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3
주요기사 1면 편집비교 = 5
Ⅰ. 신문편집 그리고 편집기자
1. 편집이란 무엇인가 = 32
1.1. 이 시대의 편집 = 32
1.2. 신문편집이란 = 32
1.3. 편집부의 역사 = 33
1) 편집부 이전의 시대 = 33
2) 편집부의 탄생 = 35
3) 가로쓰기 역사 = 35
1.4. 편집의 특별성 = 36
1.5. 신문편집의 과정 = 37
1) 원고정리(Copy Reading) = 38
2) 제목작성(Headline Writing) = 38
3) 지면구성(Make-up) = 38
1.6. 편집기자의 역할과 기능 = 38
1) 기사를 취사선택한다 = 39
2) 원고를 점검하고 첨삭한다 = 39
3) 기사를 분류하고 교통정리한다 = 39
4) 뉴스를 평가하고 제목을 단다 = 39
5) 지면을 아름답게 꾸민다 = 39
6) 조판-강판-개판의 책임을 진다 = 40
7) 호외 발행을 할 수 있다 = 40
1.7. 편집기자의 조건 = 40
2. 뉴스는 무엇인가 = 42
2.1. 뉴스란 = 42
2.2. 뉴스의 구성요건 = 44
1) 두 가지 성격의 뉴스 = 45
2) 즉각보수와 지연보수 = 45
3) 대상황과 소상황 = 46
2.3. 뉴스의 기본요소 = 46
1) 시의성(timeliness) = 46
2) 근접성(proximity) = 47
3) 저명성(prominence) = 48
4) 영향성(consequence) = 49
5) 이상성(unusualness) = 50
6) 인간적 흥미(human interest) = 50
7) 투쟁(conflict) = 51
8) 성(sex) = 51
9) 어린이(children) = 52
10) 동물(animals) = 52
2.4. 뉴스가치 이렇게 측정하라 = 52
1) 시대적 배경을 따져라 = 53
2) 지리적 조건을 중시하라 = 53
3) 문화적 조건을 감안하라 = 53
Ⅱ. 제목
1. 제목이란 = 56
1.1. 제목의 정의 = 56
1.2. 제목의 기능 = 58
1) 정보 전달 기능 = 58
2) 뉴스 색인 기능 = 59
3) 뉴스가치 평가 기능 = 59
4) 지면 미화 기능 = 62
2. 제목의 분류 = 64
2.1. 제목의 형태에 따른 분류 = 64
1) 배너 제목(통단 제목, 플래카드형 제목) = 64
2) 1행 제목(외줄 제목) = 64
3) 다행 제목 = 64
4) 어깨 제목 = 68
5) 역어깨 제목 = 68
6) 기사 사이 제목 = 68
7) 대립형 제목 = 69
8) 가지 제목 = 69
9) 꺽기 제목 = 69
10) 평행사변형 제목 = 70
2.2. 제목의 정렬방식에 따른 분류 = 70
1) 직사각형 제목(양끝 맞추기) = 70
2) 왼쪽 맞추기(앞 맞추기) = 70
3) 오른쪽 맞추기(뒷맞추기) = 70
4) 계단형 = 70
5) 중앙대칭형 = 71
2.3. 표현에 따른 분류 = 72
1) 객관 제목 = 72
2) 주관 제목 = 73
2.4. 기능에 따른 분류 = 74
1) 주제목 = 74
2) 부제목 = 74
3) 문패 제목 = 75
4) 사진설명 제목 = 75
3. 제목의 표현 = 76
3.1. 간결-명료 = 76
3.2. 평이-정중 = 76
3.3. 생략-상징 = 78
1) 명사의 생략형 = 79
2) 기관이름의 생략형 = 79
3) 나라이름 생략형 = 79
4) 상징어 = 79
3.4. 운율-대조 = 81
4. 제목 작성의 원칙과 실제 = 82
4.1. 제목 작성의 주요 원칙 = 82
1) 첫 줄에 정곡을 찔러라 = 82
2)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 82
3) 각 행의 독립성이 있어야 한다 = 83
4) 뉴스를 담아라 = 83
5) 쉽게 표현하라 = 83
6) 간결하게 만들어라 = 84
7) 단어의 중복을 피하라 = 85
8) 시제를 명확히 갖춰라 = 86
9)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라 = 88
10) 감각 있게 리듬 있게 표현하라 = 89
11) 명예훼손과 형평시비에 주의하라 = 89
12) 기사 성격에 맞는 제목을 달아라 = 90
13) 무리한 조어와 인용은 삼가라 = 92
14) 기사의 비중에 따라 제목 스타일도 바뀐다 = 93
4.2. 제목 작성의 관습들 = 93
1) 약물-기호의 사용 = 94
2) 숫자의 사용 = 96
3) 부음-인사기사의 경우 = 97
4) 호칭의 문제 = 97
4.3. 가로쓰기 정착 후 나타난 새로운 경향들 = 97
1) 문장형 제목의 활성화 = 97
2) 통단 제목의 과감한 사용 = 98
3) 주제+부제형 제목, 가지 제목 사용 자제 = 99
4) 막대형 컷이 사라진다 = 99
Ⅲ. 지면구성
1. 지면구성과 디자인 = 102
1.1. 지면구성이란 = 102
1.2. 디자인으로서의 지면구성 = 102
1) 디자인 개념 도입이 왜 필요한가 = 102
2) 신문 디자인의 기본구조 = 103
3)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한 신문 디자인 = 103
4) 토털 페이지 컨셉트(TPC-종합편집)디자인 = 103
2. 지면디자인 어떻게 할까 = 105
2.1. 지면 디자인의 원리들 = 105
1) 지면 디자인의 원리 = 105
2) 지면 디자인의 유형 = 106
3) 게슈탈트의 시각 법칙들 = 109
4) 우리의 눈은 착각을 한다 = 111
2.2. 신문 디자인의 조건 = 112
1) 디자인의 합목적성 = 113
2) 디자인의 심미성 = 114
3) 디자인의 독창성 = 114
4) 디자인의 경제성 = 115
5) 디자인은 질서 = 115
2.3. 독자는 신문을 어떻게 읽어 나갈까 = 116
1) 독자의 시선 흐름 = 116
2) 독자의 시선 흐름에 대한 이론들 = 116
2.4. 가로신문 디자인 핵심 '그리드'와 '모듈러' = 120
1) 모듈러 디자인 = 120
2) 그리드 = 120
3. 타이포그래피 = 124
3.1. 신문편집과 타이포그래피 = 124
3.2. 글자의 기본 = 125
1) 흔히 듣는 몇 가지 용어들 = 125
2) 글자의 조화와 부조화 = 126
3) 글자 배열의 구성요소 = 127
3.3. 글자의 정렬 = 131
3.4. 글자체 대비시키기 = 132
1) 크기를 이용한 대비 = 132
2) 무게를 이용한 대비 = 133
3) 구조를 이용한 대비 = 133
4) 형태를 이용한 대비 = 134
5) 방향을 이용한 대비 = 134
6) 색채를 이용한 대비 = 134
3.5. 여백과 선의 활용 = 135
1) 여백과 타이포그래피 = 135
2) 선과 타이포그래피 = 136
3.6. 가끔은 제목형태로 튀어보자 = 138
1) 제목도 디자인 할 수 있다 = 138
2) 또 다른 효과들 = 138
3) 내용이 움직이면 형태도 움직인다 = 140
3.7. 알아두면 유용한 몇 가지 원칙 = 140
1) 주제목은 길게, 부제목은 짧게 = 140
2) 왼쪽맞춤시 작은 글자는 조금 들여써라 = 140
3) 영문자는 소문자로 = 141
4) 제목은 본문 전체를 가로질러라('개다리' 피하기) = 141
5) 소제목과 기사 첫 줄은 붙여라 = 142
6) 단락 처음에 오는 과부(widow)는 피해라 = 142
7) 파고드는 제목 아무 때나 쓰지 말자 = 142
8) 전문은 확실하게 구분이 가도록 = 142
9) 애매한 위치는 뒤늦게 읽히는 제목을 만든다 = 143
4. 정보그림 = 144
4.1. 정보그림의 기능 = 144
1) 정보를 보여준다 = 144
2) 정보를 정리해 준다 = 145
3) 지면에 활력을 준다 = 146
4.2. 정보그림의 조건 = 146
4.3. 정보그림의 종류 = 146
1) 지도 = 146
2) 차트 = 149
3) 도표 = 151
4) 일러스트레이션 = 153
5) 컷 = 154
5. 신문사진 = 156
5.1. 신문사진의 특성 = 157
1) 여론 형성 = 157
2) 신뢰성 = 157
3) 강력한 호소력 = 157
5.2.신문사진의 분류 = 158
1) 현장 뉴스사진(스팟뉴스-spotnews photography) = 158
2) 일반 뉴스사진(general news photography) = 158
3) 특집 사진(피처 사진-feature photography) = 158
4) 스포츠사진 = 158
5) 인물사진 = 159
5.3. 사진편집이란 = 160
1) 사진의 선택 = 160
2) 사진의 크기 = 161
3) 사진자리 결정 = 162
4) 사진 트리밍 = 163
5) 사진설명 = 165
Ⅳ. 부록
1. 지면 디자인 실제 = 172
1.1. 지면설계(Dummying-가편집) = 170
1) 광고의 크기를 표시하라 = 170
2) 본문기사, 사진과 정보그림의 크기와 수를 정하라 = 170
3) 관련된 기사와 사진 유무를 정하라 = 170
4) 톱기사를 정하라 = 170
5) 중간 톱기사와 그래픽을 선정하라 = 170
6) 점프기사의 유무를 정하라 = 170
7) 정해진 규칙이나 스타일에 따라서 본문, 사진, 광고의 크기를 표시한다 = 170
1.2. 지면 디자인 과정 = 171
1) 지면 디자인의 기술적인 흐름 = 171
2) 구 지면을 틀로 삼아 = 172
3) 기사의 분류 = 173
4) 기사량의 측정 = 173
5) 제목의 변화-위치 = 173
6) 리드의 처리 = 180
7) 기사의 배열 = 181
1.3. 리디자인 = 195
1) 리디자인의 단계적 접근 = 195
2) 디자인 개혁의 검토사항 = 196
1.4. 새로운 스타일북을 만들어 가자 = 197
1.5. 서구신문 디자인의 형식과 기본원칙 = 198
1) 서구신문 디자인의 형식 = 198
2) 서구 신문 디자인의 기본 원칙 = 199
2. 지면구성의 사례와 색채 = 203
2.1. 면별 지면구성 사례 = 203
2.2. 신문사별 사고(社告)/마스터헤드/날씨 = 204
1) 사고(社告) = 204
2) 마스터헤드 = 206
3) 날씨 = 208
2.3. 색채 = 210
1) 색채가 주는 이미지 = 210
2) 지면의 컬러 처리 = 211
3) 색채 인쇄과정 = 212
4) 색채의 조화 = 212
5) 색채 사용시 주의사항 = 216
3. 사진 특수효과 = 217
4. 편집 수상작 = 221
4.1. 역대 한국편집상 수상작 = 221
1) 제6회 한국편집상-2000년 = 221
2) 제5회 한국편집상-1999년 = 223
4.2. 역대 한국사진편집상 수상작 = 226
1) 3회-2001년 시상 = 226
2) 2회-2000년 시상 = 227
3) 1회-1999년 시상 = 228
5. 2000년판 'The Best of Newspaper Design' 주요 수상작 = 229
참고서적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