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여는장 / 김석준 = 11
제1부 사이버 국가와 사이버 거버넌스 = 25
제1장 한국 사회의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 = 27
Ⅰ. 서론 = 27
Ⅱ. 기존 거버넌스 이론의 한계와 한국 사회 뉴 거버넌스 모형의 도출 = 28
Ⅲ. 국가 차원의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 국가 : 국가, 시장, 시민사회의 관계 형성 = 36
Ⅳ. 정부 및 행정관리 차원의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의 모색 = 43
Ⅴ.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의 주요 과제 = 57
Ⅵ. 결론 = 65
제2장 지식사회의 거버넌스 : 지식정부의 구조와 기능 = 69
Ⅰ. 서론 = 69
Ⅱ. 지식정부의 개념과 배경 = 71
Ⅲ. 지식정부의 조직구조적 요건 = 77
Ⅳ. 지식정부의 기능적 조건 = 86
Ⅴ. 지식정부의 한계와 극복 방안 = 96
Ⅵ. 결론 = 98
제3장 뷰로크라시, 사이버 뷰로크라시, 메커노크라시 : 자유의 관점에서 = 100
Ⅰ. 서론 = 100
Ⅱ. 자유와 관점에서 되돌아본 '관료의 지배' = 102
Ⅲ. 디지털 시대와 사이버 뷰로크라시 = 113
Ⅳ. 다음세상 : 메커노크라시의 도래 = 122
Ⅴ. 결론 = 131
제4장 사이버 거버넌스와 다원적 사이버 국가행정 모형 = 133
Ⅰ. 서론 = 133
Ⅱ. 정보통신 기술이 민주행정에 미치는 영향 = 134
Ⅲ. 신공공관리와 사이버 거버넌스 = 137
Ⅳ. 다원적 사이버 국가행정 모형 = 141
Ⅴ. 결론 = 145
제2부 사이버 거버넌스와 전자정부 = 149
제5장 사이버 거버넌스와 전자정부 : 개념적 관계와 이슈 = 151
Ⅰ. 서론 = 151
Ⅱ. 전자정부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유형 = 156
Ⅲ. 정보통신 기술의 속성과 사이버 거버넌스, 전자정부와의 관계 = 161
Ⅳ. 전자정부의 구현 과정의 문제점 및 사이버 거버넌스의 가능성 = 166
Ⅴ. 결론 = 175
제6장 전자정부 구현사업의 성격 : 국가간 비교 분석 = 177
Ⅰ. 서론 = 177
Ⅱ. 각국의 사례에서 본 전자정부 구현의 주요 논점 비교 = 179
Ⅲ. 바람직한 전자정부의 구현 범위 및 정책 방향 = 195
Ⅳ. 전자정부 사업의 정책 방향 = 199
제7장 세계각국의 전자정부 구현 현황 = 202
Ⅰ. 서론 = 202
Ⅱ. 세계 각국의 전자정부 구현 현황 = 203
Ⅲ. 시사점 및 정책 방향 = 262
제3부 사이버 거버넌스와 사이버 행정 = 267
제8장 사이버 거버넌스와 보편적 서비스 정책 = 269
Ⅰ. 서론 = 269
Ⅱ. 사이버스페이스, 사이버 거버넌스와 보편적 서비스 정책 = 270
Ⅲ.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과 보편적 서비스 정책의 과제 = 276
Ⅳ. 보편적 서비스 정책의 내용 = 281
Ⅴ. 결론 = 291
제9장 사이버 거버넌스의 논리와 사례 : 행정자치부 사이버 민원실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294
Ⅰ. 서론 = 294
Ⅱ. 이론적 분석틀 = 297
Ⅲ. 경험적 분석 = 306
Ⅳ. 분석 결과의 합의 = 315
제10장 공공부문 인력관리정보 시스템의 이론과 실례 = 320
Ⅰ. 서론 = 320
Ⅱ. 인력관리정보 시스템의 개념 = 323
Ⅲ.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책 지원 시스템 = 326
Ⅳ. 서울시 사이버 인력관리 시스템 = 334
Ⅴ. 민간기업 사례 소개 : 삼성그룹 PDSS = 341
Ⅵ. 공공 부문 인력관리정보 시스템의 발전 방향 = 343
제11장 사이버 거버넌스와 인터넷 GIS = 345
Ⅰ. 서론 = 345
Ⅱ. 신공공관리의 등장 = 346
Ⅲ. 사이버 거버넌스에 대하여 = 351
Ⅳ. 인터넷 GIS에 대하여 = 358
Ⅴ. 인터넷 GIS를 활용한 사이버 거버넌스 = 362
Ⅵ. 인터넷 GIS를 활용한 사이버 거버넌스의 문제점과 구축 방안 = 366
Ⅶ. 결론 = 372
닫는 장 / 김석준 = 373
참고 문헌 = 378
찾아보기 =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