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미국ㆍ독일ㆍ 영국 비교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미국ㆍ독일ㆍ 영국 비교 (4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대봉 權大鳳
서명 / 저자사항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미국ㆍ독일ㆍ 영국 비교 / 권대봉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1.  
형태사항
251 p. : 도표 ; 23 cm.
ISBN
8975485862
서지주기
참고문헌(p.241-246)과 색인수록
000 00673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50124
005 20100807072748
007 ta
008 011109s2001 ulkd 001a kor
020 ▼a 8975485862 ▼g 93370 : ▼c \9000
035 ▼a KRIC08067572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6658 ▼f 개가 ▼l 111206659 ▼f 개가
082 0 4 ▼a 370.113 ▼a 331.2592 ▼2 21
090 ▼a 370.113 ▼b 2001
100 1 ▼a 권대봉 ▼g 權大鳳 ▼0 AUTH(211009)50825
245 1 0 ▼a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b 미국ㆍ독일ㆍ 영국 비교 / ▼d 권대봉 지음.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1.
300 ▼a 251 p. : ▼b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241-246)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112066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112066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511179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112066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112066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70.113 2001 등록번호 1511179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대봉(지은이)

미국 미시간주립대·국민대·고려대에서 HRD 연구와 강의 고려대 교육대학원장 및 사범대학장 한국인력개발학회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책연구기관KRIVET) 제5대원장 세계은행 컨설턴트 등 역임 현재 고려대 교육학과 명예교수·한국인력개발학회 고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27
 1. 직업교육 연계연구는 왜 필요한가? = 27
 2. 직업교육 연계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 29
 3. 직업교육 연계의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30
Ⅱ. 일과 학습 = 31
 1. 평생학습사회 - 일과 학습의 연계 필요성 = 31
  1) 패러다임의 전환 = 31
  2) 학력중심사회로부터 능력중심사회로의 변화 = 36
  3) 학습과 일의 생활화 = 40
 2.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 기본 방향 = 43
  1) 개인의 삶의 통합 = 44
  2) 사회 부문간 통합 = 45
  3) 실질적인 개인 능력과 국가 발전 = 49
Ⅲ. 한국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53
 1. 현황 = 53
  1) 직업교육제도 = 53
   (1) 중등교육단계의 직업교육 = 53
   (2) 고등교육단계의 직업교육 = 59
  2) 직장훈련 = 61
  3) 자격 연계 = 63
  4) 산학협동 프로그램 = 65
   (1) 학교기업 = 68
   (2) 창업보육센터 = 69
   (3) 산학연구단지 = 70
 2. 법과 제도 = 71
  1) 직업교육훈련촉진법 및 동 시행령 = 71
  2) 산업교육진흥법 및 동 시행령 = 72
  3) 산업기술단지조성 관련법 = 74
 3. 운영체계 = 75
 4. 직업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의 문제점 = 78
Ⅳ.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의 외국 사례 = 89
 1. 미국 = 89
  1) 현황 = 89
   (1) 산업구조의 변화와 새로운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의 요구 = 89
   (2)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활동의 현황 = 92
  2) 법과 제도 = 94
   (1) 미국의 교육구조 = 94
   (2) 중등교육수준에서의 직업교육과정 = 94
   (3) 중등교육이상 수준에서의 직업교육과정 = 97
   (4) 미국의 직업준비교육 및 직장 내 계속교육 관련법 = 99
  3) 운영체계 = 108
   (1) 직업교육의 행정체계 = 108
   (2) 미국 내 각 주의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의 목적과 운영체계 = 112
   (3) 미국에서의 자격제도 = 121
   (4)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 프로그램 = 130
 2. 독일 = 154
  1) 현황 = 154
   (1) 독일 교육제도의 개관 = 154
   (2) 직업교육(양성훈련)과 직장 내 훈련(계속훈련)의 현황 = 157
  2) 법과 제도 = 164
   (1) 직업훈련법(Berufsbildungsgesetz ; BBiG) = 165
   (2) 고용촉진법(Arbeitsf$$\ddot o$$rderungsgesetz) = 165
   (3) 자격제도 = 166
   (4) 양성훈련(취업 전 직업교육)과 계속교육의 연계 = 169
   (5) 자격증의 연계 = 172
  3) 운영체계 = 175
   (1) 관련부서 = 175
   (2) 관련기관 = 177
  4) 세부프로그램 사례 = 178
 3. 영국 = 181
  1) 현황 = 181
   (1) 교육제도 개요 = 181
   (2) 영국의 직업교육 = 183
   (3)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 190
  2) 연계에 관한 법과 제도적 측면 = 193
   (1) 인문자격(GCSE :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GCE A Level = 195
   (2) 국가직업자격(NVQs/SVQ : National/Scottish Vocational Qualification) = 196
   (3) 일반국가직업자격(GNVQs :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 198
   (4) 자격제도 현황 = 201
   (5) 영국의 직업교육 연계 = 203
  3) 운영체계 = 205
   (1) 교육고용부(DfEE :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raining) = 207
   (2) 자격 및 교육과정원(QCA : Qualification and Curriculum Authority) = 207
   (3) 선도단체(Lead body) = 208
   (4) 검정단체(Awarding body) = 208
   (5) 기타 직업훈련 관련 기구 = 210
Ⅴ. 미국, 독일, 영국의 정부, 기업, 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연계 역할 = 213
 1. 미국 = 213
  1) 정부의 역할 = 213
  2) 기업의 역할 = 216
  3) 교육기관의 역할 = 218
 2. 독일 = 220
  1) 정부의 역할 = 220
  2) 기업의 역할 = 221
  3) 교육기관의 역할 = 222
 3. 영국 = 223
  1) 정부의 역할 = 224
  2) 기업의 역할 = 225
  3) 교육기관의 역할 = 226
Ⅵ. 교육연계를 위한 한국의 정부, 기업, 교육기관 역할 = 229
 1. 정부의 역할 = 232
 2. 기업의 역할 = 235
 3. 교육기관의 역할 = 237
참고문헌 = 241
찾아보기 = 24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