·· rgen Unverhau[독일전사연구위원회 대령] = 1
제2장 내선작전의 기회와 위험, 프리드리히Friedrich 2세의 콜린 전투(1757. 6. 18.) / J u ·· rgen Unverhau[독일전사연구위원회 대령] = 15
제3장 정보는 병력, 시간 그리고 공간을 지배한다, 나폴레옹의 리볼리Rivoli 전투(1797. 1. 14.)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27
제4장 더 강한 의지가 승리한다, 나폴레옹의 오스터리츠 전투(1805. 12. 2)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37
제5장 예비대는 모든 부대수준에서 승리의 열쇠, 나폴레옹의 바그람Wagram 전투(1809. 6. 5/6.)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47
제6장 同心상의 전진 기동은 전투의 결정적 요소, 라이프치히Leipzig 전투(1813. 10.) / Dietrich Menzel[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57
제7장 기술의 우위가 타격력을 좌우한다, 프로이센군의 뒤펠D u ·· ppel 보루 공격(1864. 4. 18.) / Werner Bromb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69
제8장 행군은 전투를 위한 작전지휘부의 결심, 쾌니히그래쯔K o ·· niggr a ·· tz 전투(1866. 7. 3.) / J u ·· rgen Unverhau[독일전사연구위원회 대령] = 77
제9장 정보의 우위는 주도권과 행동의 자유를 부여한다, 탄넨베르크Tannenberg 전투(1914. 8.) / Werner Bromb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95
제10장 법규는 모든 군사 행동의 기본바탕이다, 독일군의 벨기에 침공시 뢰벤L o ·· wen 사건(1914. 8. 25-28.) / Herbert Weihmann[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107
제11장 공동의 목표는 절대로 놓치지 말라, 마르느Marne 전투에서 독일 제3군의 역할(1914. 9.) / J u ·· rgen Unverhau[독일전사연구위원회 대령] = 115
제12장 기습은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영국의 전차투입에 의한 기습의 실패(1916. 9. 15.)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27
제13장 지속되는 과부하는 군기와 질서의 적이다, 1917년 프랑스군의 위기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35
제14장 결정적인 위치에서 강한 것이 승리의 필수조건, 1917년 제한된 목표의 프랑스군 공세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45
제15장 경제적 병력배치=전투지속능력 향상, 1918년 전반 프랑스군의 지구력 향상조치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53
제16장 예측하기 어려운 패닉 현상과 그 극복, 뷜송Bulson 전투에서의 패닉 사건(1940. 5.) / J o ·· rg D\$$ddot a$$hnenkamp M. 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163
제17장 수세로부터 공세로 - 후미로부터의 공격, 하리코프전투에서 만쉬타인의 위치교대 작전(1943년 봄) / J o ·· rg D a ·· hnenkamp M. 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169
제18장 주도권을 유지하려면 기동방어를 해야한다, 니코폴의 교두보에서 제24전차사단의 역공격(1943. 11.) / J o ·· rg D a ·· hnenkamp M. 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177
제19장 중심은 결전의 요체이다, 구스타프-선 돌파당시 프랑스 원정군(1944. 5.)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83
제20장 기만작전은 모든 지휘 수준에서 신중히, 연합군의 "포티튜드Fortitude" 기만작전(1944. 6.)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191
제21장 군사전략, 작전 및 전술 지휘의 상호관계, 연합군의 마케트 가든Market Garden 작전(1944. 9.) / J u ·· rgen Unverhau [독일전사연구위원회 대령] = 201
제22장 상륙작전 : 수세에서 공세로, 연합군의 인천 상륙작전(1950. 9. 15.) / Dietrich Menzel[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15
제23장 공중기동성은 기습의 효과적인 수단, 월남 쾅트리QuangTri 전투의 미제1기병사단 작전(1968년) / Lothar Biewald[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27
제24장 사고와 행동의 일치, 이스라엘 제162전차사단의 역공격(1973. 10. 8.) / J o ·· rg D a ·· hnenkamp M. 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35
제25장 전투지원을 위한 도전, 포크랜드전쟁시 영국 317특수임무부대의 전투지원(1982년) / Matthias Stassen[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45
제26장 사기가 우세한 병력을 제압한다, 포크랜드전쟁의 영국 지상군 작전(1982년) / Herbert Weihmann[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51
제27장 협동 및 연합작전, 사막폭풍 작전의 지상전(1991년 초) / J o ·· rg D a ·· hnenkamp M. A.[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61
제28장 공중기동성은 종심작전의 주무기, 사막폭풍 작전의 미제18공정군단 작전(1991년 초) / Dietrich Menzel[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69
제29장 기만이란 비밀유지, 은폐 그리고 허위 정보의 유포이다, 걸프전에서의 기만작전(1999년 초) / 프랑스전사연구위원회 = 279
제30장 평화유지 임무는 공동 작전의 시험대, 캄보디아 평화유지군 작전(PKO)의 문제점(1992/93년) / Lothar Biewald[독일전사연구위원회 중령]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