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0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00747739 | |
005 | 20100807065335 | |
007 | ta | |
008 | 011211s2001 ggkag 000 kor | |
020 | ▼a 895340259X ▼g 92670 : ▼c \18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21057006 ▼f 과학 ▼l 121057007 ▼f 과학 ▼l 111208598 ▼f 개가 ▼l 111208599 ▼f 개가 |
082 | 0 4 | ▼a 780.953 |
090 | ▼a 780.953 ▼b 2001a | |
100 | 1 | ▼a 노동은 , ▼d 1946- ▼0 AUTH(211009)116807 |
245 | 2 0 | ▼a (노동은의 두번째) 음악상자 / ▼d 노동은. |
260 | ▼a 고양 : ▼b 한국학술정보 , ▼c 2001. | |
300 | ▼a 503 p. : ▼b 삽도,악보 ; ▼c 26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11208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1120859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9-05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210570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511170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511170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11208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1120859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9-05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210570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511170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a | Accession No. 1511170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지은이의 '음악상자'란 판도라의 상자와도 같은 것이다. 이 상자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것은 '음ㆍ악'이라는 용어이며, 이것은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인간들이 확인할 수 있는 '음악이라는 희망'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 책은 왜 '음악'이 '음'과 '악'이라는 2중 구조로 되어있는지부터 설명한다. '음'은 음향적 재료이고, 악은 작곡자의 아이디어. 이 2중 구조는 인간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것으로 세계의 음악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지은이는 한국음악을 매우 폭넓게 고찰하고 있다. 선사시대의 유물을 통해서 당시의 음악이 어떤 것이었을까 추측하고,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 '한국양악'의 뿌리를 찾기도 한다. 협률사와 광무대의 춤과 예술, 김순남과 윤이상의 삶과 예술을 돌아보고, 한국 대중음악의 현주소와 음악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 음악이 어떻게 우리 음악 속에 들어와 자리잡게 되었는지를 조목조목 밝히는 부분이나, 윤이상통일음악회를 추진했던 지은이의 이력답게 남북의 문화예술교류에 대해 상세히 논하고 있는 부분이 특별히 눈에 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노동은(지은이)
1946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나 한양대 음대, 연세대 대학원을 마쳤고, 목원대 관현악과 교수와 음대 학장을 거쳐 1999년부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하였다. 한국음악학회 회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음악연구소 소장, 정율성국제음악제 조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16년 12월 2일 지병으로 타계하였다. 한국 근현대 음악 관련 30여 권의 단행본과 400여 편의 논문을 남겼으며 항일음악과 친일음악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업적을 쌓았다. 2004년 ‘한국의 미래를 열어갈 100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단재학술상(1996)·녹조근정훈장(2011)·KBS국악대상 특별공로상(2012)·박헌봉 국악상(2015)을 수상했다. 주요 저작으로 <한국영아음악연구>, <한국민족음악현단계>, <김순남 그 삶과 예술>, <한국근대음악사1>, <노동은의 음악상자>, <한국근대음악사론>, <지영희평전>, <항일음악 330곡집>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노동은의 음악상자 = 9 1. 음악상자 안에 무엇이 있는가? = 11 2. 음악상자를 열어보니 = 15 3. 구성원칙과 아이디어 상자 = 19 노동은의 음악여행 = 23 1. 음악의 2중 구조 = 25 2. 음악의 2중 구조의 기능과 의미 = 31 3. 세계 각국의 음향적 재료 = 36 4. 리듬과 장단 = 43 5. 화성-음악에서 '화성'은 절대적인가? = 49 6. 일본음악-일본음악여행은 처음부터 왜 껄끄러운가? = 56 7. 아프리카음악-아프리카음악은 왜 인간적인가? = 63 8. 북한음악-북한음악여행은 가능한가? = 68 9. 대중음악-우리나라 대중음악은 창조적인가? = 73 10. 세계화와 한국음악여행 -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78 노동은의 '알고싶다' = 83 1. 한국양악사, 100년사인가, 360년사인가? = 85 2. '국악'이라는 용어, 일본 용어인가, 한국 용어인가? = 90 3. 「학도가」, 우리 노래인가, 일본 노래인가? = 97 4. '최초'란 사실인가, 허구인가? = 105 5. 통영, 그 섬에 가고 싶다 = 115 6. '妓生', '性女인가, 聖女인가? = 123 7. 우리 역사쓰기, 참인가, 거짓인가? = 130 8. 이의성(팔성), 그는 누구인가? = 151 9. 조선음악협회는 어떤 친일단체였는가? = 174 그 시대의 춤과 소리 = 183 1. 협률사의 춤과 예술 = 185 2. 광무대의 춤과 예술 = 188 3. 항장무(項莊舞) = 191 4. 다동기생조합 = 194 5. 평양기성권번 = 199 6. 선사시대의 한국춤과 음악 = 208 7. 고조선시대의 한국춤 = 212 8. 열국시대의 춤과 음악 = 216 화상(畵像)으로 본 한국음악·춤의 역사 22장면 = 229 1. 출토유물과 선사시대음악 = 231 2. 북두칠성과 단군시대음악 = 233 3-1. 집안(集安) 고구려벽화와 고조선 이후 음악 = 235 3-2. 우리의 춤, 하늘 춤 = 238 4. 금동용봉봉래산향로와 백제음악 = 240 5. 고취악 행렬과 삼국시대의 음악 = 242 6. 삼국음악의 일본전래 = 244 7. 불교와 고려시대음악 = 246 8. 종묘·사직단과 조선시대음악 = 248 9. 진연반차도 = 250 10. 백세채대부인경수연도와 삼현육각 = 252 11. 평양감사 환영도와 취타 = 254 12. 기로세연계도와 쌍검대무의 삼현육각 = 256 13. 감로탱과 예인집단 = 259 14. 모흥갑의 능라도 소리판 = 262 15. 김창조·백낙준과 산조 = 264 16. 두레풍물과 기층민중들의 음악생활화 = 266 17. 시위연대군악대 = 268 18. 1900년대 체조율동시간과 학도악대 = 270 19. 홍난파와 현제명, 그리고 김순남과 윤이상 = 272 20. 1990년 통일음악회 = 274 21. 김덕수와 사물놀이 = 276 한국의 소리와 실천 = 279 1. 음악의 움직임, 몸과 우주의 고동 = 281 2. 소리에 담긴 한국인의 혼 = 286 3.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새틀짜기 = 291 칼럼 = 299 1. 위기와 기회 = 301 2. 단재와 대전의 혼불 = 304 3. 해방은 되었는가? = 306 4. 추석과 역마살 = 309 5. 신세대와 대중문화 = 312 6. 삶의 역사 앞에 서서 = 319 7. 나의 학문과 예술 = 322 예인탐구 = 327 1. 음악가들과 3·1절 = 329 2. 김순남의 '나의 음악수업' = 334 3. 김순남의 삶과 예술 = 340 4. 새로이 발견된 김순남·이건우의 가곡 24곡 = 345 5. 윤이상(尹伊桑) = 354 6. 윤이상, 자연과 우주로 떠난 혼 = 358 7. 난파 탄생 100돌 행사는 집요한 '역사왜곡' = 361 남북 음악현장과 교류 = 363 1. 갈라진 북쪽 음악을 찾아서Ⅰ·Ⅱ(1990) = 365 2. 윤이상통일음악회에 다녀와서(1998) = 410 3. 북한 교향악단의 모든 것 = 429 4. 북한의 공연단체와 공연장 = 437 5. 남북 문화예술교류의 현황과 과제 = 443 음악교육상자 = 453 1. 음악교육의 세계화 방안 = 455 2. 한국 음악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 461 3. 감성을 살려내는 음악교육 = 473 4. 우리 음악책 속의 일본 노래 = 477 5. 한국문화의 발전과 청소년 문화 = 485 6. 새로 합의해야 할 우리들의 동요 =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