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5
제3절 추진전략 및 방법 = 6
1. 문헌고찰 = 6
2. 면접 및 설문 조사 = 7
제2장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현황 및 법정체제 = 8
제1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혁 및 현황 = 8
1. 출연(연)의 설립 및 발전과정 = 8
2. 연구회 체제의 출범배경 및 연혁 = 11
3. 연구회 및 연구기관 현황 = 12
제2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주요기능 및 법정체제 = 14
1. 법적으로 부여된 주요 기능 = 15
2. 연구회의 법정체제 = 16
제3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최근의 정책변화 = 19
1. 이사회제도 = 19
2. PBS제도(연구과제중심제도) = 19
3. 연구회 평가체제 = 20
제3장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 = 23
제1절 현행 연구회 체제의 성과 = 24
1. 기획기능과 관련된 성과 = 24
2. 평가기능과 관련한 성과 = 25
3. 연구기능과 관련한 성과 = 26
제2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 = 26
1. 기획기능과 관련한 성과 = 26
2. 평가기능과 관련한 성과 = 27
3. 연구기능과 관련한 성과 = 27
제4장 주요 선진국의 연구개발시스템의 특징과 체제 = 29
제1절 독일의 연구개발시스템의 특징과 연구회체제 = 29
1. 독일의 연구개발시스템 특징 = 29
2. 독일 연구회 체제 = 30
제2절 영국의 연구회 체제 및 역할 = 33
1. 영국의 연구회 구성 = 33
2. 영국의 연구회 체제 및 역할 = 33
제3절 미국의 연구개발시스템과 특징 = 35
1. 미국의 연구개발시스템 = 35
2. 연방정부 차원의 S & T 조직 = 36
제4절 일본의 연구소 체제 및 독립행정법인 = 38
1. 일본의 연구소 체제 = 38
2. 일본의 독립행정법인 = 38
제5장 정부출연연구기관 운영에 대한 연구원들의 인식 = 40
제1절 조사의 틀 = 40
제2절 조사 개요 = 42
제3절 실태 분석 = 43
1. 표본의 특성 = 43
2. 구조적 환경 = 44
3. 제도적 환경 = 55
4. 정부출연(연)의 조직운영 = 61
5. 정부출연(연)의 인사관리 = 64
6. 정부출연(연)의 연구과제관리 = 67
제6장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과 전략 = 71
제1절 제도적 환경 = 71
1. 연구비지원제도 = 71
2. 기관평가제도 = 77
3. 연구원 인사제도 = 81
제2절 구조적 환경 = 89
1. 연구회 구조 = 89
2. 정부출연(연) 구조 = 95
제3절 조직내부 변수 = 100
1. 조직운영 = 100
2. 연구인력 = 103
3. 연구과제운영 = 107
제7장 결론 = 111
참고문헌 = 116
【부록Ⅰ : 인식조사결과】 = 120
【부록Ⅱ : 설문지】 =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