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Ⅰ. 국어와 국어 문법
제1장 국어와 문법 = 13
1.1. 언어와 국어 = 13
1.2. 문법과 문법 교육 = 18
1.3. 국어의 문법적 특징 = 23
1.3.1. 형태적 특징 = 23
1.3.2. 통사적 특징 = 26
1.3.3. 그 밖의 특징 = 31
제2장 통사론의 범위 = 35
2.1. 통사론의 대상 = 35
2.2. 통사론과 형태론 = 38
Ⅱ. 문장의 짜임새(1)
제3장 문장의 성립과 문장 성분 = 45
3.1. 문장의 성립 = 45
3.1.1. 문장의 구성 = 45
3.1.2. 문장 성분의 재료 = 52
3.1.2.1. 최소자립형식(어절) = 52
3.1.2.2. 격조사 = 56
3.2. 문장의 성분들 = 73
3.2.1. 주성분 = 73
3.2.1.1. 서술어 = 73
3.2.1.2. 주어 = 90
3.2.1.3. 목적어 = 104
3.2.1.4. 그 밖의 필수적 보충어 = 116
3.2.1.5. 수의적 보충어 = 129
3.2.2. 부가성분 = 133
3.2.2.1. 관형어 = 133
3.2.2.2. 부사어 = 142
3.2.2.3. 독립어 = 150
제4장 국어의 특수 구문 = 155
4.1. '이다' 구문 = 155
4.1.1. 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55
4.1.2. 유사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60
4.1.3. 비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61
4.2. 서술성 명사 구문 = 164
4.2.1. 서술성 명사 = 164
4.2.2. 서술성 명사와 기능동사 '하다'의 연합 = 165
4.2.3. 서술성 명사와 '하다' 이외의 기능동사와의 연합 = 169
4.2.4. '서술성 명사+기능동사' 연합서술어 문장의 특성 = 172
4.3. 소절 구문 = 174
4.3.1. 소절 = 175
4.3.2. 소절 구문의 통사적 특징 = 181
4.3.3. 보충적 소절 구문 = 185
제5장 국어 구문의 특징 = 189
5.1. 의존용언과 그 필수적 보충어 = 189
5.2. 동음 서술어와 논항구조 = 195
5.3. 어순 바꾸기 = 198
Ⅲ. 문장의 짜임새(2)
제6장 문장 속의 문장 = 211
6.1. 안김과 안음 = 212
6.1.1. 명사절 = 213
6.1.2. 서술절 = 226
6.1.3. 관형절 = 240
6.1.4. 부사절 = 253
6.1.5. 인용절 = 271
6.2. 문장의 안김과 성분의 생략 = 278
6.3. 여러 겹으로 안김 = 279
제7장 이어진 문장 = 281
7.1. 연결어미 = 282
7.2. 이어진 문장의 통사적 특징 = 283
7.3. '와/과'에 의해서 이어진 문장 = 285
Ⅳ.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제8장 사동과 피동 = 293
8.1. 사동문 = 293
8.2. 피동문 = 302
제9장 부정문 = 311
9.1. '안' 부정법 = 311
9.2. '못' 부정법 = 318
9.3. '말다' 부정법 = 321
제10장 시상(時相), 법(法) = 325
10.1. 선어말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 328
10.1.1. '-었-' = 328
10.1.2. '-었었-' = 332
10.1.3. '-겠-' = 337
10.1.4. '-더-' = 339
10.1.5. '-는-'과 '-는다' = 343
10.2. 관사형 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 352
10.2.1. '-는-' = 353
10.2.2. '-은/ㄴ' = 353
10.2.3. '을/ㄹ' = 355
10.2.4. '-던' = 356
10.3. 기준시점의 문제 = 357
제11장 높임법 = 365
11.1. 주체높임법 = 366
11.2. 상대높임법 = 372
11.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 = 379
제12장 문장의 종결 = 385
12.1. 서법 = 385
12.2. 의향서법 = 385
12.3. 양태서법 = 387
12.3.1. '-지' = 388
12.3.2. '-구나' = 391
12.3.3. '-네' = 393
12.3.4. '-나' = 394
참고 문헌 = 397
찾아보기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