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韓國行政改革論

韓國行政改革論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번웅 金繁雄 김동현 金東炫 김판석 金判錫
서명 / 저자사항
韓國行政改革論 / 金繁雄 ; 金東炫 ; 金判錫 [공저].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   1997.  
형태사항
820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行政學叢書
ISBN
8918021054
서지주기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행정개혁 ,,
000 00767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746790
005 20100807064414
007 ta
008 000906s1997 ulka 001 kor
020 ▼a 8918021054 ▼g 93350: ▼c \25000
035 ▼a KRIC07649596
040 ▼a 243001 ▼c 243001 ▼d 211009
049 1 ▼l 111204745 ▼f 개가
082 0 4 ▼a 351.519 ▼2 22
085 ▼a 351.53 ▼2 DDCK
090 ▼a 351.53 ▼b 1997
100 1 ▼a 김번웅 ▼g 金繁雄
245 1 0 ▼a 韓國行政改革論 / ▼d 金繁雄 ; ▼e 金東炫 ; ▼e 金判錫 [공저].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1997.
300 ▼a 820 p : ▼b 삽도 ; ▼c 23 cm.
490 ▼a 行政學叢書
504 ▼a 색인수록
653 ▼a 행정개혁
700 1 ▼a 김동현 ▼g 金東炫
700 1 ▼a 김판석 ▼g 金判錫 ▼0 AUTH(211009)13464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112047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114811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510469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510469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112047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114811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510469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1997 등록번호 1510469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동현(지은이)

<행정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韓國行政改革의 패러다임과 비전

 제1장 韓國行政의 革新 : 創意的 破壞와 새로운 이미지

  제1절 序論 = 1

  제2절 뉴이미지, 創意的 破壞, 混沌理論 = 3

  제3절 韓國行政改革의 脈絡과 課題 = 8

  제4절 企業型 政府와 行政의 競爭力 = 15

  제5절 信賴行政의 構築 = 19

  제6절 結語 = 22

 제2장 韓國行政改革의 새로운 비전 : 開放과 競爭의 패러다임

  제1절 變化와 改革의 課題 = 26

  제2절 公共行政의 비전과 이미지 = 28

  제3절 21세기의 行政環境과 組織特性 = 29

  제4절 最新行政의 脈絡과 改革 = 33

   1. 理論的 準據 = 33

   2. 經驗的 例示 : TQM = 38

  제5절 競爭的 政府와 市場的 政府 = 39

   1. 政府의 企業化 = 39

   2. 市場的 原理에 의한 政府 = 46

  제6절 改革의 뉴비전 = 48

 제3장 世界化時代의 政府部門 競爭力 提高 : 挑戰과 機會

  제1절 序論 = 54

  제2절 世界化의 槪念 = 56

  제3절 世界化와 競爭力 = 60

  제4절 政府部門의 競爭力 提高 方案 = 66

   1. 政府組織改編(組織의 世界化) = 70

   2. 敎育 및 人事改革(人力의 世界化) = 73

   3. 經濟運營改革(經濟運營의 世界化) = 77

   4. 制度改革(制度의 世界化) = 79

   5. 其他 部門의 改革 = 80

  제5절 結論 = 81

 제4장 政府管理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1절 序論 = 89

  제2절 새로운 管理模型으로서의 TQM = 90

   1. 새로운 管理의 必要性 = 90

   2. 새로운 管理의 價値와 屬性 = 91

   3. TQM의 意味 = 94

   4. 傳統的 管理와 TQM = 98

  제3절 結論 = 101

 제5장 韓國行政理論의 土着化

  제1절 歐美發展理論의 偏見과 誤謬 : N理論과 P理論 = 103

  제2절 土着的 行政理論의 槪念的 準據 = 107

  제3절 比較·發展行政의 方法論的 패러다임 = 113

  제4절 韓國行政理論의 土着化 可能性 = 115

  제5절 獨創的 視角 : P理論의 事例 = 121

  제6절 結語

 제6장 新行政學의 패러다임

  제1절 序論 = 129

  제2절 美國 新行政學의 影響 = 130

  제3절 現代 美國行政學의 論題와 方向 = 133

   1. 行政理論의 民主主義 價値 = 134

   2. 行政哲學 = 136

   3. 公共政策과 公共管理 = 138

   4. 組織理論 = 140

   5. 民營化와 새로운 形態의 組織 = 141

   6. 科學的 行政學 知識과 方法論 = 142

  제4절 結論 = 143

제2편 韓國의 行政文化와 行政行態

 제7장 管理革新, 行態變化 및 行政改革

  제1절 問題의 提起 = 151

  제2절 行政刷新委員會의 活動과 行政環境의 評價 = 153

  제3절 美國과 日本의 行政改革 = 157

   1. 美國 = 157

   2. 日本 = 158

  제4절 行政改革을 위한 綜合分析과 여러 變數 = 160

  제5절 管理理論의 變化 = 163

  제6절 新管理理論과 顧客中心的 行政改革 = 165

  제7절 政府改革 方向의 再檢討 = 170

 제8장 韓國의 政治·行政文化와 組織刷新

  제1절 槪念的 狀況 = 178

  제2절 韓國의 政治文化와 現代組織行態의 乖離 = 180

  제3절 韓國의 政治文化와 組織의 人間觀 = 184

   1. 消極的 關係 : 權威主義와 組織의 人間觀 = 184

   2. 積極的 關係 : 情誼主義와 組織의 人間觀 = 188

   3. 文化的 融合 : 組織構造機能의 人間化 = 191

  제4절 새로운 準據의 틀 = 196

 제9장 政治的 官僚制와 行政民主化

  제1절 세 가지 패러다임 = 199

  제2절 組織理論의 變化와 政治的 官僚制 = 203

   1. 새로운 行政學의 假定 = 203

   2. 새로운 組織構想 = 204

   3. 組織民主主義와 政治的 官僚制 = 205

  제3절 韓國行政의 民主化와 政治的 官僚制化 = 208

   1. 公共行政의 民主的 刷新·改革 = 208

   2. 行政理念과 組織管理方式의 變化 = 209

   3. 分權行政과 信賴管理 = 211

  제4절 民主主義와 行政民主化 = 214

 제10장 韓國行政의 腐敗와 不條理文化

  제1절 序論 = 218	

  제2절 不條理文化와 病的 盜癖官僚制 = 219

  제3절 組織의 民主化와 統合型管理體制 = 223

   1. 組織民主主義와 統合型 人事管理 = 223

   2. 官僚制의 民主化 = 227

  제4절 間接誘導型行政 = 230

   1. 行政體制의 發展段階 = 230

   2. 行政不條理의 刷新代案 = 230

   3. 信賴管理와 奉仕行政 = 235

 제11장 韓國 公務員의 不條理 行態

  제1절 序論 = 238

  제2절 生計型 不條理의 槪念 및 變數 = 239

   1. 槪念 = 239

   2. 關聯變數 = 241

  제3절 一線公務員의 生計型 不條理에 대한 意識分析 = 243

   1. 公務員 = 243

   2. 民願人 = 248

   3. 不條理 근절대책에 대한 反應 = 250

  제4절 顧客中心의 行政文化 = 253

  제5절 結語 = 255

 제12장 韓國行政의 官僚的 失敗

  제1절 官僚的 屬性과 WFA = 258

  제2절 官僚·政治人 간의 政策役割 이미지 = 261

   1. 4個의 이미지(像) = 261

   2. 韓國 官僚·政治人 간 政策役割의 連繫 = 265

  제3절 官僚的 失敗의 要因과 樣態 = 272

   1. 要因, 類型 및 事例 = 272

   2. 韓國의 官僚的 失敗와 WFA의 物化 = 278

  제4절 辨證法的 連繫와 脫物化 = 283

제3편 韓國地方行政의 行政改革

 제13장 地方自治團體의 組織管理 改革

  제1절 序論 = 287

  제2절 自治組織權과 組織管理의 限界 = 289

  제3절 硏究方法 = 294

  제4절 組織管理의 改善方向과 改善方案 = 295

   1. 하드웨어적 接近 = 298

   2. 소프트웨어적 接近 = 312

  제5절 結論 = 320

 제14장 韓國의 地域社會開發과 地方政府의 役割

  제1절 序論 = 327

  제2절 政府介入의 形態 = 328

  제3절 地方政府에 의한 資源關與와 中央政府의 地方代理人 = 330

   1. 豫算割當 = 330

   2. 人事關與 = 331

   3. 組織整備 = 333

  제4절 組織의 效率性, 리더십 및 사회서비스의 傳達 = 334

  제5절 住民의 行態와 參與 = 339

  제6절 結語 = 343

 제15장 分權化와 政策執行模型

  제1절 分權化의 槪念, 理念的 背景과 目標 = 345

  제2절 政策과 프로그램 및 執行 = 349

  제3절 組織間의 相互關係와 調整 = 352

  제4절 執行機關의 特性 및 行政力量 = 353

  제5절 프로그램 집행을 위한 資源, 環境條件 및 成果 = 354

  제6절 結語 = 356

 제16장 地方公務員의 敎育訓練方案

  제1절 序論 = 359

  제2절 地方時代의 槪念 및 基本理念 = 360

   1. 槪念 = 360

   2. 基本槪念 = 360

  제3절 地方化時代에 豫想되는 行政需要 = 362

   1. 地方政府의 權限增大 = 362

   2. 行政에 대한 住民參與의 擴大 = 363

   3. 地方의 據點都市化에 따른 廣域行政 = 363

   4. 行政에 대한 住民欲求의 增大 = 364

   5. 公務員의 責任意識과 價値觀의 變化 = 364

   6. 地域經濟의 活性化와 國際化 = 364

   7. 福祉分野 서비스의 需要增大 = 365

   8. 環境汚染과 公害增加 = 365

  제4절 地方化時代에 따른 바람직한 地方公務員像 = 366

   1. 地方公務員의 役割과 機能 = 366

   2. 地方公務員의 資質과 能力 = 368

  제5절 地方化時代에 따른 效率的인 地方公務員의 敎育訓練 = 373

   1. 敎育訓練의 意義와 目標 = 373

   2. 現行敎育訓練의 問題點 = 378

   3. 敎育訓練의 基本方向 = 380

   4. 敎育訓練의 效率化 方案 = 383

  제6절 結論 = 393

 제17장 地方公務員의 能力發展과 敎育訓練刷新

  제1절 序論 = 398

  제2절 地方公務員敎育院 敎育訓練 需要의 擴大要因 = 399

   1. 外的 要因 = 399

   2. 內的 要因 = 402

  제3절 地方公務員敎育院의 制約要因 = 405

   1. 地方公務員敎育院의 自主性 側面 = 406

   2. 敎育訓練計劃 側面 = 407

   3. 敎育 「프로그램」 側面 = 408

  제4절 地方公務員敎育院의 役割提高를 위한 發展方案 = 410

   1. 實質的인 地方公務員敎育院의 自主性 確保 = 411

   2. 合理的인 敎育訓練計劃의 樹立 = 413

   3. 刷新的인 敎育프로그램의 開發 = 415

  제5절 結論 = 420

 제18장 地方公務員의 職制의 問題點과 改善

  제1절 序論 = 424

  제2절 行政環境의 變化와 行政改革 = 425

  제3절 行政環境의 變化와 地方組織管理 = 429

  제4절 地方行政 組織管理의 問題點의 改善方案 = 431

   1. 組織管理의 問題點 = 431

   2. 日本의 地方行政 組織機構 管理 = 436

   3. 地方行政 組織管理에 대한 反省 = 437

   4. 組織診斷 = 443

   5. 組織改編事例 = 445

  제5절 地方公務員 定員管理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448

   1.定員管理의 問題點 = 448

   2. 定員算式과 定員分析 = 452

   3. 別定職의 定員管理 = 456

   4. 日本의 定員管理制度 = 458

  제6절 結論 및 政策的 合意 = 459

 제19장 地方自治時代의 地方經營戰略

  제1절 序論 = 468

  제2절 地方自治, 生活政治·生活行政의 具現 = 469

  제3절 地方化 戰略(Ⅰ) : 政府間 力割分擔明確化와 地域差別化 = 471

  제4절 地方化 戰略(Ⅱ) : 地域競爭力 提高 = 474

   1. 外部競爭力 提高戰略 = 475

   2. 內部競爭力 提高戰略 = 476

   3. 弘報戰略 = 477

   4. CI(지역이미지) 提高戰略 = 479

  제5절 日本의 地方經營事例 = 481

   1. 요코하마시의 新開國 戰略 = 481

   2. 기타규슈시의 復興戰略 = 483

  제6절 結論 = 484

 제20장 21世紀型 地方政府 構築代案 : 顧客指向的 地方政府

  제1절 行政環境變化와 行政刷新 = 486

   1. 行政環境의 變化와 새로운 接近 = 486

   2. 地方化와 顧客滿足 = 489

  제2절 世界 主要國의 行政刷新 比較 : 顧客指向的 改革을 中心으로 = 492

   1. 美國 = 492

   2. 英國 = 493

  제3절 顧客滿足과 顧客指向的 地方政府 = 497

   1. 顧客滿足管理의 歷史 = 497

   2. 顧客指向的 地方政府의 性格 = 498

   3. 顧客의 定義 = 500

   4, 顧客滿足의 意味 = 501

   5. 顧客滿足行政의 接點 = 503

   6. 顧客滿足의 主要要素 = 505

   7. 顧客滿足 行政管理戰略 = 506

  제4절 調査方法 = 508

   1. 住民顧客滿足度調査의 定義 = 508

   2. 住民顧客滿足度調査의 目的과 對象領域 = 508

   3. 住民顧客滿足度調査의 必要性과 原則 = 508

   4. 住民顧客滿足度調査의 評價內容 = 510

  제5절 豫想結果 및 評價結果 活用 = 515

   1. 豫想結果 = 515

   2. 評價結果 活用 = 516

   3. 顧客滿足을 위한 向後 行政刷新 推進戰略 = 517

  제6절 結論 = 520

제4편 世界化時代의 韓國行政改革 事例

 제21장 美國의 行政改革

  제1절 序論 = 527

  제2절 改革의 背景 = 528

  제3절 改革의 過程 = 533

  제4절 改革의 內容 = 537

  제5절 敎訓 = 539

   1. 改革의 支待 = 540

   2. 政府의 管理增進 = 540

   3. 政府複雜性의 反映 = 541

   4. 過程의 重要性 = 542

   5. 執行의 重要性 = 543

   6. 政府官僚의 活用 = 544

   7. 政府機關間 關係의 重要性 = 545

   8. 리더십의 重要性 = 545

  제6절 結語 = 546

 제22장 美國, 英國, 獨逸, 日本 行政改革의 比較的 脈絡

  제1절 改革의 方向 = 547

  제2절 美國의 常識과 結果指向的 政府 = 548

   1. 센스(sense) 있는 政府 = 548

   2. 規則보다는 結果中心 = 549

   3. 顧客第一主義 = 550

   4. 行政費用의 效率化 = 552

  제3절 英國의 行政競爭力과 市民憲章 = 553

   1. 行政의 競爭力과 公共서비스의 改善 = 553

   2. 市民憲章 = 555

  제4절 獨逸의 統一後 行政改革 = 559

  제5절 日本의 規制緩和와 分權化 = 562

  제6절 結語 : 比較의 脈絡 = 565

 제23장 韓國經濟行政의 刷新

  제1절 政府規制의 强化要因 = 568

  제2절 政府規制의 脈絡 = 573

  제3절 政府規制의 合理化 = 577

  제4절 規制緩和政策의 事例 = 581

   1. 規制緩和 = 581

   2. 美國 = 582

   3. 日本 = 586

   4. 美·日 比 韓國 = 589

  제5절 規制緩和의 政治經濟 = 590

   1. 經濟行政의 改革 = 590

   2. 行政刷新의 方向 = 591

 제24장 情報社會化와 서울市의 發展戰略

  제1절 序論 = 595

  제2절 情報社會의 意義와 構造的 特徵 = 596

   1. 産業社會와 情報社會 = 596

   2. 情報社會의 特徵 = 598

   3. 情報社會에서 都市의 變化 = 601

  제3절 情報社會에서의 國家發展 目標 = 603

   1. 韓國의 情報社會化와 國家發展 = 603

   2. 情報社會에서의 韓國의 國家發展 目標 = 605

  제4절 情報化社會에서의 首都 서울의 發展政策方向과 戰略 = 607

   1. 首都서울의 變化豫測 = 607

   2. 部門別 發展方向 및 戰略 = 608

   3. 政府 및 서울 市政의 役割 提高 = 613

  제5절 豫想되는 問題點 및 補完策 = 615

 제25장 國際技術環境과 韓國의 科學技術外交

  제1절 序論 = 616

  제2절 國際環境變化의 特徵的 樣相 = 618

   1. 競爭的 要因 = 618

   2. 協力的 要因 = 622

   3. 國際環境變化에 따른 國際化 戰略 = 630

  제3절 韓國의 科學技術國際協力體制 = 636

   1. 國家的 協力 = 636

   2. 多國間 協力 = 639

   3. 國際機構를 통한 協力 = 641

  제4절 바람직한 國際科學技術 協力體制의 摸索 = 645

   1. 基本 方向 = 645

   2. 政策課題와 戰略 = 652

   3. 科學技術協力 推進體制 = 658

  제5절 結論 = 661

   1. 科學技術外交의 事例와 敎訓 = 661

   2. 科學技術外交의 方向 = 663

 제26장 情報社會와 科學技術 政策體系

  제1절 序論 = 667

  제2절 情報社會를 보는 두 視角 = 668

  제3절 韓國科學技術政策體制의 現況과 問題點 = 672

   1. 歷史的 槪觀 = 672

   2. 問題點 = 675

  제4절 情報化社會에 따른 새로운 科學技術政策體系의 定立 = 679

   1. 90년대의 環境變化와 問題意識 = 679

   2. 基本政策方向 = 681

   3. 發展目標와 政策手段 = 682

   4. 科學技術政策體系의 定立 = 686

   5. 行政府 = 691

   6. 立法府 = 692

   7. 政黨 = 693

  제5절 結論 = 693

 제27장 韓國情報通信産業의 國際競爭力 强化

  제1절 序論 = 698

  제2절 새로운 國際秩序와 技術環境 變化 = 700

   1. 知的 財産權 保護의 强化 = 700

   2. 世界經濟의 블럭화와 地域主義 擴散 = 702

   3. 戰略的 提携 = 705

  제3절 情報通信産業의 國內外 動向 = 706

   1. 情報通信 서비스産業의 國內外 動向 = 706

   2. 情報通信器機産業의 國內外 動向 = 710

  제4절 情報通信産業의 國際競爭力强化를 위한 政策課題와 戰略 = 713

   1. 政策方向 設定 = 713

   2. 政策課題의 定立 = 717

   3. 發展戰略 = 721

  제5절 結論 = 727

 제28장 韓國 環境影響評價制度(EIA)의 運營實態分析

  제1절 序論 = 732

   1. 硏究의 目的 = 732

   2.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733

  제2절 EIA의 意義와 硏究脈絡 = 734

   1. 環境影響評價制度의 意義 = 734

   2. 環境影響評價制度의 硏究傾向 = 735

  제3절 韓國 EIA의 發展 = 737

   1. 發展過程 = 737

   2. 評價의 段階 = 739

   3. 運營上의 顧慮要因 = 741

  제4절 韓國 EIA의 運營實態分析 = 743

   1. 環境影響評價의 運營時點 = 743

   2. 環境影響評價의 對象事業 = 744

   3. 住民意見 收斂과 評價書 草案의 作成 = 746

   4. 評價對象地域 設定 = 749

   5. 環境影響評價 項目 = 749

   6. 境影響評價書 分量 및 評價期間 = 751

   7. 環境影響評價費用 = 752

   8. 環境影響評價 代行者 = 753

   9. 環境影響評價 協議履行 및 事後環境管理  = 755

  제5절 結論 = 757

 제29장 綠色政治와 環境行政刷新

  제1절 序論 = 762

  제2절 新環境 패러다임 = 764

  제3절 社會的 生態學의 哲學 = 766

   1. 辨證法的 自然主義 = 766

   2. 生態學的 多樣性 = 770

  제4절 環境保全的 政治思想 = 772

   1. 政治的 生態學 = 772

   2. 綠色政治思想 = 776

  제5절 環境的 價値, 倫理 및 行政 = 780

  제6절 結語 = 783

 제30장 韓國 環境影響評價와 住民參與

  제1절 序論 = 785

  제2절 住民參與의 制度的 問題點 = 786

   1. 評價書 草案의 作成上의 問題點 및 改善點 = 786

   2. 住民意見 收斂方法上의 問題點 및 改善點 = 788

  제3절 住民參與의 內容分析(環境影響評價書 分析) = 790

   1. 內容分析을 위한 Pretest = 790

   2. 環境影響評價 選定 및 內容分析 方法의 決定 = 793

   3. 住民參與 內容分析結果 = 797

  제4절 結論 = 801

참고문헌 = 807

찾아보기 = 8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