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59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00750117 | |
005 | 20101026104557 | |
007 | ta | |
008 | 011011s2001 ulka b 001c kor | |
020 | ▼a 8910451742 ▼g 93350 | |
035 | ▼a KRIC08047370 | |
040 | ▼a 211059 ▼c 211059 ▼d 211009 ▼d 244002 | |
049 | 1 | ▼l 111206472 ▼f 개가 ▼l 111206473 ▼f 개가 ▼i 121059181 ▼f 과학 ▼i 121059182 ▼f 과학 |
082 | 0 4 | ▼a 351 ▼2 21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01i | |
245 | 0 0 | ▼a 행정기획론 / ▼d 최신융 [외] |
260 | ▼a 서울 : ▼b 博英社, ▼c 2001 | |
300 | ▼a xi, 447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최신융, 강제상, 김선엽, 이기종, 임영제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신융, ▼e 저 ▼0 AUTH(211009)62517 |
700 | 1 | ▼a 강제상, ▼e 저 |
700 | 1 | ▼a 김선엽, ▼e 저 |
700 | 1 | ▼a 이기종, ▼e 저 |
700 | 1 | ▼a 임영제,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112064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112064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210591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210591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511174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51117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112064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112064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210591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210591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511174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1 2001i | 등록번호 1511174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신융(지은이)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행정학박사) -현)숙명여자대학교 정치행정학부 교수현)한국규제학회 회장 -정치행정연구회 회장 역임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역임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비교발전연구소 연구원 역임 -한국행정연구원 자문위원 역임 -국가고시 및 지방공무원시험 출제위원 역임 -부동산학개론(부연사, 공저) -행정기획론(박영사, 공저) -한국의 환경지속성(대영문화사, 공저) -우리나라 국가지식정보자원 관리정책의 평가와 개선방안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윤리성 제고방안 -세계화 전략과 정부조직개편 -정부규제의 개혁과 정부, 기업의 책임 -정부규제에 관한 과정론적 접근과 통제방안 등
강제상(지은이)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행정관리, 행정조직, 인사행정 등이다(jskang@khu.ac.kr).
김선엽(지은이)
<행정기획론>
이기종(지은이)
<행정기획론>
임영제(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희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등에서 외래교수와 겸임교수를 역임하였다. 학회활동으로는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 및 총무위원, 한국인간관계학회 이사, 한국정책과학학회 연구이사, 안전행정부 정책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리더십·갈등관리·전략기획 등이며,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보건의료관리학과에 재직하면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저서] 행정학개론(박영사, 2006, 2010, 2015, 공저) 행정관리론(대영문화사, 2007, 2013, 2016, 공저) 조직행태론(윤성사, 2018, 공저) 조직론(윤성사, 2018, 공저) 리더십(대영문화사, 2021, 공저)

목차
목차 제1편 기획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기획의 의의와 본질 = 3 제1절 기획의 의의 = 3 1. 기획의 개념 = 3 2. 기획의 유사개념 = 6 3. 기획의 기능 및 용도 = 11 4. 기획의 필요성 및 특성 = 12 5. 기획의 한계 = 14 제2절 기획의 발달과정 = 18 1. 기획제도의 전개과정 = 18 2. 기획의 발달요인 = 23 3. 기획관의 변천 = 24 4. 기획과 민주주의 = 26 제3절 기획은 왜 하는가 = 27 1. 기획의 존재이유 = 27 2. 기획의 범위와 한계 = 29 3. 문제점과 전망 = 31 제2장 기획의 분류와 접근방법 = 34 제1절 기획의 분류 = 34 제2절 효과적 기획의 원칙 = 40 제3절 기획의 한계와 수정전략 = 43 1. 기획의 위기상황 = 43 2. 기획의 수정전략 = 44 3. 계획집행의 접근방법 = 46 제4절 기획가의 역할 = 47 1. 기술자-행정가 = 47 2. 동원가 = 48 3. 중재자 = 48 4. 기업가 = 48 5. 창도자 = 49 6. 기타 역할들 = 49 제3장 기획철학 = 53 제1절 기획의 이념 = 53 1. 기획의 이념 = 53 2. 국가개입에 따른 이념 모형 = 59 제2절 합리성과 기획 = 62 1. 합리성의 개념 = 63 2. 합리성에 관한 이론 = 63 3. 합리적기획의 제약요인 = 66 제3절 기획과 윤리 = 67 1. 윤리의 개념 = 67 2. 기획윤리의 특성 = 70 3. 기획윤리의 내용 = 70 4. 기획가의 윤리규범 = 73 제4절 기획과 참여 = 75 1. 행정참여의 의의 = 75 2. 시민참여의 대두와 필요성 = 76 3. 참여방식의 유형 = 77 4. 기획참여의 한계 = 79 5. 기획참여의 실제적 수단 = 80 6. 기획참여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 85 제2편 기획의 과정 제4장 기획의 과정 = 91 제1절 기획수립단계 = 91 1. 문제의 진단 = 91 2. 목표의 설정 = 93 3. 대안의 설계·탐색 및 비교·분석 = 99 4. 최종안의 선택 = 103 제2절 기획의 집행 = 108 1. 기획집행의 의의 = 108 2. 기획집행의 유형 = 110 3. 기획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1 제3절 기획의 평가 = 113 1. 기획평가의 의의 = 113 2. 기획평가의 방법 = 114 제5장 미래의 예측 = 117 제1절 미래 예측의 의의 = 117 1. 미래예측의 의의 = 117 2. 미래의 유형 = 119 3. 미래예측의 공통적 특징 = 121 4. 변동요인과 예측오차 = 122 제2절 미래예측을 위한 접근방법 = 124 1. 미래예측의 대상 = 124 2. 미래예측의 접근방법 = 125 제3절 정량적 접근방법 = 128 1. 시계열에 의한 예측법 = 128 2. 인과모형에 의한 예측법 = 135 제4절 정성적 접근방법 = 137 제5절 미래예측기법의 선정 = 141 제6장 기획의 집행과 통제 = 143 제1절 정부기획기구 = 143 1. 의의 = 143 2. 정부기획기능의 배분 = 144 3. 정부기획기구의 기능 = 144 4. 정부기획기구의 형태 및 한국의 기획기구 = 145 제2절 행정법상의 행정계획 = 152 1. 의의 = 152 2. 행정계획의 종류 = 153 3. 행정계획절차 = 154 4. 행정계획과 권리구제제도 = 156 제3절 기획의 조정 = 158 1. 조정의 의의 = 158 2. 조정의 유형 및 원칙 = 159 3. 조정의 과정 = 160 4. 조정의 방법 = 161 5. 조정의 저해요인 = 163 제4절 기획의 통제(시정조치) = 164 1. 관리통제의 의의 = 164 2. 관리통제의 원칙 = 169 3. 관리통제의 절차 = 171 제5절 심사평가 = 178 1. 심사평가의 의의 = 178 2. 심사평가의 절차 = 179 3. 심사평가의 유형 = 180 4. 심사평가의 문제점 = 182 제3편 기획의 계층과 유형 제7장 기획의 차원과 계층 = 185 제1절 기획의 차원과 계층의 구분 = 185 제2절 운영기획 = 187 1. 운영기획의 의의 = 187 2. 운영기획도구로서의 MBO = 189 제3절 장기전략계획 = 196 1. 장기전략계획의 의의 = 196 2. 장기전략계획의 영역과 수립 = 197 제4절 정책기획 = 199 1. 정책기획의 의의 = 199 2. 공공정책의 성격 및 기능 = 200 3. 정책과정 = 202 4. 정책과정과 기획 = 203 제8장 전략적 기획 = 209 제1절 전략적 기획의 의의 = 209 1. 전략적 기획의 의의 = 209 2.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 = 212 제2절 전략적 기획의 적용 = 215 1. 전략적 기획의 당위성 = 215 2. 전략적 기획의 전제로서의 환경분석 = 216 3. 전략적 기획의 과정 = 224 4. 전략적 기획의 제약요인과 확산요인 = 228 제9장 프로젝트 기획 = 233 제1절 프로젝트의 의의 = 233 제2절 프로젝트의 수명주기 = 235 1. 프로젝트 선택 = 236 2. 계획 = 237 3. 집행 = 237 4. 통제 = 238 5. 평가 = 239 6. 종료 = 240 제3절 프로젝트팀의 구조화 = 240 1. 동형적 팀구조(Isomorphic Team Structure) = 241 2. 전문적 팀구조(Speciality Team Structure) = 242 3. 이타적 팀구조(Egoless Team Structure) = 243 4. 외과수술팀구조(Surgical Team Structure) = 244 제4절 프로젝트의 기획과정과 기법 = 246 1. 프로젝트기획과 불확실성 = 246 2. 프로젝트기획의 단계 = 247 3. 프로젝트의 일정계획과 통제 기법 = 253 제10장 인적자원의 기획 : 인력기획 = 263 제1절 인력기획의 본질 = 263 1. 인력기획의 의의와 중요성 = 263 2. 인력기획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 266 제2절 인력기획과정 = 268 1. 조직목표의 설정 = 268 2. 인력수요의 예측 = 268 3. 인력공급방법의 선택 = 270 4. 인력공급방안의 실현가능성 분석 = 270 5. 인력기획의 집행 = 271 6. 인력기획의 평가 = 272 제3절 인력예측방법 = 273 1. 인력수요예측방법 = 273 2. 인력공급예측방법 = 275 제4절 인사관리정보체제 = 277 1. 인사관리정보체제의 의의와 특징 = 277 2. 인사관리정보체제의 활용 = 279 제5절 우리나라 인력기획의 문제점과 방향 = 280 제11장 물적자원의 기획 : 재정(예산)기획 = 283 제1절 중기재정계획 = 283 1. 재정운영계획의 역사적 전개과정 = 283 2. 중기재정계획의 개념 = 284 3. 중기재정계획의 목적 = 286 4. 중기재정계획의 기능 = 287 5. 중기재정계획의 기대효과 = 289 6. 중기재정계획의 제약성 = 290 제2절 우리나라의 중기재정계획 = 291 1. 중기재정계획의 연혁 = 291 2. 중기재정계획의 수립절차 = 293 3.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94 4. 외국의 중기재정계획 = 296 5. 연동계획 = 299 6. 주요업무계획 = 299 제3절 기획과 예산 = 301 1. 예산과 PPBS = 302 2. 기획과 예산의 괴리 = 305 3. 기획과 예산의 연계방안 = 308 제4편 국가기획과 지역계획 제12장 각국의 국가기획 = 313 제1절 외국의 기획기구 = 313 1. 미국 = 313 2. 일본 = 315 3. 중국 = 318 4. 영국 = 319 제2절 주요국의 국토계획 = 320 1. 프랑스 = 322 2. 독일 = 322 3. 네덜란드 = 322 4. 일본 = 323 제3절 주요국의 정보화 계획 = 324 1. 일본 = 326 2. 미국 = 327 3. 유럽연합 = 329 제4절 주요국의 환경기본계획 = 329 1. 유럽연합(EU)의 환경정책 = 329 2. 미국의 환경정책 = 331 3. 프랑스 환경보호정책 = 331 4. 독일의 환경정책 = 332 5. 영국의 환경정책 = 332 6. 일본의 환경정책 = 333 제13장 지역계획 = 336 제1절 지역계획의 개관 = 336 1. 지역계획의 의의 = 336 2. 지역계획의 유형과 지역개발 = 336 제2절 지역정보화 계획 = 339 제3절 지방과학기술계획 = 342 1. 법적 근거 = 342 2.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 344 3. 지방과학기술 행정체제 = 346 4.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관계예산 = 348 제4절 지역환경계획 = 349 제5절 지역산업발전계획 = 351 1. 우리나라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 = 351 2. 지역산업발전계획의 기본개념 및 성격 = 353 3. 지역산업발전계획의 주요 내용 = 354 4. 중장기 지역산업발전계획의 주요 추진시책 = 354 제5편 기획작성의 실제 제14장 창의적 기획안의 작성 = 359 제1절 창의적 문제해결과 기획 = 359 1. 창의성의 의의 = 359 2. 창의성 발현의 과정 = 359 3. 문제해결(의사결정)의 의의 = 361 4. 창의적 집단의사결정의 기법 = 362 제2절 기획작성에 있어서의 정보의 기능 = 369 1. 정보의 개념 = 369 2. 기획관리에 있어서 정보의 기능 = 370 3. 정보체제의 기본구조 = 371 제3절 기획과 지식관리 = 374 1. 지식관리의 의의 = 374 2. 지식의 유형 = 375 3. 지식관리의 집행과정 = 377 제4절 기획안 작성의 실제 = 378 1. 문서의 요건 = 378 2. 문서작성의 방법 = 380 3. 문장구성의 원칙 = 382 4. 기획서의 작성 = 383 제15장 기획의 평가 = 387 제1절 기획평가의 의의와 유형 = 387 1.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 387 2. 평가의 유형 = 388 3. 평가의 기준 = 390 4. 평가의 한계 = 391 제2절 평가과정 = 394 1. 평가의 기준 = 394 2. 평가의 단계 = 395 제3절 평가자료의 수집 = 399 1. 관찰법(observational method) = 399 2. 면접법 = 400 3. 질문지법 = 400 4. 사례연구법 = 401 제4절 평가방법의 설계 = 403 1. 평가설계 분류 = 404 2. 실험설계 = 405 제5절 평가의 개선 = 406 제16장 기획의 프리젠테이션 = 410 제1절 프리젠테이션의 의의 = 410 1. 프리젠테이션의 의의 = 410 2.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과정 = 411 3. 커뮤니케이션 장애의 극복과 원칙 = 413 제2절 프리젠테이션의 전제조건 = 414 1. 프리젠테이션 팀의 구성방식 = 414 2. 프리젠테이션의 양식 = 414 3. 프리젠테이션의 전제조건 = 416 제3절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작성과 활용 = 418 1. 시각자료의 작성 = 418 2. 시각디자인의 원리 = 418 3. 시각미디어매체의 활용 = 419 제4절 프리젠테이션의 준비와 실행 = 421 1. 프리젠테이션의 준비 = 421 2. 질의와 응답 = 423 제5절 PR의 본질과 등장요인 = 424 1. PR(public relations)의 의의 = 424 2. PR의 과정과 원칙 = 425 3. PR의 원칙과 한계 = 425 참고문헌 = 429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