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 바로 알기
1. 벤처기업 바로 알기 = 24
벤처기업가 허생 = 24
벤처기업에 관한 다양한 정의 = 26
우리 나라의 벤처기업 발전사 = 28
2. 벤처캐피털 바로 알기 = 30
벤처캐피털이란 = 30
벤처캐피털의 종류 = 32
벤처캐피털과 일반금융기관 = 34
벤처캐피털의 투자방법 = 36
기업의 성장단계별 자금조달전략 = 38
3. 투자대상으로서의 벤처기업 = 42
21세기 유망산업 = 42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보는 유망산업 = 45
벤처캐피털의 산업별 투자 동향 = 46
투자대상으로서의 벤처기업 = 48
제2부 사업계획서 이해하기
사업계획서는 기업의 얼굴이자 무기이며 언어다 = 54
사업계획서가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 57
1. 사업계획서란 무엇인가? = 59
2. 사업계획서는 어떤 목적으로 작성하는가? = 62
사업계획서의 내적 기능 = 63
사업계획서의 외적 기능 = 64
3. 사업계획서는 누가 작성해야 하는가? = 65
외부 전문가의 도움 = 66
찬반양론 = 67
4. 사업계획서는 언제 작성하는가? = 69
5.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작성하는가? = 70
이해하기 쉽게 = 72
간결하고 명료하게 = 74
객관성과 주관성 = 75
일관성과 정확성 = 76
독특한 개성 = 77
6. 사업계획서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 80
요약 사업계획서 = 80
서술형 사업계획서 = 86
프리젠테이션용 사업계획서 = 86
제3부 사업계획서 만들기 Ⅰ(사람과 기술)
1. 벤처캐피털리스트와 사업계획서 = 94
벤처캐피털리스트와 사업계획서 = 94
투자결정 판단 요소 = 96
2. 사업계획서 구성하기 = 101
사업계획서 구성항목 = 101
기업 특성에 따른 사업계획서 구성 방법 = 103
3. 먼저 숲을 보여 주어라! = 106
요약 사업계획서의 필요성 = 107
요약 사업계획서의 구성항목 = 108
4. 기업 소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까지 = 112
기업현황 = 112
주주구성 = 115
5. 첫 번째도, 두 번째도, 세 번째도 사람이다 = 119
사람에 대한 두 가지 해석 방법 = 120
최고경영자의 덕목을 판단하는 요소 = 124
벤처기업가의 인적 특성 = 127
6. 기술과 제품의 경쟁력은 '비교우위 차별성'과 '독창성'이다 = 129
비교우위 차별성(제품화와 상품화) = 130
독창성과 독점력 = 132
기술전략 = 135
기술경쟁력과 산업재산권 = 143
어려운 기술일수록 쉽게 설명하라! = 145
제4부 사업계획서 만들기 Ⅱ (시장과 투자제안)
1. 철저한 시장분석만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 153
시장환경분석 = 156
시장구조분석 = 158
시장규모분석 = 168
2. 마케팅 전략은 기업의 활동지침이다 = 171
제품전략 = 172
가격전략 = 177
유통전략 = 182
판매촉진전략 = 183
3. 자금계획은 경영의 시작이자 마지막이다 = 184
자금계획 수립절차와 방법 = 186
매출추정 = 191
적정자본금 규모 = 192
4. 투자자를 위한 서비스 = 195
위험분석 : "NO RISK NO RETURN" = 196
투자조건을 먼저 제시하라! = 201
나갈 길을 보여 주어야 들어온다 = 207
서류는 확인을 위하여 요구할 때 제시하라! = 210
제5부 벤처캐피털로부터 투자 받기
1. 100분의 1의 생존 게임 = 217
투자유치 성공률과 소요기간 = 219
투자기관 선택 = 222
벤처캐피털리스트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 = 224
찾아오는 기업과 발굴한 기업 = 227
2. 첫 만남이 중요하다 = 228
전화상담 = 230
대면상담 = 234
비밀보장각서 = 236
3. 심사 착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237
4. 사업설명회는 벤처기업가를 위한 무대이다 = 239
5. 어렵고도 지루한 과정 = 243
서류심사 = 243
기업방문 및 면담심사 = 245
전문가 자문심사 = 247
6. 섯다 판과 포카 게임 = 249
WIN-WIN GAME = 250
섯다판과 포카판 = 252
기업의 성공가능성과 '신뢰성 공학' = 254
투자기관의 투자수익률 = 257
투자결정의 마지막 단계 = 260
7. 돌아올 수 없는 다리 : 투자계약 = 261
주식매각제한 조건 = 262
사후관리 조건 = 264
제6부 기업가치 평가하기
1. 기업가치평가란 무엇인가? = 271
기업가치의 종류 = 272
현재가치(PV : Present Value)에 대한 이해 = 274
기업가치평가의 어려움 = 275
가치평가에 대한 잘못된 이해 = 277
2. 기업가치평가방법 = 280
현금흐름할인법에 의한 평가 = 281
상대가치평가법에 의한 평가 = 284
본질가치 접근법에 의한 평가 = 285
3. 벤처캐피털리스트의 기업가치평가방법 = 289
4. 추정재무제표 작성 = 291
추정손익계산서의 작성 = 293
추정대차대조표 작성 = 295
추정현금흐름표 작성 = 299
제7부 투자유치 후 벤처기업 관리하기
1. 투자유치 후 해야할 일 = 307
임직원 선발 및 확충 = 308
시설확장 및 사무실 이전 = 310
기업홍보 및 광고 = 311
유무상증자 = 312
타법인 투자 = 315
2. 코스닥 등록을 위하여 필요한 관리전략 = 317
재고자산수불부의 비치 및 작성 = 318
연구개발비의 관리 = 319
사업계획서의 보완 = 322
정관, 주주총회의사록, 이사회의사록 및 각종 규정의 정비 = 323
회계감사제도 및 관리회계제도의 도입 = 324
주주명부의 정비, 대주주 주식수불부의 작성 = 326
투자자에 대한 경영참여 유도 = 327
3. 경영의 딜레마 = 329
제8부 투자유치 성공사례 : "투자유치 이렇게 했다"
1. 영업사원에서 벤처기업가로 / 김도현[(주)모디아소프트 대표이사] = 338
영업사원에서 벤처기업의 사장이 되기까지 = 339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국민벤처펀드 1호 투자받아… = 341
나의 경영철학 - 유연성과 집중, 그리고 인력 관리… = 343
벤처기업의 CEO로서… = 345
벤처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 346
2. 어느 분이 진짜 사장님이십니까? / 정재웅[(주)지아이티 대표이사] = 347
1차 투자유치(1998년 9월) = 347
2차 투자유치(1999년 5월) = 349
3차 투자유치(2000년 3월, 4월) = 349
3.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이희수[(주)펄서스테크놀러지 전무이사] = 351
4. 작전명 '막판 뒤집기' / 김정식[(주)아미티에 대표이사] = 358
5. 최고의 방법은 발품 파는 것이다 / 김종박[(주)애드게이터컴 대표이사] = 365
투자유치에도 동업자가 필요하다 = 365
역시 최고의 방법은 발품 파는 일이다 = 367
동업자 정신 = 368
투자자는 동업자다 = 370
6. 투자유치에는 단계가 있다 / 심혁[(주)에펙스디지털 대표이사] = 371
부록
1.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털리스트에 대한 설문조사 = 379
2. 국민벤처펀드 소개 = 392
3. 벤처기업 확인 및 평가 = 396
4. 중소벤처기업 정책자금 지원안내 =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