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화의 형식과 기호 신판

영화의 형식과 기호 신판 (1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ynianov, IUrii Nikolaevich, 1894-1943, 저 Eagle, Herbe, 저 Lotman, IU. M. (IUrii Mikhailovich), 1922-, 저 오종우 吳鍾雨, 역
서명 / 저자사항
영화의 형식과 기호 / 유리 띠냐노프 [외]지음 ; 오종우 옮김
판사항
신판
발행사항
서울 :   열린책들,   2001  
형태사항
282 p. : 삽화 ; 23cm
총서사항
열린책들의 영화 ;4
ISBN
8932903646
일반주기
색인수록  
Herbert Eagle의 'Russian formalist film theory'와 Iurii Lotman의 'Semiotika kino i problemy kinoestetiki'에서 뽑아 편역한 것임  
일반주제명
Motion pictures -- Philosophy Motion pictures -- Soviet Union Motion pictures -- Semiotics Motion pictures -- Aesthetics
000 01380camcc2200385 c 4500
001 000000747069
005 20101214151716
007 ta
008 010727s2001 ulka 001c kor
020 ▼a 8932903646 ▼g 93680
035 ▼a KRIC07966785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d 211010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rus
082 0 4 ▼a 791.4301 ▼2 22
085 ▼a 791.4301 ▼2 DDCK
090 ▼a 791.4301 ▼b 2001b
245 0 0 ▼a 영화의 형식과 기호 / ▼d 유리 띠냐노프 [외]지음 ; ▼e 오종우 옮김
250 ▼a 신판
260 ▼a 서울 : ▼b 열린책들, ▼c 2001
300 ▼a 282 p. : ▼b 삽화 ; ▼c 23cm
440 0 0 ▼a 열린책들의 영화 ; ▼v 4
500 ▼a 색인수록
500 ▼a Herbert Eagle의 'Russian formalist film theory'와 Iurii Lotman의 'Semiotika kino i problemy kinoestetiki'에서 뽑아 편역한 것임
650 0 ▼a Motion pictures ▼x Philosophy
650 0 ▼a Motion pictures ▼z Soviet Union
650 0 ▼a Motion pictures ▼x Semiotics
650 0 ▼a Motion pictures ▼x Aesthetics
700 1 ▼a Tynianov, IUrii Nikolaevich, ▼d 1894-1943, ▼e
700 1 ▼a Eagle, Herbe, ▼e
700 1 ▼a Lotman, IU. M. ▼q (IUrii Mikhailovich), ▼d 1922-, ▼e
700 1 ▼a 오종우 ▼g 吳鍾雨, ▼e▼0 AUTH(211009)9001
740 2 ▼a Russian formalist film theory
740 2 ▼a Semiotika kino i problemy kinoestetiki
900 1 0 ▼a 띠냐노프, 유리,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3575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410123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51109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3575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410123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111897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2001b 등록번호 151109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영화론을 모은 이론서이다. 유리 띠냐노프, 보리스 에이헨바움, 유리 로뜨만이 각각 영화의 기반과 양식, 기호학에 대해 쓴 글 세 편과, 로만 야꼽슨이 '영화는 퇴보하려나?'라는 제목으로 쓴 짤막한 에세이 한 편이 실려 있다. 1995년 초판이 발행되었고, 2001년에 나온 이 책은 신판.

유리 띠냐노프의 '영화의 기반'은 1927년에 발표한 글. 현실을 재현하는 '과학 기술'로 발명되었던 시네마토그래피가 어떻게 '예술'로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평면성과 무채색이라는 영화의 특징이 예술이 되기 위한 수단이자 자산이 되었다는 지적이 날카롭다. 역시 1927년에 발표한 '영화의 기반'에서 보리스 에이헨바움도 비슷한 주제를 이야기한다. 그는 몽타주의 의미론적 역할과, '언어의 재료를 스크린에 적용시킨' 영화 메타포의 의의를 강조한다.

영화 역사 100년을 넘긴 지금, 1933년에 '영화는 퇴보하려나?'라는 제목으로 쓰여진 글을 읽는다는 것 역시 흥미롭다. 언어학자인 야콥슨은 모든 예술의 재료는 기호들이라는 전제 하에 영화의 '기호'에 대해 이야기한다. 위의 세 편의 글은 모두 20년대 후반에 등장하기 시작한 러시아 몽타주 이론과 유성영화에 대한 이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만 하다.

책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리 로뜨만의 '영화 기호학과 미학의 문제'(1973)는 영화에는 언어가 있고, 그 언어를 이해할 때에만 영화를 바로 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쇼트의 배열과 화면의 형태, 카메라의 움직임, 소리, 색 등 다양한 요소들이 모두 영화의 '언어'가 된다. 이 언어들은 실제 영화에서 매우 복잡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영화는 다층적인 의미를 만들어낸다는 것. 그리고 그 의미의 어떤 층위에까지 도달하는가는 관객의 몫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로만 야콥슨(지은이)

20세기의 위대한 언어학자이자 문예이론가. 1896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1982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에서 86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1920년 체코 프라하로 건너가 1926년 프라하 언어학 서클을 창립했으며, 트루베츠코이, 마테시우스 등과 함께 기능적 구조주의를 정립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정권의 박해를 피해 미국에 정착했다. 뉴욕에 설립된 프랑스 (망명정부) 인문과학 고등연구원Ecole libre des Hautes Etudes, 컬럼비아 대학, 하버드 대학을 거쳐 1957년부터 MIT의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미국언어학회LSA 회장으로 활동했다. 변별자질, 이항대립, 유표성, 잉여성, 보편소 등의 핵심개념들을 확립하여 현대언어학을 정초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언어습득과 실어증, 커뮤니케이션학, 기호학, 시학, 언어사에도 탁월하게 적용하여 새로운 논고를 내놓을 때마다 20세기 사상사의 패러다임을 뒤흔들었던 거인이다. 전 세계에 걸친 왕성한 활동과 학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2년에 국제 문헌학.언어학 상과 헤겔 상을 수상했다.

유리 M. 로트만(지은이)

1896년에 태어난 러시아 기호학의 지도적 이론가이다. 언어학과 인공 두뇌학, 정보 이론을 도입하여 문학 및 문화 연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했다. 러시아 레닌그라드국립대학에서 인문학을 전공했으며, 문화, 문학, 영화, 연극 등 각 분야에 대한 기호학 연구서를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 <예술 텍스트의 구조>, <시 텍스트 분석>, <영화 기호학과 미학의 문제>, <마음의 우주: 문화 기호론> 등이 있다.

유리 띠냐노프(지은이)

(1894~1943)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가이며 뻬쩨르부르그 시어 연구회 회원. 지은 책으로 <도스또예프스키와 고골> <시어의 문제> <의고주의자와 개혁자> 등이 있다.

보리스 에이헨바움(지은이)

(1886~1959) 러시아 형식주의 이론가이며 뻬쩨르부르그 시어 연구회 회원. 지은 책으로 <문학에 대하여> <문학: 이론, 비판, 논쟁> <똘스또이> 등이 있다.

오종우(옮긴이)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수학했고 러시아국립인문대학교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러시아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예술 강의는 학생들에게 최고의 명강으로 꼽히며 성균관대학교 티칭어워드(SKKU Teaching-Award)를 수상했다. 예술이 인류 역사에서 단 한 번도 사라지지 않은 이유에 대해 깊이 탐구해왔으며, 미래 세대를 위한 예술의 진짜 쓸모를 이 책에 담았다. 예술적 상상력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게 하며 전에 없던 것을 창조하는 힘으로, 인간의 일을 근본부터 뒤흔드는 우리 시대에 새로운 원동력이 되어줄 것이다. 문학에서 그림, 음악, 영화까지 천재들의 작품을 넘나들며 우리를 예술적 모험으로 인도한 《예술 수업》, 대문호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파고들며 깊은 사유의 힘을 선사한 《무엇이 인간인가》를 썼다. 그 밖에 지은 책으로 《러시아 거장들, 삶을 말하다》, 《체호프의 코미디와 진실》, 《대지의 숨, 러시아의 숨표들》이 있고, 옮긴 책으로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벚꽃 동산》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편역자 서문 = 5
영화의 기반 / 유리 띠냐노프 = 11
영화 양식의 문제 / 보리스 에이헨바움 = 49
영화는 퇴보하려나? / 로만 야꼽슨 = 93
영화 기호학과 미학의 문제 / 유리 로뜨만 = 109
 서론 = 109
 1장 현실의 환상 = 125
 2장 쇼트의 문제 = 146
 3장 영화 언어의 요소와 차원들 = 158
 4장 영화 서술의 본질 = 165
 5장 영화적인 의미 = 174
 6장 영화의 어휘 = 179
 7장 몽타주 = 183
 8장 영화 서술의 구조 = 208
 9장 영화의 플롯 = 213
 10장 시간과의 싸움 = 230
 11장 공간과의 싸움 = 236
 12장 영화 배우의 문제 = 241
 13장 종합의 예술, 영화 = 257
 14장 현대 영화의 기호학과 그 방향 = 261
 결론 = 277
찾아보기 = 279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