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譯者序文
著者序文
제Ⅰ부 導入
제1장 社會學理論의 歷史的 槪括 - 草創期 = 19
제1절 社會學理論의 發展에 作用한 社會的 힘 = 22
1. 政治的 革命 = 22
2. 産業革命과 資本主義의 勃興 = 23
3. 社會主義의 勃興 = 24
4. 都市化 = 25
5. 宗敎的 變化 = 25
6. 科學의 成長 = 26
제2절 知的인 힘과 社會學理論의 勃興 = 27
1. 啓蒙主義와 프랑스에서의 社會學의 創建 = 27
2. 칼 마르크스와 獨逸社會學의 發展 = 41
3. 英國社會學의 起源 = 67
4. 이탈리아 社會學 - 파레토와 모스카 = 74
5. 世紀의 轉換期 - 유럽마르크스주의의 발전 = 76
要約 = 77
제2장 社會學理論의 歷史的 槪括 - 後期 = 79
제1절 初期의 美國社會學理論 = 79
1. 初期美國社會學의 政策 = 81
2. 社會變動 - 知的인 흐름과 初期의 美國社會學 = 82
3. 시카고학파 = 87
제2절 20세기 중엽까지의 社會學理論 = 96
1. 하버드 및 아이비리그의 융성과 構造機能主義 = 96
2. 시카고학파의 쇠퇴 = 103
3. 마르크스주의이론의 발전 = 104
제3절 20세기 중엽에서 오늘날까지의 社會學理論 = 106
1. 構造機能主義 - 그 절정과 쇠퇴 = 106
2. 미국의 急進社會學 - C. 라이트 밀즈 = 108
3. 葛藤理論의 發展 = 109
4. 교환이론의 발생 = 111
5. 演技論的 分析 - 어빙고프만의 업적 = 113
6. 創造的 社會學의 展開 = 115
7. 體系理論의 隆盛과 沒落 = 119
8. 마르크스주의 社會學의 上昇 = 120
9. 다른 最新理論들 = 122
要約 = 125
제Ⅱ부 主要理論들
제3장 構造機能主義와 葛藤理論의 出現 = 131
제1절 構造機能主義 = 131
1. 歷史的 起源 = 133
2. 파슨즈의 構造機能主義 = 136
3. 能主主義階層論과 그에 대한 批判 = 153
4. 社會의 機能的 要件들 = 156
5. 로버트 머튼의 構造機能主義 모델 = 163
6. 빈곤의 構造機能主義的 分析 = 168
7. 主要批判들 = 174
제2절 現代的 代案의 出現 - 葛藤理論 = 180
1. 다렌도르포의 業績 = 181
2. 構造機能主義와 葛藤論을 調和시키려는 努力들 = 189
3. 보다 統合된 葛藤論 - 랜달 콜린스 = 193
4. 보다 마르크스적인 葛藤論의 定立을 위하여 = 199
要約 = 203
제4장 新마르크스主義理論들 = 207
제1절 經濟決定論 = 209
제2절 헤겔학파 마르크스주의 = 211
1. 게오르크 루카치 = 211
2. 안토니오 그람시 = 215
제3절 批判理論 = 216
1. 主要批判들 = 217
2. 主要한 功績 = 223
제4절 構造主義的 마르크스주의 = 230
1. 다른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대한 構造主義者들의 批判 = 231
2. 構造主義的 마르크스주의자들의 中心的 主張 = 233
3. 마르크스의 再分析 - 루이 알튀쎄의 업적 = 234
4. 모리스 고들리에 - 經濟的 合理性과 非合理性 = 242
5. 니코스 풀란차스 - 경제, 정치, 이데올로기 = 247
6. 構造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批判的 反應들 = 253
제5절 新마르크스主義 經濟社會學 = 256
1. 獨占資本 = 256
2. 勞動과 獨占資本 = 260
제6절 歷史學的 마르크스주의 = 267
1. 近代世界體系 = 267
2. 國家와 社會革命 = 274
3. 硏究成果 = 277
要約 = 279
제5장 象徵的 相互作用論 = 281
제1절 主要한 歷史的 起源 = 281
제2절 미드 - 精神, 自我, 社會 = 288
1. 精神 = 289
2. 自我 = 292
3. 社會 = 294
제3절 現代의 象徵的 相互作用論 = 295
1. 思考能力 = 295
2. 事故와 相互作用 = 297
3. 意味와 象徵의 學習 = 298
4. 行爲와 相互作用 = 301
5. 選擇 = 301
6. 自我 = 302
7. 集團과 社會 = 314
제4절 方法論的 原理 = 317
제5절 批判 = 321
제6절 보다 적합한 象徵的 相互作用論을 향하여 = 323
要約 = 326
제6장 現象學과 民俗方法論 = 329
제1절 類似性과 差異點 = 330
제2절 現象學的 社會學 = 334
1. 에드문드 흣썰의 思想 = 334
2. 알프레드 슈츠의 思想 = 339
3. 現代의 現象學的 社會學 - 그 유형과 공통된 특징 = 361
4. 現代現象學的 社會學의 본보기 = 363
제3절 民俗方法論 = 377
1. 民俗方法論의 例 = 378
2. 傳統社會學 批判 = 391
3. 民俗方法論의 基本計劃 = 394
4. 構造的 緊張의 傾向 = 399
5. 社會構造를 向하여 = 401
要約 = 401
제7장 交換理論과 行動主義社會學 = 407
제1절 스키너의 行動主義 = 409
제2절 行動主義社會學 = 413
1. 基本槪念들 = 414
2. 行動의 修正 = 417
제3절 交換理論 = 420
1. 호맨즈와 듀르껭 = 420
2. 호맨즈와 데비스트로스 = 424
3. 호맨즈와 構造機能主義 = 427
4. 호맨즈의 基本命題들 = 430
5. 호맨즈의 社會文化理論에 대한 批判 = 439
6. 블라우의 巨視的 交換理論 = 441
7. 호맨즈의 意識理論 批判 = 448
제4절 行動理論의 現段階 = 452
要約 = 456
제8장 오늘날의 社會學理論 = 459
제1절 行動理論 - 소멸에 직면하여 = 460
제2절 體系理論 - 일시적 상승과 쇠퇴 = 465
제3절 生物社會學 = 471
1. 生物社會學 - 하나의 학문분야? = 475
2. 生物社會學 - 하나의 새로운 사회학 패러다임? = 476
3. 生物社會學 - 하나의 사회학이론? = 479
제4절 構造主義 = 480
1. 構造主義 - 하나의 학문분야? = 481
2. 構造主義 - 하나의 새로운 사회학 패러다임? = 491
3. 構造主義 - 하나의 사회학이론? = 494
제5절 巨視構造理論 = 495
제6절 實存社會學 = 509
1. 實存主義와 現象學 = 508
2. 實存社會學 - 주요관심사 = 510
3. 앞으로의 전망 = 511
제7절 結論 = 512
제8절 마지막 評價 = 513
補論 : 社會學理論의 分析을 위한 하나의 圖式 = 517
제1절 토마스 쿤의 思想 = 518
제2절 社會學 - 복합 패러다임의 과학 = 521
제3절 좀더 통합된 社會學 패러다임을 향하여 = 526
1. 社會現實의 水準들 - 관련 문헌의 검토 = 527
2. 社會現實의 水準들 - 하나의 모델 = 533
參考文獻 = 538
事項索引 = 571
人名索引 = 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