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국어) 통사론

(현대 국어) 통사론 (25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기심
서명 / 저자사항
(현대 국어) 통사론 / 남기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태학사 ,   2001.  
형태사항
416 p. ; 23 cm.
ISBN
8976266927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7]-410)과 색인수록
000 00618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49328
005 20100807071411
007 ta
008 011005s2001 ulk 001a kor
020 ▼a 8976266927 ▼g 93710 : ▼c \18000
035 ▼a KRIC08049051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5412 ▼f 개가 ▼l 111205413 ▼f 개가
082 0 4 ▼a 495.75 ▼2 21 ▼a 497.5
090 ▼a 497.5 ▼b 2001v
100 1 ▼a 남기심 ▼0 AUTH(211009)12541
245 2 0 ▼a (현대 국어) 통사론 / ▼d 남기심 지음.
260 ▼a 서울 : ▼b 태학사 , ▼c 2001.
300 ▼a 41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97]-410)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1v 등록번호 1112054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1v 등록번호 1112054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01v 등록번호 1113324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남기심(지은이)

1936년 경기도 광주시에서 태어남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원 마침(문학박사)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지냄 국립국어원장 역임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 짓고 엮은 책 국어완형보문법 연구(1973), 언어학 개론(공저)(1977),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1978), 국어의 통사 의미론(공편)(1983), 한국어문의 제문제(공저)(1983), 국어 조사의 용법(1993), 국어 문법의 탐구 I, II, III(1996), 국어문법의 탐구 IV(1998), 국어문법의 탐구 V(2001), 중세어 자료 강해(공편)(1997), 현대국어 통사론(공편)(2001), 왜 다시 품사론인가(공저)(2006)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4
Ⅰ. 국어와 국어 문법
 제1장 국어와 문법 = 13
  1.1. 언어와 국어 = 13
  1.2. 문법과 문법 교육 = 18
  1.3. 국어의 문법적 특징 = 23
   1.3.1. 형태적 특징 = 23
   1.3.2. 통사적 특징 = 26
   1.3.3. 그 밖의 특징 = 31
 제2장 통사론의 범위 = 35
  2.1. 통사론의 대상 = 35
  2.2. 통사론과 형태론 = 38
Ⅱ. 문장의 짜임새(1)
 제3장 문장의 성립과 문장 성분 = 45
  3.1. 문장의 성립 = 45
   3.1.1. 문장의 구성 = 45
   3.1.2. 문장 성분의 재료 = 52
    3.1.2.1. 최소자립형식(어절) = 52
    3.1.2.2. 격조사 = 56
  3.2. 문장의 성분들 = 73
   3.2.1. 주성분 = 73
    3.2.1.1. 서술어 = 73
    3.2.1.2. 주어 = 90
    3.2.1.3. 목적어 = 104
    3.2.1.4. 그 밖의 필수적 보충어 = 116
    3.2.1.5. 수의적 보충어 = 129
   3.2.2. 부가성분 = 133
    3.2.2.1. 관형어 = 133
    3.2.2.2. 부사어 = 142
    3.2.2.3. 독립어 = 150
 제4장 국어의 특수 구문 = 155
  4.1. '이다' 구문 = 155
   4.1.1. 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55
   4.1.2. 유사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60
   4.1.3. 비분류문으로서의 '이다' 구문 = 161
  4.2. 서술성 명사 구문 = 164
   4.2.1. 서술성 명사 = 164
   4.2.2. 서술성 명사와 기능동사 '하다'의 연합 = 165
   4.2.3. 서술성 명사와 '하다' 이외의 기능동사와의 연합 = 169
   4.2.4. '서술성 명사+기능동사' 연합서술어 문장의 특성 = 172
  4.3. 소절 구문 = 174
   4.3.1. 소절 = 175
   4.3.2. 소절 구문의 통사적 특징 = 181
   4.3.3. 보충적 소절 구문 = 185
 제5장 국어 구문의 특징 = 189
  5.1. 의존용언과 그 필수적 보충어 = 189
  5.2. 동음 서술어와 논항구조 = 195
  5.3. 어순 바꾸기 = 198
Ⅲ. 문장의 짜임새(2)
 제6장 문장 속의 문장 = 211
  6.1. 안김과 안음 = 212
   6.1.1. 명사절 = 213
   6.1.2. 서술절 = 226
   6.1.3. 관형절 = 240
   6.1.4. 부사절 = 253
   6.1.5. 인용절 = 271
  6.2. 문장의 안김과 성분의 생략 = 278
  6.3. 여러 겹으로 안김 = 279
 제7장 이어진 문장 = 281
  7.1. 연결어미 = 282
  7.2. 이어진 문장의 통사적 특징 = 283
  7.3. '와/과'에 의해서 이어진 문장 = 285
Ⅳ.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제8장 사동과 피동 = 293
  8.1. 사동문 = 293
  8.2. 피동문 = 302
 제9장 부정문 = 311
  9.1. '안' 부정법 = 311
  9.2. '못' 부정법 = 318
  9.3. '말다' 부정법 = 321
 제10장 시상(時相), 법(法) = 325
  10.1. 선어말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 328
   10.1.1. '-었-' = 328
   10.1.2. '-었었-' = 332
   10.1.3. '-겠-' = 337
   10.1.4. '-더-' = 339
   10.1.5. '-는-'과 '-는다' = 343
  10.2. 관사형 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 352
   10.2.1. '-는-' = 353
   10.2.2. '-은/ㄴ' = 353
   10.2.3. '을/ㄹ' = 355
   10.2.4. '-던' = 356
  10.3. 기준시점의 문제 = 357
 제11장 높임법 = 365
  11.1. 주체높임법 = 366
  11.2. 상대높임법 = 372
  11.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 = 379
 제12장 문장의 종결 = 385
  12.1. 서법 = 385
  12.2. 의향서법 = 385
  12.3. 양태서법 = 387
   12.3.1. '-지' = 388
   12.3.2. '-구나' = 391
   12.3.3. '-네' = 393
   12.3.4. '-나' = 394
참고 문헌 = 397
찾아보기 = 41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