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목차 = 6
世界史近現代史에 있어서의 獨島 / 佐藤正人 = 9
1. 要旨 = 9
2. 머리말 : '獨島問題'의 역사적 구조 = 10
3. 帝國主義 諸國의 타지역·타국 침략 = 12
4. 國民國家 日本의 영토·식민지 = 15
1) 國民國家 日本 형성까지 = 15
2) 國民國家 日本 형성이후 = 17
5. 日本의 獨島占領의 역사적 조건 = 21
6. 일본의 獨島 占領은 과거의 문제가 아니다 = 27
7. 맺음말 : '獨島問題' 해결의 世界史的 意味 = 30
世界史近現代史における獨島 要旨 / 佐藤正人 = 33
世界史近現代史における獨島 / 佐藤正人 = 34
はじめに : 「獨島問題」の歷史的構造 = 34
一. 帝國主義諸國の他地域·他國侵略 = 36
二. 國民國家日本の領土·植民地 = 38
1. 國民國家日本形成まで = 38
2. 國民國家日本形成以後 = 40
三. 日本の獨島占領の歷史的條件 = 43
四. 日本の獨島占領は, 過去の問題ではない = 49
おわりに : 「獨島問題」解決の世界史的意味 = 51
독도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정치학 / Michael A. Launius = 53
1. 머리말 = 53
2. 현재의 논쟁들 = 55
3.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인 전개 과정 = 63
4. 현재의 정치지형이 암시하는 것들 = 69
5. 맺음말 = 76
6. 참고문헌 = 77
The Politics of Competing Territorial Claims to Tokdo / Michael A. Launius = 83
1. Introduction = 83
2. Current Controversies = 86
3. Historical Evolution of the Issue = 95
4. Contemporary Political Implications = 104
5. Conclusions = 113
6. Bibliography = 114
17세기 朝鮮王朝의 獨島領有와 日本의 '竹島固有領土論' 批判 / 愼鏞廈 = 121
1. 머리말 = 121
2. 일본측의 '竹島渡海免許'의 발급 = 123
3. 일본측의 '松島渡海免許'의 발급과 울릉도(竹島)의 附屬島嶼로서의 獨島(松島) = 125
4. '松島渡海免許' 직후 일본『隱州視聽合記』의 獨島의 朝鮮領土 確認 = 129
5. 17세기말 朝鮮·日本 어부들의 충돌과 일본측의 울릉도·독도 영유권 논쟁제기 = 130
6. 安龍福의 울릉도·독도 수호 활동 = 136
7. 일본 德川幕府 정부의 울릉도·독도의 朝鮮領土로의 재확인 = 140
8. 울릉도·독도의 朝鮮領土 재확인 日本 文書 = 142
9. 日本 德川幕府의 獨島 朝鮮領土 재확인의 논거 = 156
10. 맺음말 = 158
대일강화조약에서 독도가 누락된 전말 / 김병렬 = 165
1. 머리말 = 165
2. 연합국의 제선언 = 166
1) 카이로 선언 = 166
2) 포츠담선언 = 167
3. 일본의 항복과 연합국의 점령정책 = 168
1) 일본의 항복문서 = 168
2) 항복후 미국의 초기 대일정책 = 168
3) 일본의 점령관리를 위한 연합국 최고사령부에 대한 항복 후 초기의 기본지령 = 169
4) 연합국의 일본점령 기본목적과 연합국에 의한 그 달성의 방법에 관한 맥아더원수의 관하부대에 보내는 훈령 = 169
5) 약간의 주변지역을 정치상 행정상 일본으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관한 각서 = 170
6) SCAPIN 제1033호의 제3항(b) = 171
7) 대일강화조약 제1차 초안 = 173
8) 대일강화조약 제2차 초안 = 174
9) 대일강화조약 제3차 초안 = 175
10) 대일강화조약 제4차 초안 = 176
11) 대일강화조약 제5차 초안 = 176
12) 독도를 제외시켜달라는 시볼드의 전문 = 177
13) 시볼드의 서면 의견서 = 177
14) 대일강화조약 제6차 초안 = 178
15) 대일강화조약 제6차 초안에 대한 주석 = 179
16) 대일강화조약 제7차 초안 = 180
17) 대일강화조약 제8차 초안 각서 = 181
18) 대일강화조약 제8차 초안 = 181
19) 오스트레일리아의 질문에 대한 미국의 답변서 = 182
20) 대일강화조약 영국 제1차 초안 = 183
21) 대일강화조약 제9차 초안 = 184
22) 대일강화조약 영국 제2차 초안 = 184
23) 대일강화조약 영국 제3차 초안 = 185
24) 대일강화조약을 위한 미국과 영국의 토론 = 187
25) 대일강화조약에 대한 한국측의 요구 = 188
26) 미영합동 초안에 대한 연합국 의견 = 189
27) 대일강화조약 미영 개정 초안 = 190
28) 주미한국대사와 덜레스의 1차 회담 = 190
29) 주미한국대사와 덜레스의 2차 회담 = 191
30) 주미대사의 추가 공한 = 192
31) 주미대사의 요구에 대한 미정부의 검토 = 192
32) 독도와 파랑도를 명기해달라는 요구에 대한 미정부의 답변서 = 193
33) 대일강화조약 = 193
4. 맺음말 = 194
한일(韓日)간 독도 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 / 김영구 = 197
1. 머리말 = 197
2. 獨島 領有權 문제에 관한 한국적 접근 방식과 연구방향의 再檢討 = 200
1) 獨島 영유권 주장과 관련된 한일 간의 관계 진전 槪觀 = 200
2) 獨島 영유권 분쟁의 해결을 위한 관련된 고려 사항 = 205
3) 獨島 문제에 관한 한국적 접근 방식의 再檢討 = 213
3. 독도에 대한 영토적 권원을 확정시키기 위한 구체적 논리의 개발 = 228
1) 지리적 認識에 관련된 논리 = 228
2) 국가 영유의사의 존재와 영역주권의 평화적이고 계속적인 행사에 관련된 논리 = 239
獨島에 대한 大韓民國의 時效取得에 관한 硏究 / 金明基 = 273
1. 머리말 = 273
2. 國際法上 時效要件에 관한 一般的 考察 = 274
1) 豫備的 考察 = 274
2) 時效要件의 考察 = 280
3. 獨島에 대한 大韓民國의 時效取得의 檢討 = 290
1) 獨島義勇守備隊에 의한 時效要件의 檢討 = 291
2) 獨島警備隊에 의한 時效取得의 檢討 = 297
4. 맺음말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