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정부 성장과 예산 이론의 변화
제1장 정부 성장의 요인 = 15
1. 머리말 = 15
2. 행정의 목적과 정부 기능 = 17
3. 프로그램과 예산의 관계 = 19
4. 정부 성장의 문제점 = 21
5. 양적인 정부 성장의 원인 분석 = 32
6. 맺음말 = 35
제2장 예산 이론의 변화 = 37
1. 머리말 = 37
2. 경제적 합리성 이론 = 39
3. 정치적 측면의 예산 이론 = 43
4. 미시적 예산 이론에서 거시적 예산 이론으로 전환 = 47
5. 새로운 예산 이론의 탐색 = 50
6. 맺음말 = 55
제3장 바람직한 예산의 방향 = 58
1. 머리말 = 58
2. 예산의 다양성 = 60
3. 예산 이론의 사실성과 규범성 = 63
4. 예산 결정의 단계 = 65
5. 맺음말 = 76
제2편 예산의 정치경제
제4장 미국 의회와 대통령의 예산 역할 = 79
1. 머리말 = 79
2. 예산전략의 변화 = 82
3. 정치적인 측면 = 86
4. 경제적인 측면 = 90
5. 예산 법안 = 96
6. 실증적 분석 = 98
7. 맺음말 = 101
제5장 한국정부의 예산 : 공화국별 비교 분석 = 104
1. 머리말 = 104
2. 행정의 목적, 기능별 지출, 공공관리 이념 = 105
3. 역대 행정부의 예산 정책 = 110
4. 행정부와 의회와의 관계 : 예산편성과 심의 = 120
5. 맺음말 = 125
제6장 예산과 경제의 상호 관계 = 126
1. 머리말 = 126
2. 정부의 재정활동 = 127
3. 예산과 경제와의 상호 관계 = 130
4. 재정 상황에 대응하는 예산정책 =137
제7장 적장예산의 관리 : 미국 의회와 행정부의 대응 = 140
1. 머리말 = 140
2. 적자예산의 배경 = 141
3. 예산 접근 방법의 전환 = 147
4. 적자예산에 대한 의회와 행정부의 대응 = 153
5. 맺음말 = 161
제3편 관리도구로서의 예산
제8장 바람직한 예산관리 단계 = 165
1. 머리말 = 165
2. 예산관리의 의미와 방향 = 167
3. 총규모 관리 : 거시 예산정책에 의한 관리 방식 = 171
4. 프로그램간의 이해 득실 = 176
5. 개별 프로그램의 관리 방안 = 177
6. 맺음말 = 183
제9장 평가와 감사와의 연계 = 185
1. 머리말 = 185
2. 관리적 측면의 예산 = 187
3. 예산 결정과 평가 및 감사와의 연계성 = 192
4. 정보 체계에 의한 예산, 평가 및 감사의 연계 = 205
5. 맺음말 = 208
제10장 행정기관의 성과관리 = 211
1. 머리말 = 211
2. 비영리조직의 관리 특성 = 213
3. 성과의 정의와 측정 = 215
4. 성과와 예산의 연계 = 221
5. 제도적 장치 = 227
6. 맺음말 = 230
제11장 의회의 비통제성 예산관리 = 233
1. 머리말 = 233
2. 예산 심의의 의미 = 234
3. 비통제 예산 = 236
4. 비통제 예산의 범위와 규모 = 238
5. 비통제 예산 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249
6. 맺음말 = 255
제4편 지방정부의 예산과 재정위기 관리
제12장 지방정부의 재정 위기 관리 = 259
1. 머리말 = 259
2. 지방 재정구조의 취약성 = 260
3. 세출관리 = 266
4. 감축관리 = 268
5. 예산제도의 개혁 = 274
6. 맺음말 = 276
제13장 재정 억제 조치와 재정 위기 관리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278
1. 머리말 = 278
2. 재정구조 = 279
3. 재정에 대한 통제 = 283
4. 재정 위기 = 288
5. 분석모형 = 293
6. 맺음말 = 297
제14장 지방정부의 재정수입 현황과 대책 = 299
1. 머리말 = 299
2. 지방자치와 자주재원의 중요성 = 300
3. 지방정부의 자주재원 현황 = 304
4. 자주재원의 확보 방안 = 315
5. 맺음말 = 327
참고문헌 = 330
찾아보기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