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블록버스터''와 민족주의 담론의 절합관계 연구 - 〈쉬리〉와 〈공동경비구역JSA〉를 중심으로 / 권은선[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전문사, 순천향대 강사]
Ⅰ. 서론
Ⅱ. 90년대 후반 한국영화지형의 한 양상 - ''한국형 블록버스터'' = 11
1. 정치/경제/영화사적 맥락 = 11
1.1 문화산업론의 대두와 쥬라기공룡 담론 = 12
1.2 스크린쿼터논란 = 15
1.3 일본영화개방논의 = 18
2.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등장 = 19
2.1 민족주의/정체성/한국형 블록버스터 = 19
2.2 ''민족영화''로서의 한국형 블록버스터 = 21
Ⅲ.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문화정치적 맥락 = 23
1. 전지구화과정 vs 지역적 특수성 = 24
2. 민족주의와 젠더 = 27
3. ''민족영화''의 문제틀 = 34
3.1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 = 34
3.2 민족 작인과 ''민족 영화'' = 35
3.3 빗장처진 민족 = 37
Ⅳ. 한국형 블록버스터 모델분석 = 38
1. 〈쉬리〉 - 탈/냉전시대 남한의 상상적 두려움 = 38
1.1 탈냉전과 냉전의 비동시적 동시성 = 38
1.2 타자화된 자아와의 대면 = 41
1.3 하나의 자아, 두개의 몸 - 두 개 국가의 민족적 고통 = 42
2. 〈공동경비구역JSA〉 - 경계와 문지방적 경계성의 상호작용 = 44
2.1 경계와 문지방적 경계성 = 44
2.2 수행으로서의 국가와 본질로서의 민족 = 45
2.3 경계의 역사쓰기, 민족의 누이로서의 여성 = 49
2.4 이중적 시선의 상호작용 - 반미민족이데올로기 = 50
Ⅴ. 결론 = 54
참고문헌 = 59
청년영화 운동으로서의 ''영상시대''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Young Sang Shi Dae''as Young Cinema Movement) / 안재석[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석사]
Ⅰ. 머리말 = 67
1. 문제 제기 = 67
2. 연구 목적 및 방법 = 70
Ⅱ. 한국영화사에서의 ''1970년대''라는 시기 = 73
1. 유신체제의 성립과 통제 기제로서의 영화정책 = 74
2. 산업사회로의 이행과 대중문화의 형성 = 79
Ⅲ. 청년영화 운동으로서의 ''영상시대'' = 84
1. ''영상시대''가 결성되기까지 = 84
1) 새로운 세대의 등장 = 84
2) 지인(知人)드르이 만남 : ''마음과 마음''과 ''유 프로덕션'' = 87
3) 드디어 ''영상시대''가 발족하다 = 92
2. ''영상시대''의 결성 배경 = 95
1) 젊은이들의 열망과 좌절 : 청년문화의 등장 = 96
2) 서구에서 불어온 ''새로운 영화''에 대한 동경 = 97
3) ''개인적 영화''에 대한 인식 : 소형영화 운동의 태동 = 100
3. ''영상시대''의 활동과 성과 = 102
1) 신인배우 및 연출지망생 공모 = 103
2) 영화전문지 계간「영상시대」발간 = 106
4. ''영상시대''의 작품경향 = 109
1) ''새로운 영화''의 징후 : 예술영화를 위한 시도 = 112
2) ''한국적 영상''찾기 : 토착문화에 대한 관심 = 117
Ⅳ. ''영상시대''운동에 대한 재평가와 재지도 그리기 = 121
1. ''영상시대''에 대한 몇가지 오해들 = 121
2. ''영상시대''운동의 한계 = 127
Ⅴ. 맺음말 = 131
1. ''영상시대'' 해체 이후 = 131
2. 논문의 한계 = 132
참고문헌 = 134
북한 경희극 영화의 희극성과 웃음 유발 연구 : 〈유원지의 하루〉, 〈노래 속에 꽃피는 가정〉을 중심으로 / 임효수[동국대학교 영화영상 석사]
Ⅰ. 서론 = 143
1. 문제 제기 = 143
2. 연구 대상 = 144
3. 연구 방법 = 146
Ⅱ. 웃음과 코미디 = 147
1. 웃음에 관한 일반 이론 = 147
2. 대중 문화에서의 웃음 = 151
Ⅲ. 북한 사회와 영화 = 156
1. 북한 사회와 문화에 대한 개괄 = 156
(1) 북한 사회 문화의 특징 = 157
(2) 북한의 문예정책 = 159
(3) 북한의 문예이론과 창작원칙 = 160
2. 북한 영화 개괄 = 163
(1) 영화의 전개 및 특징 = 163
가. 영화의 전개 및 최근 경향 = 163
나. 특징 = 164
ㄱ. 북한 영화의 신파성 = 165
ㄴ. 소비에트 영화의 영향 = 168
(2) 영화의 종류 및 제작 현황 = 170
(3) 영화의 보급체계 = 173
Ⅳ. 북한 희극영화의 성격과 전개 = 174
1. 북한 희극영화의 정의와 성격 = 174
2. 북한 희극영화의 전개 = 178
Ⅴ. 경희극영화에 나타난 희극성과 웃음유발 양상 = 181
1. 모순과 반복 - 유원지의 하루 = 181
가. 고정관념의 붕괴, 인물에 자기모순 속의 웃음 = 182
1) 사회적 편견의 재생산과 웃음 = 183
2) 사회 편견의 파괴와 웃음 = 187
3) 비일상적 결점과 웃음 = 189
나. 구조화된 플롯 속에서의 웃음 - 반복과 이동 = 191
다. 기타 웃음유발의 방법들 = 194
라. 〈유원지의 하루〉의 희극성 = 195
2. 오해와 착각, 언어유희 - 노래 속에 꽃 피는 가정 = 196
가. 언어유희, 농담을 이용한 웃음 = 199
나. 오해와 착각을 이용한 웃음 유발 = 203
다. 기타 웃음유발의 방법들 = 205
라. 〈노래 속에 꽃피는 가정〉의 희극성 = 206
Ⅵ. 결론 = 207
참고문헌 = 211
한국 독립영화 운동의 조직과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한 다큐멘터리 제작 집단의 사례 - / 홍성아[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
Ⅰ. 서론 = 221
1) 문제의 제기 = 221
2) 연구의 배경 = 223
3) 연구 대상 = 232
4) 연구 방법 = 233
Ⅱ.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 = 236
1) 집단의 규범 = 237
2) 집단 안팎의 관계 = 243
Ⅲ. 영화만들기 = 250
1) 소재 선택 = 250
2) 영화 제작비 마련 = 252
3) 제작 방식 = 254
Ⅳ. 영화를 통한 관계와 의미의 생성 = 257
1) 제작 과정을 통한 의미 부여 = 257
2) 의도한 의미 : 영화 작품 분석 사례 = 261
3) 영화 상영을 통한 의미의 소통과 공유 = 265
Ⅴ. 영화운동의 어려움과 지속의 근거 = 271
1) 현실적 여건의 변화에 따른 갈등 = 276
2) 지속의 근거
Ⅵ. 결론 = 280
참고문헌 =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