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1. 심리학의 정의 = 3
2. 인간의 마음이란 무엇인가? = 4
3. 현대 서양 심리학적 역사적 흐름 = 5
(1) 구조주의 = 5
(2) 행동주의 = 6
(3) 형태주의 = 6
(4) 정신분석 = 7
(5) 정보처리접근 = 8
4.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어떤 관점에서 연구하는가? = 9
(1) 신경생리학적 접근 = 9
(2) 행동적 접근 = 10
(3) 인지적 접근 = 11
(4) 정신분석적 접근 = 11
(5) 인본주의적 접근 = 12
5. 심리학은 어떻게 연구하는가 = 13
(1) 상식과 심리학 = 13
(2) 사전 예측과 사후 통찰 = 15
(3) 심리학의 연구법 = 16
6. 심리학의 전문 분야 = 18
(1) 심리학의 전문 연구 분야 = 18
(2) 심리학자들은 어떤 곳에서 일하는가? = 21
7. 심리학과 문화 = 22
제2장 뇌와 마음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1. 마음과 뇌의 연결 역사 : 희랍시대에서 20세기 중엽까지 = 29
(1) 데카르트의 송과선 = 29
(2) Gall의 골상학과 뇌기능 국재론 = 29
(3) 뇌기능의 분산론 = 31
2. 뇌의 구조 = 32
(1) 말초신경계 : 감각계, 운동계 = 33
(2) 중추신경계 : 뇌-뇌간, 소뇌, 간뇌, 대뇌피질 / 척수 = 33
(3) 뇌의 기능 요약 = 35
3. 분할뇌(split-brain) 연구 = 36
4. 신경심리 연구방법 = 39
(1) 컴퓨터단층 촬영법 = 39
(2) 자기공명영상(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법 = 40
(3) 양전자방출단층 영상기법 = 41
(4) 기능성자기공명 영상기법 = 41
(5) 전기 생리학적인 측정기법 = 42
5. 신경심리학 연구 분야 : 개관 = 43
6. 신경심리학 연구 결과 = 45
(1) 주의과정 = 45
(2) 기억과정 = 46
(3) 뇌 좌우반구 기능 특성의 재평가 = 47
7. 뇌손상과 인지 기능의 이상 = 48
(1) 실인증(失認症 ; agnosia) = 48
(2) 실어증(失語症 ; aphasia) = 51
(3) 실독증(失讀症 ; alexia) = 53
(4) 후천적 난독증(難讀症 ; acquired dyslexia) = 53
(5) 실행증(失行症 ; apraxia : 운동신경 장애증) = 53
(6) 기억상실증(amnesia) = 54
8. 맺는 말 = 54
제3장 학습이란 무엇인가?
1. 학습이란 무엇인가 = 59
2. 고전적 조건형성 = 60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과정 = 61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 현상들 = 62
(3) 고전적 조건형성의 응용 = 69
3. 도구적 조건형성 = 71
(1) Thorndike와 도구적 조건형성 = 71
(2) Skinner와 조작적 조건형성 = 73
(3) 도구적 조건형성의 주요 현상 = 74
(4) 강화 = 79
(5) 강화의 대안 = 82
(6) 처벌 = 83
(7) 도구적 조건형성의 응용 = 85
4. 인지학습 = 86
5. 관찰학습 = 91
제4장 어떻게 기억하는가?
1. 기억의 본질 = 97
(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에 대한 관점의 변화 = 97
(2) 기억의 구성적 특성 = 98
2. 기억의 요소 : 구조와 과정 = 99
(1) 기억구조 = 100
(2) 기억과정 = 101
3. 기억과정 = 107
(1) 부호화(encoding) = 107
(2) 인출과정 = 109
(3) 기억관리 과정 : 초기억과정(meta-memeory process) = 110
4. 망각 = 110
(1) 쇠퇴이론 = 111
(2) 간섭이론 = 111
(3) 단서 의존적 기억(망각) 이론 = 111
5. 일상적 기억의 실제 = 112
(1) 용량과 기억의 지속 = 112
(2) 자서전적 기억 = 113
(3) 행위 실수 = 114
(4) 미래 계획의 기억(prospective memory) = 115
(5) 현실성 점검 = 116
6. 기억의 구성적 특성 : 기억을 좋게 하는 길 = 117
7. 기억 연구의 응용 = 119
제5장 인간의 언어 사용
1. 인간의 언어능력 = 123
2. 언어의 특성과 구조 = 124
(1) 인간 언어의 특성 = 124
(2) 언어의 구조 = 126
3. 언어의 이해과정 = 130
(1) 말의 이해과정 = 130
(2) 글의 이해과정 = 136
(3) 언어 이해와 추론, 지식 = 137
4. 언어의 획득과정 = 139
(1) 언어발달의 4단계 = 140
(2) 언어획득에 관한 이론들 = 142
5. 언어와 사고의 관계 = 147
(1) 사고는 속 말 : 행동주의 이론 = 148
(2) 언어 상대성 가설 = 148
(3) 인지결정이론 = 149
6. 동물 언어 = 150
제6장 인간의 사고와 문제해결
1. 사고의 개념 = 155
2. 범주적·개념적 사고 = 156
3. 논리적 사고 : 추리 = 158
(1) 연역추리 = 158
(2) 귀납추리 = 162
(3) 문화와 경험이 추리 과정에 주는 영향 = 163
4. 판단과 의사결정 = 165
(1) 선택과 의사결정 = 165
(2) 판단과 결정에서의 편의법(발견법 : heuristics)과 현상들 = 167
5. 문제해결적 사고 = 170
(1) 문제해결과 표상 = 171
(2) 문제해결과 지식 및 관련성 = 172
(3) 문제해결 공간과 탐색 = 174
(4) 전문가와 문제해결 = 175
(5) 문제해결과 창의성 = 177
제7장 인간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발달하는가?
1. 발달의 기초 = 183
(1) 유전 - 환경의 영향력 = 183
(2) 연구방법 = 184
(3) 태내발달 = 185
2. 신체·운동기능 및 지각발달 = 189
(1) 영아기와 아동기 = 189
(2) 청년기의 신체 및 성의 발달 = 193
(3) 성인기의 신체발달 = 194
3. 인지발달 = 195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196
(2) Piaget이론에 대한 비판 = 198
(3) 성인기의 인지기능 변화 = 198
4. 도덕성 발달 = 199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 200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200
(3) Kohlberg이론에 대한 비판 = 201
5. 언어발달 = 202
(1) 언어획득과정에 관한 이론들 = 202
(2) 언어발달과정 = 203
6. 성격발달 = 203
(1) Freud의 성격발달이론 = 203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205
7. 사회성 발달 = 207
(1) 영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 207
(2) 유아기와 아동기의 사회화 = 209
(3) 청년기 : 자신에 대한 발견 = 210
(4) 노년기의 사회적 관계 = 212
8. 성인기의 주요 과제와 적응 = 212
(1) 직업과 결혼 = 212
(2) 자녀양육에 따른 결혼생활의 만족 = 213
(3) 성행동 = 213
(4) 은퇴 = 214
(5) 자신과 배우자의 죽음 = 214
제8장 인간의 동기와 정서 심리
1. 동기의 이론 = 219
(1) 본능이론 = 219
(2) 추동감소이론 = 220
(3) 최적각성이론 = 221
(4) 유인이론 = 221
(5) 동기의 위계 = 222
2. 대표적 동기들 = 224
(1) 섭식 동기 = 224
(2) 성 동기 = 227
(3) 소속 동기 = 229
(4) 성취 동기 = 231
3. 정서 = 233
(1) 정서의 종류 = 234
(2) 정서의 이론 = 236
4. 정서의 표현 = 238
(1) 언어적 표현 = 238
(2) 비언어적 표현 = 239
제9장 인간의 심리와 지능의 측정
1. 심리검사란? = 247
2. 심리검사의 종류 = 248
(1) 검사 수행양식에 따른 분류 = 248
(2) 검사 인원수에 따른 분류 = 254
(3) 검사도구에 따른 분류 = 255
3. 심리검사의 역사 및 활용 = 255
(1) 심리검사의 기원 = 255
(2) 심리검사의 활용 = 258
4. 심리검사와 사회 = 258
5. 신뢰도 = 261
(1) 검사 - 재검사법(test-retest method) = 262
(2) 동형법(alternate form methods) = 262
(3) 반분법(split-half methods) = 263
(4) 내적일관성 방법(internal consistency method) = 263
6. 타당도 = 264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 265
(2)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 265
(3)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 267
7. 규준(norms)과 규준집단 = 268
8. 지능 = 269
(1) 지능의 개념 = 269
(2) 지능검사의 타당도 = 271
(3) 지능의 구성요인 = 272
(4) 지능과 창의성 = 275
(5) 지능과 유전 = 275
(6) 지능과 연령 = 277
(7) 남녀간의 차이 = 277
제10장 사람마다 성격은 어떻게 다른가?
1. 성격이란 무엇이며 왜 관심을 갖게 되나? = 283
2. 성격의 형성 = 285
(1) 생물학적 요인 = 286
(2) 환경 경험적 요인 = 289
3. 성격이론 = 292
(1) 정신분석(정신역동) 이론 = 293
(2) 인본주의 이론 = 300
(3) 특성론(trait theory) = 304
(4) 행동주의 및 정보처리적 접근 = 307
4. 성격의 평가 = 309
(1) 관찰법 = 309
(2) 질문지법 = 309
(3) 투사법 = 310
5. 건강한 성격이란 어떤 것일까? = 311
제11장 대인관계에서의 인간의 심리와 행동
1. 사회적 사고 = 317
(1) 타인 지각 = 317
(2) 귀인 = 321
2. 사회적 영향 = 325
(1) 태도와 태도변화 = 325
(2) 동조와 복종 = 329
3. 사회적 관계 = 333
(1) 친밀한 관계 = 333
(2) 편견 = 339
제12장 집단에서 인간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 집단의 성질 = 347
(1) 집단의 기능 = 347
(2) 집단의 구조 = 348
(3) 집단의 발달 = 352
2.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행동의 미치는 영향 = 354
(1) 타인의 존재와 개인의 수행 = 354
(2) 탈개인화 = 360
3. 집단의 수행 = 362
(1) 집단생산성 = 362
(2) 집단 의사결정 = 367
제13장 인간의 사랑과 성 심리
1. 사랑의 심리학 = 377
(1) 사랑의 삼각형 이론 = 378
(2) 사랑의 유형 = 384
(3) 사랑의 진화론 = 386
2. 성 심리학 = 391
(1) 여성 생식기의 체계 = 395
(2) 남성 생식기의 체계 = 397
(3) 섹스(sex)와 젠더(gender) : 섹슈얼러티와 성적 성향 = 400
(4) 인간의 성반응 = 403
(5) 성표현의 다양성 : 나는 정상인가? = 405
(6) 성장애 = 406
(7) 보다 안전한 성행위 = 406
제14장 스트레스와 신체건강 / 전겸구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415
(1) 건강한 삶을 위하여 왜 스트레스를 다루어야 하는가? = 415
(2)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417
(3) 스트레스 이해를 위한 부가적 측면 = 426
2. 건강이란 무엇인가? = 428
(1) 건강관의 변화 = 428
92) 질변관의 변화 = 428
3. 스트레스와 건강간의 관계 = 429
(1)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직접 효과 : 정서적 스트레스와 건강 = 430
(2)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간접 효과 = 434
제15장 인간의 심리장애와 치료
1. 이상행동의 정의 = 443
(1) 통계적 기준 = 444
(2) 문화적 규준(사회적 규범) = 444
(3) 개인의 주관적 고통 = 444
(4) 부적응 기준 = 445
2. 이상행동의 원인 = 445
(1) 신경생물학적 설명 = 446
(2) 정신분석적 설명 = 446
(3) 행동주의적 설명 = 446
(4) 인지적 설명 = 447
(5) 인본주의적 설명 = 447
(6) 취약성 - 스트레스 설명 = 448
3. 심리장애의 분류 및 진단 = 448
(1)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처음 진단되는 심리장애 = 449
(2)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451
(3) 기분장애(Mood disorder) = 453
(4)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 455
(5) 신체형장애(somatoform disorders) = 457
(6)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 457
(7) 섭식장애(eating disorder) = 461
(8) 치매(demantia) = 462
(9) 문화특정적 증후군(culture-bound syndromes) = 462
4. 심리치료 = 463
(1) 정신분석치료(psychoanalysis) = 463
(2) 행동치료(behavioral therapy) = 463
(3)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herapy) = 464
(4) 인본주의적 치료 = 467
(5) 집단치료 = 467
제16장 조직생활에서 심리학의 응용
1. 준거개발 = 473
2. 직무분석 = 474
3. 인사선발 = 475
4. 직무수행 평가 = 477
5. 작업동기 = 479
(1) 2요인 이론(two-factor theory) = 479
(2) 형평이론(equity theory) = 480
(3) 기대 - 유인가 이론(expectancy-valence theory) = 481
(4) 목표설정 이론(goal-setting theory) = 482
6. 리더십 = 483
(1) 특성이론(trait theory) = 483
(2)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 484
(3)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 = 484
(4) 세력이론(power theory) = 485
(5)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 485
7. 직무만족 및 조직태도 = 486
(1)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 486
(2)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절차공정성(procedural justice) = 487
(3)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488
(4) 심리적 계약(psychological contract) = 489
제17장 일상생활에서 심리학의 응용 분야
1. 법률 및 재판과정에서의 응용 = 496
(1) 사법기관에서 심리학자의 역할 = 497
(2) 교정기관에서 심리학자들의 역할 = 497
(3) 가정법원에서 심리학자들의 역할 = 498
2. 직장생활에서의 응용 = 499
(2) 산업상담 = 499
(2) 인사실무에서 심리학의 응용 = 501
(3) 조직행동의 이해 = 502
(4) 작업환경의 설계 : 인간공학 심리학 = 502
(5) 소비자 연구 및 광고분야에서의 심리학의 응용 = 503
3. 노인문제에서의 적용 = 504
4. 환경문제에서의 적용 = 506
(1) 환경과 인간행동의 관계 = 506
(2) 도시 주거문제 = 507
(3) 작업장의 환경문제 = 508
(4) 학교 등 교육장면의 환경문제 = 508
(5) 주거환경과 범죄행동 = 508
(6) 교통환경과 안전 = 508
(7) 공기 및 수질오염, 소음공해 등의 공해문제 = 509
5. 건강문제에서의 적용 = 509
6. 정부조직 및 공공기간에서의 적용 = 511
(1) 공공정책 수립 및 실행계획 = 512
(2) 공공정책 수립 및 실행과정에 직접 적용 = 512
(3) 공공정책 실행 성과를 평가 = 512
7. 군대에서의 적용 = 513
(1) 신병 선발과 배치 = 513
(2) 훈련 및 교육 = 513
(3) 사기 진작 및 효율적인 전투임무 완수 = 514
(4) 군 생활 적응을 위한 상담 = 514
8. 스포츠 분야에서의 적용 = 514
9. 교통문제에서의 적용 = 517
(1) 도로 및 안전시설 등 교통환경이 운전자나 보행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연구분야 = 517
(2) 운전자와 보행자의 의식이나 교통법규에 대한 태도가 교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518
(3) 교통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여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교통행동 규명 = 518
학술용어 해설 = 521
참고문헌 = 547
인명색인 = 575
사항색인 =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