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27
1. 직업교육 연계연구는 왜 필요한가? = 27
2. 직업교육 연계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 29
3. 직업교육 연계의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30
Ⅱ. 일과 학습 = 31
1. 평생학습사회 - 일과 학습의 연계 필요성 = 31
1) 패러다임의 전환 = 31
2) 학력중심사회로부터 능력중심사회로의 변화 = 36
3) 학습과 일의 생활화 = 40
2.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 기본 방향 = 43
1) 개인의 삶의 통합 = 44
2) 사회 부문간 통합 = 45
3) 실질적인 개인 능력과 국가 발전 = 49
Ⅲ. 한국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 53
1. 현황 = 53
1) 직업교육제도 = 53
(1) 중등교육단계의 직업교육 = 53
(2) 고등교육단계의 직업교육 = 59
2) 직장훈련 = 61
3) 자격 연계 = 63
4) 산학협동 프로그램 = 65
(1) 학교기업 = 68
(2) 창업보육센터 = 69
(3) 산학연구단지 = 70
2. 법과 제도 = 71
1) 직업교육훈련촉진법 및 동 시행령 = 71
2) 산업교육진흥법 및 동 시행령 = 72
3) 산업기술단지조성 관련법 = 74
3. 운영체계 = 75
4. 직업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의 문제점 = 78
Ⅳ. 직업준비교육과 직장계속교육 연계의 외국 사례 = 89
1. 미국 = 89
1) 현황 = 89
(1) 산업구조의 변화와 새로운 직업교육 및 직업훈련의 요구 = 89
(2)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활동의 현황 = 92
2) 법과 제도 = 94
(1) 미국의 교육구조 = 94
(2) 중등교육수준에서의 직업교육과정 = 94
(3) 중등교육이상 수준에서의 직업교육과정 = 97
(4) 미국의 직업준비교육 및 직장 내 계속교육 관련법 = 99
3) 운영체계 = 108
(1) 직업교육의 행정체계 = 108
(2) 미국 내 각 주의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의 목적과 운영체계 = 112
(3) 미국에서의 자격제도 = 121
(4) 학교와 일터간의 연계강화 프로그램 = 130
2. 독일 = 154
1) 현황 = 154
(1) 독일 교육제도의 개관 = 154
(2) 직업교육(양성훈련)과 직장 내 훈련(계속훈련)의 현황 = 157
2) 법과 제도 = 164
(1) 직업훈련법(Berufsbildungsgesetz ; BBiG) = 165
(2) 고용촉진법(Arbeitsf$$\ddot o$$rderungsgesetz) = 165
(3) 자격제도 = 166
(4) 양성훈련(취업 전 직업교육)과 계속교육의 연계 = 169
(5) 자격증의 연계 = 172
3) 운영체계 = 175
(1) 관련부서 = 175
(2) 관련기관 = 177
4) 세부프로그램 사례 = 178
3. 영국 = 181
1) 현황 = 181
(1) 교육제도 개요 = 181
(2) 영국의 직업교육 = 183
(3) 직업교육의 발전 방향 = 190
2) 연계에 관한 법과 제도적 측면 = 193
(1) 인문자격(GCSE :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GCE A Level = 195
(2) 국가직업자격(NVQs/SVQ : National/Scottish Vocational Qualification) = 196
(3) 일반국가직업자격(GNVQs :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 = 198
(4) 자격제도 현황 = 201
(5) 영국의 직업교육 연계 = 203
3) 운영체계 = 205
(1) 교육고용부(DfEE :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raining) = 207
(2) 자격 및 교육과정원(QCA : Qualification and Curriculum Authority) = 207
(3) 선도단체(Lead body) = 208
(4) 검정단체(Awarding body) = 208
(5) 기타 직업훈련 관련 기구 = 210
Ⅴ. 미국, 독일, 영국의 정부, 기업, 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연계 역할 = 213
1. 미국 = 213
1) 정부의 역할 = 213
2) 기업의 역할 = 216
3) 교육기관의 역할 = 218
2. 독일 = 220
1) 정부의 역할 = 220
2) 기업의 역할 = 221
3) 교육기관의 역할 = 222
3. 영국 = 223
1) 정부의 역할 = 224
2) 기업의 역할 = 225
3) 교육기관의 역할 = 226
Ⅵ. 교육연계를 위한 한국의 정부, 기업, 교육기관 역할 = 229
1. 정부의 역할 = 232
2. 기업의 역할 = 235
3. 교육기관의 역할 = 237
참고문헌 = 241
찾아보기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