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4
가.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 4
나. 설문 조사 = 4
다. 면담 조사 = 7
라. 전문가 협의회 및 공개 세미나 개최 = 8
4. 연구의 범위 = 8
Ⅱ. 이론적 배경 = 11
1.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 = 11
가. 대응론 = 11
나. 상대적 자율성론 = 13
다. 교육과 직업세계의 연계 방식들 = 14
2. 대학-직업세계 이행의 체제 = 15
3.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모형들 = 16
가. 결핍 모형 = 16
나. 기회구조 모형 = 17
다.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 = 18
4. 대학에서의 직업세계 준비 = 19
가. 고등교육에서의 직업교육 = 19
나. 직업세계 준비 프로그램 = 20
5. 대학-직업세계 이행 과정의 수요 측면 = 22
가. 기업의 고용 행위 = 22
나. 사원 모집 및 선발 방법 = 24
6. 국내의 선행 연구 분석 = 26
Ⅲ. 대졸인력 수급현황 = 29
1. 노동시장 현황 = 29
가. 고학력 노동력의 빠른 증가 = 29
나. 실업률의 변화 = 31
2. 직업세계의 변화와 산업의 인력 수요 = 36
가.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의 유형 = 36
나. 미래의 인력수요가 증가할 직종 = 41
다. 산업의 대졸인력 수요 = 44
3. 대졸 인력의 공급 확대 = 47
가. 고등교육에의 참여 확대 = 47
나. 고등교육의 인문화와 노동력의 고학력화 = 48
다. 전공별 입학생 변화추이 = 51
4. 대졸 인력의 수급 불일치 = 52
가. 고학력화에 따른 수급 불일치 = 52
나. 산업기술 인력의 부족 = 54
다. 대졸 인력의 숙련 불일치 = 57
Ⅳ.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결과 = 63
1. 신입사원 채용 절차 및 기준 = 63
가. 신입사원 채용 현황 = 63
나. 구인 및 선발 방법 = 65
다. 사원의 선발 기준 = 69
라. 대졸 인력의 근무 실태 : 임금과 이직 = 75
2. 채용 후의 교육훈련 = 79
가. 전공과 직무의 관계 = 80
나. 채용 후의 교육훈련 = 83
다. 교육훈련의 효과 = 88
3.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 = 91
가. 신입사원에 대한 평가 = 91
나.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 94
다. 일반적인 대학체제에 대한 평가 = 101
라.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평가 = 105
마. 소결 = 106
4. 면접조사 결과 = 107
가. 정보통신 분야 = 107
나. 전기·전자 분야 = 114
다. 의상디자인 분야 = 120
Ⅴ. 결론 = 125
1. 요약 = 125
2. 제언 = 128
참고문헌 = 133
부록 = 137
부록 1 : 기업의 입장에서 본 대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137
Ⅰ. 기업의 입장에서 본 대학교육의 개편방향 / 안승준[삼성전자 이사] = 139
Ⅱ. 정보통신분야 대학인력 수급의 현황과 과제 / 최강식[명지대학교 교수] = 169
Ⅲ. 대학디자인교육의 과제 / 장안화[영남대학교 겸임교수] = 193
부록 2 : 기업의 대학 만족도 설문조사 설문지 = 209
부록 3 : 기업의 대학 만족도 면담조사 면담지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