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2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751435 | |
005 | 20100807074217 | |
007 | ta | |
008 | 020115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86361590 ▼g 03910: ▼c \14000 | |
035 | ▼a KRIC08095077 | |
040 | ▼a 242009 ▼c 242009 ▼d 211009 | |
049 | 1 | ▼l 111207354 ▼f 개가 ▼l 111207355 ▼f 개가 ▼i 121060750 ▼f 과학 ▼i 121060751 ▼f 과학 |
082 | 0 4 | ▼a 953.058 |
090 | ▼a 953.058 ▼b 2001c | |
100 | 1 | ▼a 정옥자 ▼0 AUTH(211009)136291 |
245 | 1 0 | ▼a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d 정옥자 지음. |
260 | ▼a 서울 : ▼b 효형 , ▼c 2001. | |
300 | ▼a 246 p. : ▼b 삽도 ; ▼c 23 cm. | |
500 | ▼z 색인 : p. 237-246 | |
504 | ▼a 서지적, 설명적 각주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073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073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621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410299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210607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210607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51123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073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073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112621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410299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210607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210607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58 2001c | 등록번호 151123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학자군주(學者君主)로 손꼽히는 정조의 문화정책과 문예사상을 규장각의 설립 및 제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여성으로선 최초로 규장각 관장을 맡게 된 저자는 정조의 문화정책의 추진 기관으로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당시의 규장각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 이 책의 1부에서는 정조의 학예사상과 문학관을 전반적으로 개괄하고 문체반정(文體反正)의 계기와 양상을 짚어 보았으며, 2부에서는 규장각의 교육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젊은 문신의 재교육 제도인 초계문신제(抄啓文臣制)를 통해 정조의 인재 양성의 취지와 실상을 소상히 알 수 있게 했다.
마지막 3부의 <동성교여집>은 정조 사후 그가 키워낸 15명의 학사들이 규장각의 내각, 즉 동성(東省)에 모여 선왕을 추모하고 그의 문집 <홍재전서>를 편집하며 여가에 주고받은 시들을 모은 것이다. 여기 수록된 22편의 시들은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인 김남기 박사가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는 규장각은 문화정책 수립. 추진기관이라는 전제 하에 규장각의 교육 기능에 초점을 맞추며 정조의 인재양성의 실상에 접근하려 한다. 또한 <동성교여집>을 살펴보며 정조의 친위기구였던 규장각의 학풍과 문풍(文風)은 물론 19세기 초 사대부의 풍류생활의 단면을 엿보며, 정치세력의 판도까지 검증하려 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옥자(지은이)
1942년 춘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규장각 관장을 역임하였다. 정년퇴직 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명예교수이다. 문화재위원·유네스코 문화분과위원회위원·서울시 지명위원·서울시 기념물분과위원장·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위원장·국민권익위원회 권익구제분과위원장 등 많은 사회봉사활동을 하였다. 2004년 비추미여성대상 별리상(교육·연구개발 부문), 2007년 국무총리 공로상, 2010년 민세상(학술부문), 2012년 황조근정훈장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 『조선 후기 문화운동사』, 『조선 후기 지성사』, 『조선 후기 문학사상사』, 『조선 후기 역사의 이해』,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조선 후기 조선 중화사상 연구』,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조선 후기 중인 문화 연구』,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 조선사에서 법고창신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4 들어가면서 = 8 제1장 정조의 학예사상(學藝思想)과 문체반정(文體反正) 1. 정조의 학예사상 = 14 (1) 정조의 학풍 = 15 ① 학문의 생활화 = 15 ② 학문관 = 24 (2) 정조의 문학관(文學觀) = 37 ① 문장도(文章道) = 37 ② 문예비평 = 47 2. 문체반정(文體反正) = 67 제2장 규장각(奎章閣)과 초계문신(抄啓文臣)교육 1. 규장각의 위상과 역할 = 84 2. 초계문신(抄啓文臣) 제도의 학립 = 95 (1) 강제규정(講製規定) = 106 ① 시강(試講, 課講) = 106 ② 시제(試製, 課製) = 116 (2) 장려책(奬勵策) = 117 ① 친림(親臨) = 119 ② 상벌(賞罰) = 122 3. 초계문신(抄啓文臣)의 교육 = 125 (1) 문체책(文體策) = 125 (2) 작품집 『규화명선(奎華名選』) = 148 (3) 시권집(試卷集) 『정시문정(正始文程』) = 156 4. 초계문신(抄啓文臣) 제도의 의의 = 166 제3장 『동성교여집(東省校餘集)』의 성립 1. 『동성교여집』의 간행 경위 = 186 2. 『홍재전서(弘齋全書)』의 간행 = 192 3. 기념시(紀念詩)의 내용 분석 = 203 4. 『교여집(校餘集)』에 나타난 풍류생활 = 221 찾아보기 =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