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간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

인간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 (13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형엽
서명 / 저자사항
인간과 언어 :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 / 김형엽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울아카데미 ,   2001.  
형태사항
316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 427
ISBN
8946029102(양장) 8946029110(학생판)
서지주기
참고문헌(p.305-308)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언어이론,,
000 00850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750638
005 20100807073636
007 ta
008 011026s2001 ulka 001a kor
020 ▼a 8946029102(양장) ▼g 94700 : ▼c \19000
020 ▼a 8946029110(학생판) ▼g 94700
035 ▼a KRIC08063087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49 1 ▼l 111206534 ▼f 개가 ▼l 111206535 ▼f 개가
082 0 4 ▼a 410 ▼2 21
090 ▼a 410 ▼b 2001e
100 1 ▼a 김형엽 ▼0 AUTH(211009)115478
245 1 0 ▼a 인간과 언어 : ▼b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 / ▼d 김형엽 지음.
246 1 1 ▼a (A)history of linguistics : from Panini to Chomsky
260 ▼a 서울 : ▼b 한울아카데미 , ▼c 2001.
300 ▼a 316 p.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427
504 ▼a 참고문헌(p.305-308)과 색인수록
653 ▼a 언어이론
900 1 1 ▼a Hyoung-youb, Ki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1120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11206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중어중문학과 C09 K79 등록번호 111446825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511176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511176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112065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11206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중어중문학과 C09 K79 등록번호 111446825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511176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 2001e 등록번호 1511176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형엽(지은이)

고려대학교 글로벌학부 영미학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 학사학위,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학 석사학위,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음운론, 형태론, 영어교육, 번역학, 언어철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왜 우리 아이의 영어성적은 오르지 않을까?: 좌·우뇌 통합 영어독서법』(공저, 2016), 『인간과 언어: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왜 우리만이 언어를 사용하는가: 언어와 진화』(2018), 『언어의 역사』(2016), 『언어의 탄생』(2013)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 3
제1장 고대 인도의 대표적 언어이론 = 11
  1. 파니니(P a ? nini) = 18
  2. 바르트라리(Bhartrhari) = 23
제2장 그리스의 언어이론 = 27
  1. 그리스 시대의 언어학적 발전 = 31
    1) 소피스트(Sophists) = 33
    2) 소크라테스(Socrates) = 35
    3) 플라톤(Plato) = 36
    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 37
    5) 스토아(Stoics) 학파 = 42
  2. 그리스 시대의 두 논쟁 = 47
    1) 필연주의와 관습주의(Nature vs. Convention) = 50
    2) 규칙성과 비규칙성(Analogy vs. Anomaly) = 55
  3. 전통문법의 태동 = 60
    1) 디오니시우스 스락스(Dionysius Thrax) = 63
    2) 아폴로니우스 디스콜루스(Appollonius Dyscolus) = 68
    3) 헤로디안(Herodian) = 69
제3장 로마 시대의 언어이론 = 70
  1. 그리스 시대 말엽의 언어학 = 70
  2. 로마의 언어이론과 그리스 언어이론과의 관련성 = 71
    1) 바로(Varro) = 74
    2) 도나투스(Donatus) = 78
    3) 프리지안(Priscian) = 78
  3. 로마 시대와 초기 유럽 = 82
    1) 유럽 각 지역에서의 방언의 국어화 과정 = 83
    2) 언어이론의 태동 = 84
    3) 유럽 각국 출현의 시대 상황과 각 지역에서의 언어이론의 발전 = 97
제4장 중세 유럽의 언어이론 = 100
  1. 모디스테(Modistae) = 103
  2. 문예부흥과 당시의 라틴어의 변화 = 110
  3. 단테와 사전의 출현 = 113
    1) 단테(Dante) = 113
    2) 네브리야(Nebrija) = 114
    3) 『크루스카 아카데미아』(Academia della Crusca) = 115
    4) 프랑스 왕립학회(Acad e' mie Francaise) = 116
    5) 보줄라(de Vaugelas) = 118
    6) 사무엘 존슨(Sasmuel Johson) = 119
  4. 유럽 각국의 식민지 건설과 언어이론 = 119
    1) 사세티(Sassetti) = 122
    2) 스칼리저(J. C. Scaliger) = 123
    3) 존 버네트(John Burnett) = 124
    4) 코메니우스(Comenius) = 125
    5) 윌킨스(John Wilkins) = 127
    6) 라우스(Robert Lowth) = 127
  5. 사변언어학(speculative grammar) = 128
    1) 사변언어학자 = 130
    2)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논쟁 = 139
  6. 자연주의 철학과 언어이론 = 141
    1) 루소(J. Rousseau) = 142
    2) 윌킨스(John Wilkins) = 143
    3) 헤르더(Herder) = 144
제5장 역사언어이론 = 146
  1. 이론의 발생동기 = 146
    1) 사상적인 배경 = 146
    2) 역사언어학의 언어관 및 이론체계 = 148
  2. 역사언어학자 = 152
    1) 윌리암 존스 경(Sir William Jones) = 153
    2) 역사언어학의 초기 학자 = 154
    3) 야곱 그림(Jacob Grimm) = 159
  3. 언어계보와 계보 확정에 따른 이론들 = 161
    1) 언어계보 = 162
    2) 계보 형식과 관련된 이론들 = 163
  4. 신문법주의와 방언학 = 168
    1) 신문법주의 = 168
    2) 신문법주의의 반대 학파들 = 178
  5. 고고학적 발견과 언어이론과의 관련성 = 197
    1) 상형문자(hieroglyph) = 198
    2) 설형문자(cuneiform) = 199
제6장 근대 유럽의 언어이론 = 202
  1. 훔볼트(Wilhelm von Humboldt) = 204
    1) 언어의 상대성 = 205
    2) 언어의 의사소통 = 209
    3) 언어의 구조 = 211
    4) 언어유형론 = 212
  2.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 = 215
    1) 역사언어학과 구조주의 = 218
    2) 소쉬르 언어이론의 주된 요점 = 220
  3. 프라하 학파(Prague Linguistic Circle) = 248
    1) 마테시우스(Mathesius) = 249
    2) 트루베츠코이(Nikolai Sergeyevich Trubetzkoy) = 253
    3) 뷔흐러(Karl B u ·· hler) = 256
    4) 야콥슨(Roman Osipovich Jakobson) = 260
    5) 마르티네(Andre Martinet) = 263
  4. 덴마크의 언어학 = 266
    1) 예름스레브(Louis Hjelmslev) = 266
    2) 『언어이론에 대한 서설(序說)』(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 268
    3) 이론의 적합성 = 270
    4) 언어 사이의 비교 = 271
제7장 미국의 언어이론 = 273
  1. 기술언어학 이론 = 273
  2. 기술언어학자들 = 275
    1) 프란츠 보아스(Frinz Boas) = 275
    2) 에드워드 사피르(Edward Sapir) = 277
    3) 벤자민 리 호르프(Benjamin Lee Whorf) = 279
    4) 레오나르드 블룸필드(Leonard Bloomfield) = 282
제8장 현대 언어학 이론 = 287
  1. 노암 촘스키(Avram Noam Chomsky) = 287
  2. 언어학에 대한 정의 = 288
  3. 촘스키의 언어이론 = 291
    1) 언어를 기술하기 위한 통사론적 접근방법 = 293
    2) 통사론상의 기술 방법에 대한 정리 = 302
    3) 생성변형문법 이론의 모델 = 303
참고문헌 = 305
찾아보기 = 3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