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0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746732 | |
005 | 20100807064358 | |
007 | ta | |
008 | 011224s2001 ulka 001a kor | |
020 | ▼a 8933704124 ▼g 93910: ▼c \16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04820 ▼f 개가 ▼l 111204821 ▼f 개가 ▼l 192029793 |
082 | 0 4 | ▼a 953.27058 |
090 | ▼a 953.27058 ▼b 2001 | |
100 | 1 | ▼a 최홍규 ▼g 崔洪奎 |
245 | 1 0 | ▼a 朝鮮後期鄕村社會硏究: ▼b 正祖時代의 華城을 중심으로 / ▼d 최홍규 著. |
246 | 0 | ▼i 번역표제: ▼a Portraits of the Rural Community in the Later Chosun Dynasty: Hwasung Province in King Jungjo's Period |
260 | ▼a 서울 : ▼b 一潮閣 , ▼c 2001. | |
300 | ▼a xii, 339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27058 2001 | 등록번호 1112048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27058 2001 | 등록번호 1112048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27058 2001 | 등록번호 192029793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천원 953.27058 2001 | 등록번호 192056606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 청구기호 약헌 953.27058 2001 | 등록번호 912013251 | 도서상태 열람불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최홍규(지은이)
○ 경기 화성 출생 ○ 고려대 및 동대학원, 중앙대 대학원, 문학박사 ○ 전 경기대 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경기도문화재위원. 화성학연구소장 역임. 경기사학회장 저 서 『안중근사건공판기』, 정음사 1976 『단재신채호』, 태극출판사 1979 『신채호의 민족주의사상』, 단재신채호기념사업회, 1983 『향토유적총람』(경기도), 경기도 1987 『국역 과농소초』, 아세아문화사, 1987 『우하영의 실학사상연구』, 일지사, 1995 『정조의 화성건설』, 일지사, 2001 『조선후기향촌사회연구』, 일조각, 2001 『조선시대지방사연구』, 일조각, 2001 『수원. 화성군읍지』, 국학자료원, 2001 『정조의 화성경영연구』, 일지사, 2005 『신채호의 역사학과 민족운동』, 일지사, 2005 『한국근대정신사의 탐구』, 경인문화사, 2005 『정조와 화성관련 주요자료집』1.2, 수원학연구소, 2008 외 다수

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正祖代 華城築造와 향촌사회의 변화 1. 머리말 = 1 2. 신도시의 造成과 邑民對策 = 7 1) 顯隆園遷奉과 移邑對策 = 7 2) 수원의 都市的 樣相과 繁榮策 = 12 3. 留守府 승격과 華城築造 = 16 1) 磻溪의 經綸과 행정조치 = 16 2) 築城計劃 = 20 3) 城役의 운영과 설비 = 23 4. 華城行宮의 건립과 壯勇外營의 설치 = 31 1) 行宮의 건립과 규모 = 31 2) 親衛軍營 壯勇外營의 설치·편성 = 36 3) 軍營의 再編과 운영·역할 = 41 5. 『觀水漫錄』의 향촌사회개혁론 = 47 1) 『觀水漫錄』의 향촌사회론 = 47 2) 華城의 內·外城 築城方略論 = 51 3) 民人募聚와 繁榮의 방책 = 57 4) 행정구역 개편과 軍·田賦의 개혁론 = 61 5) 軍餉備蓄과 還政改善論 = 68 6) 商業的 農業論과 廣作經營 비판 = 74 7) 商業振興論과 場市育成策 = 78 8) 기타 향촌사회개혁론 = 82 6. 맺음말 = 89 제2장 正祖代 신도시 華城의 繁榮과 産業振興策 1. 머리말 = 95 2. 신도시 건설과 民生對策 = 97 1) 移住對策과 給價募軍의 役事 = 97 2) 華城과 인근지방의 읍민대책 = 101 3. 民人募聚와 상공업진흥책 = 104 4. 場市擴大와 商品流通對策 = 108 5. 農業振興策 - 水利施設의 擴充과 屯田經營 = 113 6. 맺음말 = 120 제3장 正祖代의 對華城 농업진흥정책과 농업생산력 발전 - 특히 水利政策과 농업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 125 2. 자연지리와 농업환경 = 129 1) 농업환경과 先行農書의 인식 = 129 2) 자연지리적 환경과 河川水系 = 135 3. 水利진흥정책과 농업생산력 발전 = 139 1) 正祖의 荒政打開와 水利政策 = 139 2) 3대 堤堰의 修築과 屯田經營 = 142 3) 堤堰修築의 추세와 변화 = 153 4) 屯田의 설치와 운영실태 = 161 4. 농업관행과 농업생산형태의 변화 = 172 1) 경기지역과 水田農業의 발전 = 172 2) 수원지방의 농업관행 = 177 3) 상업적 농업과 농업생산형태 = 184 5. 맺음말 = 192 제4장 醉石室 禹夏永의 향촌사회발전론 - 正祖代 향촌지식인의 對華城觀 - 1. 머리말 = 197 2. 향촌사회의 농업진흥과 鄕約 인식 = 200 1) 후기사회의 변동과 鄕弊 = 200 2) 향촌사회와 「鄕約說」 = 203 3. 신도시 華城의 농업진흥론 = 207 1) 小農經營論과 懶農廣作 비판 = 207 2) 상업적 농업론 = 212 4. 신도시 繁榮策과 상업진흥론 = 216 1) 신도시 華城의 募民策 = 216 2) 산업진흥의 배경 - 市廛과 場市의 설치 = 218 3) 小商人 중심의 상업진흥과 場市育成論 = 220 4) 浦口상업의 진흥책 - 濱汀浦의 例 = 223 5. 맺음말 = 226 제5장 조선후기 水原地方의 鄕約 - 禹夏永의 「鄕約說」을 중심으로 - 1. 머리말 = 230 2. 「鄕約說」의 사회적 배경 = 234 3. 「향약설」의 내용 = 237 4. 諸賢名碩의 鄕約論 = 245 5. 맺음말 = 246 제6장 조선시대 楊州지방의 書院과 祠宇 1. 머리말 = 249 2. 道峯書院의 건립과 운영 = 251 1) 道峯書院의 건립과 竝享 논의 = 251 2) 도봉서원의 의의와 특성 = 256 3) 도봉서원의 黜享과 훼철 = 260 3. 白雲書院·石室書院의 건립과 운영 = 263 1) 白雲書院의 건립과 훼철 = 263 2) 石室書院의 건립과 配享 = 264 3) 석실서원의 규모와 구조 = 268 4) 석실서원의 院任과 운영 = 270 4. 양주지방의 祠宇 - 淸節祠·旌節祠 = 272 1) 淸節祠(東峯書院)의 건립과 사액 = 272 2) 旌節祠(沙川書院)의 건립과 사액 = 273 5. 맺음말 = 275 제7장 경기지역의 書院現況과 性向 - 특히 龍仁지방과 관련하여 - 1. 머리말 - 書院 건립의 性向 = 277 2. 書院 건립의 趨勢 = 280 1) 16세기 후반 ∼ 17세기 초의 서원 = 280 2) 17세기 중반 ∼ 18세기 초의 서원 = 287 3. 사례연구 - 忠烈書院 = 291 1) 건립과정과 賜額 = 291 2) 재정과 重修과정 = 295 3) 「院長先生案」과 「學規」 = 300 4. 맺음말 = 305 索引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