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화가 최용건의 진동리 일기)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 (3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용건
서명 / 저자사항
(화가 최용건의 진동리 일기)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 / 최용건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푸른숲 ,   2001.  
형태사항
231 p. : 채색삽도 ; 24 cm.
ISBN
8971843314
000 00642c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50513
005 20100807073443
007 ta
008 011227s2001 ulka 000de kor
020 ▼a 8971843314 ▼g 03810 : ▼c \15000
035 ▼a KRIC08096707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21058204 ▼f 과학 ▼l 121058205 ▼f 과학 ▼l 111209250 ▼f 개가 ▼l 111209251 ▼f 개가
082 0 4 ▼a 897.46
090 ▼a 897.46 ▼b 최용건 조
100 1 ▼a 최용건 ▼0 AUTH(211009)143712
245 2 0 ▼a (화가 최용건의 진동리 일기)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 / ▼d 최용건 지음.
260 ▼a 서울 : ▼b 푸른숲 , ▼c 2001.
300 ▼a 231 p. : ▼b 채색삽도 ; ▼c 24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112092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112092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410142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210582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51121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51121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112092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112092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410142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210582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51121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897.46 최용건 조 등록번호 151121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전에 <흙에서 일구어낸 작은 행복>으로 귀농의 즐거움을 들려주었던 최용건 화가가 또 한번 귀농 소식을 전한다. 강원도 인제군 진동계곡에서의 5년 살이를 일기처럼 솔직하게 써내려 간 것이다.

벌치기에 민박까지 살기 위한 생계수단을 확보하는 데 거진 5년의 세월을 보냈다. 자급자족의 원칙에서 온갖 농작물이란 농작물도 다 심어보았다. 하지만, 그 중에서 실하게 수확을 올린 건 별로 없다. 그러나 그게 어떻단 말인가.

귀농할 때 이미 욕심까지 버리지 않았던가. 그러기에 책제목도 '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이다. 말만 그럴 듯 한 게 아니라, 실제로 그의 생활과 살림은 산술적으로 보면 퍽 가난하다(월소득 70만원). 그러나 그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소박한 살림의 행복을 잘 알고 있다.

아주 단정하고 아름다운 글이다. 글이 주는 단정함은 살아가는 일과 자연에서 취한 소재 덕분에 활달하고 드넓다. 그가 그린 100컷의 수묵채색화도 글을 더욱 담백하게 한다. 아직 산문의 맛을 못 느껴본 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볼 것을 권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용건(지은이)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강원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후 서울로 유학, 서울대학교 회화과(동양화 전공)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1996년 여름 도회생활을 청산한 뒤 부인과 함께 진동리에 '하늘밭 화실'을 열고 약간의 경작과 더불어 민박을 치면서 살았다. 지금은 인도 라다크에 머무르면서 글쓰는 일과 그림그리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공주대, 강원대 강사를 역임했으며, 개인전과 단체전, 국제전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흙에서 일구어낸 작은 행복>, <조금은 가난해도 좋다면>, <하하하>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春
 진동리의 새벽 = 12
 곡우를 기다리며 = 13
 큰 깨달음 = 18
 좋은 하루였다 = 19
 별빛의 방화 = 22
 도라지 씨앗을 파종하며 = 23
 까다로운 경운기 운전 = 24
 체념 후에 = 26
 산동백이 피었다 = 27
 신이 마련한 축제 = 29
 멍청한 바우 = 31
 목련꽃 피던 날 = 33
 PC방 단골손님이 된 사연 = 34
 마지막 사부를 찾아서 = 36
 세 번의 실망 = 39
 현재 시각은 평화시 = 41
 인내심 하나는 자신있다 = 44
 노동의 기쁨이란 것 = 46
 민박 치며 벌 치며 = 48
 토목 일 목공 일 = 52
 산간의 일몰은 장엄하다 = 54
 부끄러워서 못 견디겠다 = 56
 그리움은 골짝마다 = 57
 권태로울 때는 = 59
 오로지 현재 = 60
 내가 지은 방갈로 = 61
 분봉의 감격 = 62
 봄이 가려나 = 65
夏
 아내 = 68
 오후 4시, 한계령에서 = 69
 아쉬운 아내 = 73
 마음이 평화로운 날 = 76
 옷고름이나 동여매야겠다 = 78
 개망초를 사랑하게 됨은 = 80
 물을 건너는 두더쥐 = 82
 동심초 = 83
 꿈꾸는 치커리 꽃 = 85
 할아버지라니 = 87
 칡꽃이 피었다 = 89
 평상에 누워〈당진일기〉를 읽다 = 91
 청빈한 미각 = 93
 가랑비 속에서 = 96
 주사 = 98
 큰비가 내렸다 = 99
 지은 죄도 없는데 = 103
 별 = 104
 외계인들이 = 106
 일월 성신의 운행처럼 = 108
 무엇을 잘못했단 말인가? = 110
 눌변에 대한 위안 = 112
 귀뚜라미 = 116
 오직 자연뿐 = 117
 알 것 같다 = 119
 환절기 = 120
 소리 = 122
秋
 경운기 몰고 30리길 = 126
 콩 타작 = 129
 대작 유감 = 130
 들녘뿐만 아니라 인간세에도 = 132
 생쥐란 놈이… = 134
 우리 가족 네 식구 = 136
 양 날개를 가지고 있다는 것 = 138
 우화등선 = 140
 9월 = 144
 천국에도 달이 뜬다면 = 146
 예인藝人은 자멸自滅한다 = 148
 달빛 화석이 되고 싶은 밤 = 151
 어떤 사람일까 = 152
 가을이란 계절 = 155
 이곳에 깃든 까닭 = 156
 국화 향 = 158
 강원도의 길 = 160
 행복이란 간이역사 = 162
 할머니와 커피 값 = 164
 칠선차를 달여 마시며 = 168
 낙엽송이 비처럼 내리는 시절 = 171
 폭풍이 사라진후 = 174
 '신의 손' 카센터 주인 = 175
 도적놈처럼 귀가를 하다 = 178
冬
 새들에게 먹이를 주다 = 182
 마음속의 DMZ 183 = 183
 11월 저물 무렵 = 186
 구슬땀을 흘리며 쓰레기를 줍다 = 187
 영혼의 새를 날려보낸다 = 190
 상서로운 예감 = 191
 잡지 보는 시간 = 192
 오늘 = 194
 오색은 다투어 묵으로 돌아가니… = 196
 패싸움 = 198
 명예혁명 = 201
 생상을 들으며 잠자는 오리들 = 202
 목하 행복 중 = 204
 그리움의 극지 = 207
 '반가사유상'을 보는 마음 = 208
 겨울 한가운데 = 210
 묵화의 세계 = 211
 노래를 부르라 = 213
 눈 오는날 = 215
 절골의 백설공주 = 216
 결혼식장에서 = 221
 세차와 차량수명 = 222
 아깝다!붕어싸만코 = 225
 봄이 오고 있다 = 227
발문·행복한 세계로의 기분 좋은 초대 / 구본형 = 23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