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行政學原論 / 新版[第3補訂版]

行政學原論 / 新版[第3補訂版]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규정 金圭定
서명 / 저자사항
行政學原論 / 金圭定 著
판사항
新版[第3補訂版]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2000  
형태사항
29, 939 p. ; 25 cm
총서사항
行政學叢書
ISBN
8918021550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00732360
005 20180801090820
007 ta
008 980320s2000 ulk b 001c kor
020 ▼a 8918021550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93088 ▼f 개가
082 0 4 ▼a 351 ▼2 21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00o
100 1 ▼a 김규정 ▼g 金圭定
245 1 0 ▼a 行政學原論 / ▼d 金圭定 著
250 ▼a 新版[第3補訂版]
260 ▼a 서울 : ▼b 法文社, ▼c 2000
300 ▼a 29, 939 p. ; ▼c 25 cm
440 0 0 ▼a 行政學叢書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111930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51098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510988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111930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51098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 2000o 등록번호 1510988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규정(지은이)

<행정학원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行政의 基礎理論
   제1장 行政의 本質 = 3
      제1절 行政의 歷史的 展開 = 3
        Ⅰ. 行政의 대두와 발전 = 3
        Ⅱ. 行政과 文明 = 4
        Ⅲ. 公私行政의 分化 = 6
        Ⅳ. 行政의 중요성과 社會·行政의 관계 = 6
      제2절 行政의 意義 = 7
        Ⅰ. 三權分立과 行政槪念 = 7
        Ⅱ. 行政法學的 行政槪念 = 9
        Ⅲ. 行政學的 行政槪念 = 9
        Ⅳ. 行政의 性格 = 13
        Ⅴ. 行政의 公共性 = 14
        Ⅵ. 行政과 經營(公共行政과 私行政) = 15
      제3절 行政과 合理性 = 18
        Ⅰ. 合理性의 意義 = 18
        Ⅱ. 合理性과 非合理性의 관계 = 18
        Ⅲ. 目的·手段의 階層制(連鎖關係) = 19
        Ⅳ. 合理性의 類型 = 21
        Ⅴ. 古典的 政治·經濟理論과 合理性의 限界 = 23
        Ⅵ. 行政的 合理性의 性格과 方向 = 24
      제4절 行政과 環境 = 25
        Ⅰ. 行政과 社會 = 25
        Ⅱ. 行政과 經濟 = 26
        Ⅲ. 行政과 政治 = 27
   제2장 行政國家의 脈絡 = 30
      제1절 行政國家의 展開 = 30
        Ⅰ. 國家觀의 변화와 行政國家의 形成 = 30
        Ⅱ. 規制指向型國家와 發展指向型國家 = 32
        Ⅲ. 行政의 役割과 行政機能의 類型 = 33
        Ⅳ. 政府의 膨脹要因 = 35
        Ⅴ. 現代行政의 特徵 = 37
        Ⅵ. 行政需要와 社會指標 = 39
      제2절 市場失敗·政府規制와 行政指導 = 45
        Ⅰ. 市場失敗와 政府對應 = 45
        Ⅱ. 政府規制 = 46
        Ⅲ. 行政指導 = 50
      제3절 政府失敗와 行政國家의 再評價 = 54
        Ⅰ. 政府失敗의 原因 = 54
        Ⅱ. 政府失敗에의 對應 : 民營化·民間委託·規制緩和 = 56
        Ⅲ. 行政國家의 再評價와 政府-民間關係 = 59
        Ⅳ. 政府·民間部門과 第3部門 = 62-1
   제3장 行政學의 硏究와 發達 = 63
      제1절 行政學과 行政理論 = 63
        Ⅰ. 行政學의 意義 = 63
        Ⅱ. 行政理論의 類型的 特性 = 64
        Ⅲ. 行政學의 學問的 性格 = 65
      제2절 行政學의 接近方法 = 67
        Ⅰ. 接近方法의 意義와 類型 = 67
        Ⅱ. 行態論的 接近方法 = 68
        Ⅲ. 體制論的 接近方法 = 71
        Ⅳ. 生態論的 接近方法 = 73
        Ⅴ. 公共選擇論的 接近方法 = 76
        Ⅵ. 現象學的 接近方法과 批判論的 接近方法 = 78
      제3절 官房學·實學과 슈타인行政學 = 84
        Ⅰ. 官房學 = 84
        Ⅱ. 實學 = 85
        Ⅲ. 슈타인行政學 = 87
      제4절 現代行政學 = 89
        Ⅰ. 美國行政學의 思想的 背景과 發展要因 = 89
        Ⅱ. 美國行政學의 胎動 = 90
        Ⅲ. 行政學의 패러다임 = 91
      제5절 比較行政論 = 94
        Ⅰ. 比較行政論의 發展과 接近方法 = 94
        Ⅱ. Riggs의 比較行政理論 = 96
        Ⅲ. 先進國과 發展途上國家의 行政體制 = 97
      제6절 發展行政論 = 99
        Ⅰ. 發展의 本質 = 99
        Ⅱ. 發展行政의 意義와 接近方法 = 102
        Ⅲ. 發展行政理論의 形成과 問題點 = 104
      제7절 新行政論과 公共管理論 = 107
        Ⅰ. 新行政論 = 107
        Ⅱ. 公共管理論 = 110
      제8절 韓國行政學 = 112
        Ⅰ. 形成期 = 112
        Ⅱ. 轉換期 = 113
   제4장 行政의 規範的 次元과 行政文化 = 114
      제1절 行政과 價値 = 114
        Ⅰ. 價値의 本質 = 114
        Ⅱ. 行政人과 價値問題 = 115
      제2절 行政理念(行政의 基本的 價値) = 117
        Ⅰ. 行政理念의 本質 = 117
        Ⅱ. 民主性 = 120
        Ⅲ. 社會的 衡平性 = 124
        Ⅳ. 能率性, 加外性, 效果性과 生産性 = 130
        Ⅴ. 行政의 合法性 = 138
        Ⅵ. 行政理念의 優先順位와 方向 = 139
      제3절 公益 = 141
        Ⅰ. 公益의 중요성과 關心의 대두 = 141
        Ⅱ. 公益理論의 分類 = 142
        Ⅲ. 公益槪念의 主要學說과 綜合的 認識 = 144
        Ⅳ. 公益의 特徵과 機能 = 147
        Ⅴ. 公益決定의 變數와 行政人의 役割 = 149
        Ⅵ. 公益決定의 性格과 方向 = 151
      제4절 行政文化 = 152
        Ⅰ. 意義 = 152
        Ⅱ. 一般文化의 特性理論과 行政文化의 比較的 考察 = 153
        Ⅲ. 韓國行政文化의 性格·評價와 先進國行政文化 = 156
        Ⅳ. 行政文化의 主要特性別 고찰 = 158
        Ⅴ. 行政文化의 刷新 = 163
제2편 政策論
   제1장 政策의 基礎理論 = 167
      제1절 政策問題의 중요성과 政策學 = 167
        Ⅰ. 政策問題의 중요성 = 167
        Ⅱ. 政策學의 發展 = 168
      제2절 政策의 本質 = 169
        Ⅰ. 意義 = 169
        Ⅱ. 政策의 類型 = 171
        Ⅲ. 政策體制와 政策環境 = 173
        Ⅳ. 政策의 限界 = 175
        Ⅴ. 政策過程의 性格과 段階 = 176
      제3절 政策過程의 參與者 = 178
        Ⅰ. 公式的 參與者 = 178
        Ⅱ. 非公式的 參與者 = 180
   제2장 政策議題設定과 政策決定 = 184
      제1절 政策議題設定(形成) = 184
        Ⅰ. 政策議題設定의 本質 = 184
        Ⅱ. 政策議題設定과 誘發메커니즘 = 187
        Ⅲ. 政策議題設定過程과 理論模型 = 189
      제2절 政策決定 = 191
        Ⅰ. 意義 = 191
        Ⅱ. 決定의 類型 = 193
        Ⅲ. 合理的 政策決定過程의 段階 = 195
        Ⅳ. 合理的 政策決定의 制約要因 = 197
      제3절 政策決定의 理論模型 = 201
        Ⅰ. 意義 = 201
        Ⅱ. 合理模型 = 202
        Ⅲ. 滿足模型·聯合模型(會社模型) = 204
        Ⅳ. 漸增模型 = 206
        Ⅴ. 混合走査模型(戰略的 企劃模型) = 209
        Ⅵ. 最適模型 = 211
        Ⅶ. 過程指向的 政策決定模型 = 212
        Ⅷ. Allison模型 = 215
        Ⅸ. 政策決定模型의 評價와 올바른 認識 = 217
      제4절 우리나라의 政策決定 = 217
        Ⅰ. 行政組織 內部의 意思決定 = 218
        Ⅱ. 稟議制의 長點과 短點 = 220
        Ⅲ. 最高政策決定機構 = 221
        Ⅳ. 政策決定體制의 特徵·問題點과 改善方向 = 222
      제5절 政策의 分析技法 = 226
        Ⅰ. 政策分析 = 226
        Ⅱ. 體制分析의 槪念과 政策分析·OR과의 關係 = 228
        Ⅲ. 費用便益分析과 主要考慮要因 = 229
        Ⅳ. 管理科學 = 231
   제3장 政策執行, 政策評價, 政策變動 = 233
      제1절 政策執行 = 233
        Ⅰ. 意義 = 233
        Ⅱ. 政策執行硏究의 중요성과 接近方法 = 234
        Ⅲ. 政策執行의 段階와 類型 = 236
        Ⅳ. 政策執行과 順應·不應 = 237
        Ⅴ. 政策執行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 = 239
        Ⅵ. 우리나라 政策執行의 問題點 = 242
      제2절 政策評價 = 243
        Ⅰ. 政策評價의 意義 = 243
        Ⅱ. 政策評價의 類型과 方法 = 244
        Ⅲ. 政策評價의 基準 = 246
        Ⅳ. 政策評價의 政治的 性格 = 247
        Ⅴ. 政策評價過程 = 248
        Ⅵ. 政策評價의 限界 = 249
        Ⅶ. 우리나라의 政策評價 = 250
      제3절 政策變動 = 252
        Ⅰ. 政策變動의 意義와 類型 = 252
        Ⅱ. 政策變動의 原因 = 254
        Ⅲ. 政策變動에 대한 抵抗과 解消方案 = 254
제3편 行政組織論
   제1장 組織理論의 發展 = 259
      제1절 組織의 중요성과 組織理論의 分類 = 259
        Ⅰ. 組織의 중요성 = 259
        Ⅱ. 組織理論의 分類와 基本模型 = 260
      제2절 古典理論과 科學的管理法 = 262
        Ⅰ. 古典理論(模型 Ⅰ理論)의 意義와 特徵 = 262
        Ⅱ. 科學的管理論의 本質 = 263
        Ⅲ. 科學的管理論의 影響과 批判·評價 = 264
      제3절 新古典理論과 人間關係論 = 265
        Ⅰ. 新古典理論(模型 Ⅱ理論)의 本質 = 265
        Ⅱ. 人間關係論과 科學的管理論의 比較 = 267
      제4절 現代組織理論 = 268
        Ⅰ. 現代組織理論의 展開와 特徵 = 268
        Ⅱ. 開放體制理論과 狀況適應理論 = 270
        Ⅲ. 최근의 主要理論 = 272
        Ⅳ. 現代組織理論의 批判的 認識 = 275
      제5절 組織文化와 組織技術 = 276
        Ⅰ. 組織文化 = 276
        Ⅱ. 組織技術 = 279
   제2장 組織의 基礎理論 = 281
      제1절 組織의 本質 = 281
        Ⅰ. 組織의 意義 = 281
        Ⅱ. 組織의 類型 = 282
        Ⅲ. 組織構造 = 285
        Ⅳ. 複雜性·公式化·集權化 = 286
      제2절 公式組織·非公式組織과 集團 = 293
        Ⅰ. 意義 = 293
        Ⅱ. 非公式組織·集團의 形成要因 = 294
        Ⅲ. 公式組織·非公式集團의 特徵과 相互關係 = 295
        Ⅳ. 非公式集團의 類型 = 296
        Ⅴ. 非公式集團의 機能과 統制 = 297
        Ⅵ. 韓國行政과 非公式組織 = 299
      제3절 權力과 權威 = 300
        Ⅰ. 權力·權威의 槪念과 特徵 = 300
        Ⅱ. 組織權力理論, 權力分類와 組織政治 = 302
        Ⅲ. 權威의 理論과 機能·類型 = 304
      제4절 官僚制의 本質 = 307
        Ⅰ. 官僚制의 槪念 = 307
        Ⅱ. Max Weber의 官僚制理論 = 309
        Ⅲ. 官僚制理論의 批判과 方向 = 312
        Ⅳ. 官僚制의 順機能과 逆機能 = 315
        Ⅴ. 官僚制와 民主主義 = 317
      제5절 우리나라 官僚制의 發展過程과 特徵 = 321
        Ⅰ. 朝鮮朝官僚制 = 321
        Ⅱ. 日帝時代의 植民官僚制 = 324
        Ⅲ. 해방 이후의 韓國官僚制 = 324
   제3장 組織의 目標·效果性과 環境 = 329
      제1절 組織目標 = 329
        Ⅰ. 組織目標의 本質 = 329
        Ⅱ. 組織目標와 個人目標 = 331
        Ⅲ. 組織目標의 構造 = 332
        Ⅳ. 組織目標의 類型 = 333
        Ⅴ. 組織目標의 變動 = 334
        Ⅵ. 行政組織目標의 設定과 方向 = 336
        Ⅶ. 目標管理 = 337
      제2절 組織의 效果性과 評價基準 = 340
        Ⅰ. 意義 = 340
        Ⅱ. 目標達成接近方法 = 341
        Ⅲ. 體制接近方法 = 342
        Ⅳ. 戰略的 利害關係集團 接近方法 = 343
        Ⅴ. 競爭的價値 接近方法 = 344
      제3절 組織環境의 本質 = 346
        Ⅰ. 意義 = 346
        Ⅱ. 組織의 一般環境 = 347
        Ⅲ. 環境과 組織構造 = 348
        Ⅳ. 環境의 組織에 대한 影響 = 351
        Ⅴ. 組織의 環境에 대한 影響 = 352
        Ⅵ. 組織間關係(組織의 特定環境) = 354
   제4장 行政組織의 本質과 構造 = 356
      제1절 行政組織의 本質 = 356
        Ⅰ. 行政組織의 特徵 = 356
        Ⅱ. 公共組織과 民間組織의 比較 = 357
        Ⅲ. 中央政府組織의 변천 = 358
        Ⅳ. 中央行政機關 = 359
        Ⅴ. 部處組織의 意義와 基準 = 362
        Ⅵ. 準政府組織 = 365
      제2절 行政組織의 動態的 發展 = 367
        Ⅰ. 意義 = 367
        Ⅱ. 動態的 組織의 構造와 行政人의 能力發展 = 368
        Ⅲ. 行政組織의 動態的 發展의 問題點과 方向 = 370
      제3절 系線機關과 參謀機關 = 371
        Ⅰ. 意義 = 371
        Ⅱ. 系線機關과 參謀機關의 長短點 = 373
        Ⅲ. 參謀機關의 類型 = 373
        Ⅳ. 系線·參謀의 關係와 葛藤 = 374
        Ⅴ. 行政參謀制度의 問題點 = 376
      제4절 委員會制 = 377
        Ⅰ. 意義 = 377
        Ⅱ. 委員會制의 長短點 = 379
        Ⅲ. 委員會制의 類型 = 380
        Ⅳ. 獨立規制委員會 = 381
        Ⅴ. 委員會制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382
      제5절 公企業 = 383
        Ⅰ. 公企業의 意義와 發達原因 = 383
        Ⅱ. 公企業의 類型 = 385
        Ⅲ. 公企業의 組織·統制와 經營評價 = 387
        Ⅳ. 公企業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389
   제5장 中央·地方關係와 地方行政 = 391
      제1절 中央과 地方의 關係 = 391
        Ⅰ. 中央集權·地方分權과 政府間關係 = 391
        Ⅱ. 地方自治의 趨勢와 新中央集權化·新地方分權化 = 394
        Ⅲ. 中央統制의 性格·方式·限界와 方向 = 396
      제2절 地方自治 = 398
        Ⅰ. 地方自治의 意義 = 398
        Ⅱ. 地方自治의 效用과 弊害 = 401
        Ⅲ. 地方自治와 民主主義의 關係 = 402
        Ⅳ. 地方自治團體 = 403
      제3절 一線機關(地方行政機關) = 406
        Ⅰ. 意義 = 406
        Ⅱ. 一線機關의 類型 = 408
        Ⅲ. 一線機關의 權限限界와 運營 = 409
        Ⅳ. 一線機關의 區域 = 410
        Ⅴ. 一線機關의 問題點 = 411
      제4절 廣域行政 = 412
        Ⅰ. 廣域行政의 槪念·目的과 促進要因 = 412
        Ⅱ. 廣域行政의 方式 = 413
        Ⅲ. 廣域行政의 問題點과 方向 = 414
   제6장 組織의 變動 = 416
      제1절 序說 = 416
      제2절 組織革新 = 417
        Ⅰ. 組織革新의 槪念과 特性 = 417
        Ⅱ. 組織革新의 過程과 抵抗 = 417
      제3절 組織發展 = 418
        Ⅰ. 組織發展의 槪念과 目的 = 418
        Ⅱ. 組織發展의 過程과 技法 = 419
        Ⅲ. 組織發展의 成功要件과 問題點 = 421
      제4절 組織學習과 學習組織 = 422-1
        Ⅰ. 意義 = 422-1
        Ⅱ. 學習組織의 類型 = 422-3
        Ⅲ. 學習官僚制와 學習組織의 確立方向 = 422-3
제4편 行政管理論
   제1장 行政管理의 基礎理論 = 425
      제1절 行政管理의 本質 = 425
        Ⅰ. 行政管理의 意義 = 425
        Ⅱ. 行政管理의 效率化 = 426
        Ⅲ. 새로운 行政管理와 TQM = 428
      제2절 戰略的 管理 = 432
        Ⅰ. 意義 = 432
        Ⅱ. 傳統的 管理와 戰略的 管理의 필요성 = 432-2
        Ⅲ. 戰略的 管理의 過程과 문제점 = 432-3
      제3절 管理階層과 管理者의 役割·姿勢 = 433
        Ⅰ. 最高管理層 = 433
        Ⅱ. 中間管理層 = 434
        Ⅲ. 管理者의 役割과 姿勢 = 436
      제4절 리더십 = 437
        Ⅰ. 意義 = 437
        Ⅱ. 리서십의 特徵과 機能 = 439
        Ⅲ. 리더십理論의 發展 = 440
        Ⅳ. 特性(資質)理論 = 440
        Ⅴ. 行態理論 = 441
        Ⅵ. 狀況理論 = 443
        Ⅶ. 最近理論 = 445
        Ⅷ. 적절한 리더십類型의 決定 = 447
        Ⅸ. 行政리더십의 問題點과 方向 = 448
      제5절 調整 = 450
        Ⅰ. 意義 = 450
        Ⅱ. 行政調整의 중요성과 特質 = 451
        Ⅲ. 調整의 方法과 沮害要因 = 452
      제6절 葛藤 = 454
        Ⅰ. 葛藤의 意義 = 454
        Ⅱ. 葛藤觀의 변동과 葛藤의 機能 = 455
        Ⅲ. 葛藤의 類型 = 456
        Ⅳ. 組織葛藤의 發生要因 = 458
        Ⅴ. 葛藤解決의 方向과 方法 = 459
        Ⅵ. 協商과 仲裁 = 460
   제2장 企劃과 管理統制 = 463
      제1절 企劃의 本質과 類型 = 463
        Ⅰ. 意義 = 463
        Ⅱ. 行政企劃의 중요성과 役割·機能 = 465
        Ⅲ. 企劃의 發展要因 = 466
        Ⅳ. 國家企劃의 意義와 民主主義體制 = 467
        Ⅴ. 企劃의 類型 = 468
      제2절 中央企劃機構와 企劃의 過程·制約要因 = 472
        Ⅰ. 中央企劃機構의 性格과 形態 = 472
        Ⅱ. 企劃過程 = 473
        Ⅲ. 企劃의 制約要因(限界) = 476
        Ⅳ. 우리나라 企劃過程의 問題點 = 479
      제3절 管理統制 = 480
        Ⅰ. 意義 = 480
        Ⅱ. 管理統制의 特性과 基本立場·原則 = 481
        Ⅲ. 統制過程 = 483
   제3장 意思疏通, 行政 PR, 行政情報 = 486
      제1절 意思疏通 = 486
        Ⅰ. 意思疏通의 本質 = 486
        Ⅱ. 意思疏通의 類型 = 488
        Ⅲ. 意思疏通의 沮害要因 = 492
        Ⅳ. 意思疏通의 原則과 改善方向 = 495
      제2절 行政 PR = 497
        Ⅰ. PR의 本質 = 497
        Ⅱ. 行政 PR의 發展과 機能 = 499
        Ⅲ. 行政 PR의 性格과 限界 = 500
        Ⅳ. 行政 PR의 問題點과 方向 = 502
      제3절 行政과 情報 = 504
        Ⅰ. 情報社會와 行政情報 = 504
        Ⅱ. 行政情報體系 = 509
        Ⅲ. 情報公開 = 511
   제4장 人間의 本質과 組織人 = 515
      제1절 人間行動의 心理的 基盤 = 515
        Ⅰ. 組織과 個人行動 = 515
        Ⅱ. 性格 = 516
        Ⅲ. 知覺 = 517
        Ⅳ. 態度 = 518
      제2절 組織과 個人의 關係 = 519
        Ⅰ. 組織과 個人의 關心의 차이 = 519
        Ⅱ. Argyris의 惡循環模型과 未成熟·成熟理論 = 520
        Ⅲ. Etzioni의 組織에 대한 個人의 心理的 關與理論 = 522
      제3절 人間觀理論과 管理戰略 = 523
        Ⅰ. McGregor의 X理論과 Y理論 = 523
        Ⅱ. Z理論 = 525
        Ⅲ. Schein의 人間觀理論 = 526
        Ⅳ. Likert의 管理體制理論 = 527
      제4절 動機賦與 = 528
        Ⅰ. 序說 = 528
        Ⅱ. 內容理論 = 529
        Ⅲ. 過程理論 = 533
      제5절 組織人의 類型 = 537
        Ⅰ. Presthus의 性格類型 = 538
        Ⅱ. Ramos의 組織人類型 = 538
        Ⅲ. Cotton의 權力均衡化類型 = 539
        Ⅳ. Downs의 官僚行態類型 = 540
제5편 人事行政論
   제1장 人事行政의 發展과 人事行政機關 = 543
      제1절 人事行政의 本質 = 543
        Ⅰ. 人事行政의 意義와 중요성 = 543
        Ⅱ. 政府의 人事行政과 企業의 人事管理 = 544
      제2절 獵官主義와 情實主義 = 544
        Ⅰ. 意義 = 544
        Ⅱ. 成立過程 = 545
        Ⅲ. 情實主義의 病廢와 再評價 = 547
      제3절 實績主義 = 548
        Ⅰ. 意義 = 548
        Ⅱ. 實績主義의 成立要因 = 550
        Ⅲ. 實績主義의 成立過程 = 550
        Ⅳ. 實績主義의 올바른 認識 = 552
      제4절 代表官僚制 = 554
        Ⅰ. 代表官僚制論의 擡頭要因 = 554
        Ⅱ. 代表官僚制의 意義 = 555
        Ⅲ. 代表官僚制의 機能과 限界 = 556
        Ⅳ. 우리나라의 代表官僚制問題 = 558
      제5절 職業公務員制 = 560
        Ⅰ. 意義 = 560
        Ⅱ. 職業公務員制의 特徵과 問題點 = 561
        Ⅲ. 職業公務員制의 確立要件 = 562
        Ⅳ. 職業公務員制의 展望 = 563
      제6절 人事行政의 方向 = 564
        Ⅰ. 人事行政觀의 變遷 = 564
        Ⅱ. 韓國人事行政의 기본적 시각과 개선방향 = 566
      제7절 人事行政機關 = 570
        Ⅰ. 意義 = 570
        Ⅱ. 主要國家의 中央人事機關 = 570
        Ⅲ. 中央人事機關의 組織上의 性格 = 571
        Ⅳ. 中央人事機關의 機能 = 574
        Ⅴ. 우리나라의 中央人事機關 = 574
        Ⅵ. 部處人事機關(總務課) = 576
   제2장 公職의 分類 = 579
      제1절 公職의 分類 = 579
        Ⅰ. 序說 = 579
        Ⅱ. 經歷職과 特殊經歷職 = 580
        Ⅲ. 政務官과 行政官 = 580
        Ⅳ. 開放型과 閉鎖型 = 581
        Ⅴ. 交流型과 非交流型 = 582
      제2절 職位分類制 = 583
        Ⅰ. 意義 = 583
        Ⅱ. 職位分類制의 發展과 構造 = 584
        Ⅲ. 職位分類制의 長點·短點과 導入上의 問題點 = 586
        Ⅳ. 職位分類制의 樹立節次 = 588
      제3절 階級制와 公職分類의 方向 = 592
        Ⅰ. 意義 = 592
        Ⅱ. 職位分類制·階級制의 比較와 選擇基準 = 593
        Ⅲ. 公職分類의 實態와 方向 = 596
   제3장 任用 = 599
      제1절 人力計劃 = 599
        Ⅰ. 意義 = 599
        Ⅱ. 人力計劃의 중요성과 效用 = 600
        Ⅲ. 人力計劃에서 고려해야 할 要因 = 601
        Ⅳ. 人力計劃過程 = 601
      제2절 募集 = 602
        Ⅰ. 意義 = 602
        Ⅱ. 積極的 募集의 方案 = 603
        Ⅲ. 募集의 資格要件 = 604
      제3절 試驗 = 605
        Ⅰ. 意義 = 605
        Ⅱ. 試驗效用性의 測定基準 = 606
        Ⅲ. 試驗의 種類 = 608
        Ⅳ. 試驗制度 = 609
      제4절 採用候補者名簿, 任用推薦과 試補任用 = 610
        Ⅰ. 採用候補者名簿의 작성 = 610
        Ⅱ. 任用推薦 = 610
        Ⅲ. 試補任用 = 611
        Ⅳ. 任命과 補職 = 611
      제5절 昇進 = 611
        Ⅰ. 意義 = 611
        Ⅱ. 昇進의 範圍 = 612
        Ⅲ. 昇進의 基準 = 614
        Ⅳ. 昇進制度 = 615
      제6절 轉補·補職(配置轉換) = 618
        Ⅰ. 意義 = 618
        Ⅱ. 轉補·轉職의 用途 = 619
        Ⅲ. 轉補·轉職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620
   제4장 能力發展과 士氣管理 = 622
      제1절 敎育訓練 = 622
        Ⅰ. 意義 = 622
        Ⅱ. 敎育訓練의 目的와 效用 = 623
        Ⅲ. 敎育訓練의 種類 = 624
        Ⅳ. 敎育訓練方法(技法) = 627
        Ⅴ. 敎育訓練制度의 運營 = 631
        Ⅵ. 公務員敎育訓練의 沿革·問題點과 方向 = 635
      제2절 勤務成績評定 = 637
        Ⅰ. 意義 = 637
        Ⅱ. 評定方法(評定模型) = 639
        Ⅲ. 勤務成績評定의 運營 = 641
        Ⅳ. 勤務成績評定의 事後檢討와 調整 = 645
        Ⅴ. 우리나라의 勤務成績評定制度 = 648
        Ⅵ. 勤務成績評定의 批判과 方向 = 651
      제3절 士氣의 本質 = 653
        Ⅰ. 意義 = 653
        Ⅱ. 士氣의 要因 = 656
        Ⅲ. 士氣의 調査 = 658
        Ⅳ. 士氣의 問題點과 昻揚方案 = 659
      제4절 士氣昻揚制度 = 661
        Ⅰ. 苦衷處理 = 661
        Ⅱ. 提案制度 = 663
        Ⅲ. 公務員團體 = 666
      제5절 報酬 = 671
        Ⅰ. 意義 = 671
        Ⅱ. 公務員報酬의 特徵 = 672
        Ⅲ. 報酬水準의 基本原則과 決定要因 = 673
        Ⅳ. 報酬體系와 報酬表 = 676
        Ⅴ. 昇給 = 678
        Ⅵ. 公務員報酬의 現況·問題點과 改善方向 = 679
      제6절 年金制度 = 682
        Ⅰ. 意義 = 682
        Ⅱ. 年金基金造成方式 = 683
        Ⅲ. 우리나라의 年金制度 = 683
   제5장 勤務規律 = 685
      제1절 公職의 倫理와 腐敗 = 685
        Ⅰ. 公職倫理의 本質 = 685
        Ⅱ. 公務員의 行動閨範과 公職者倫理法 = 689
        Ⅲ. 公職腐敗의 本質과 原因 = 691
        Ⅳ. 公職腐敗의 방지와 公職倫理의 확립방안 = 694
      제2절 公務員의 忠誠 = 697
        Ⅰ. 意義 = 697
        Ⅱ. 忠誠·人權關係와 忠誠調査 = 698
      제3절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 = 699
        Ⅰ.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의 本質 = 699
        Ⅱ.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의 確立要件 = 700
        Ⅲ. 各國의 政治的 中立制度 = 702
        Ⅳ. 우리나라의 政治的 中立制度 = 703
      제4절 身分保障 = 705
        Ⅰ. 身分保障의 意義와 필요성 = 705
        Ⅱ. 懲戒制度 = 706
        Ⅲ. 職位解除와 待機命令制 = 707
        Ⅳ. 停年制度 = 708
        Ⅴ. 減員 = 709
        Ⅵ. 轉補와 勸告辭職 = 710
제6편 財務行政論
   제1장 豫算의 一般理論 = 713
      제1절 豫算의 本質 = 713
        Ⅰ. 豫算의 槪念 = 713
        Ⅱ. 豫算의 機能 = 715
        Ⅲ. 豫算과 法律의 關係 = 718
        Ⅳ. 政府豫算의 特徵과 民間豫算과의 차이 = 719
        Ⅴ. 公共部門과 統合豫算 = 720
      제2절 豫算機關 = 723
        Ⅰ. 中央豫算機關 = 723
        Ⅱ. 우리나라의 豫算機關 = 726
      제3절 豫算會計關係法律 = 727
        Ⅰ. 槪要 = 727
        Ⅱ. 豫算會計法 = 728
        Ⅲ. 企業豫算會計法 = 730
        Ⅳ. 政府投資機關管理基本法 = 731
      제4절 計劃·豫算과 中期財政計劃 = 732
        Ⅰ. 計劃과 豫算 = 732
        Ⅱ. 中期財政計劃制度 = 738
      제5절 豫算原則 = 740
        Ⅰ. 豫算原則과 現代行政 = 740
        Ⅱ. 立法府優位의 傳統的 豫算原則 = 741
        Ⅲ. 行政府優位의 現代的·管理指向的 豫算原則 = 743
      제6절 豫算의 種類 = 744
        Ⅰ. 豫算種類의 區分基準 = 744
        Ⅱ. 一般會計豫算, 特別會計豫算, 基金 = 745
        Ⅲ. 本豫算·修正豫算·追加更正豫算 = 749
        Ⅳ. 準豫算·暫定豫算·假豫算(豫算不成立時의 豫算執行) = 750
        Ⅴ. 豫算技法上의 豫算 = 752
      제7절 豫算의 分類 = 753
        Ⅰ. 意義 = 753
        Ⅱ. 組織別分類와 品目別分類 = 755
        Ⅲ. 機能別分類, 事業計劃別分類, 活動別分類 = 756
        Ⅳ. 經濟性質別分類 = 758
   제2장 豫算過程 = 760
      제1절 豫算過程의 本質 = 760
        Ⅰ. 意義 = 760
        Ⅱ. 豫算過程의 性格과 特徵 = 761
        Ⅲ. 豫算過程의 環境的 要因과 參與者 = 763
        Ⅳ. 會計年度 = 764
      제2절 豫算編成 = 765
        Ⅰ. 意義 = 765
        Ⅱ. 豫算編成의 政治的 性格과 動態的 過程 = 766
        Ⅲ. 豫算編成節次 = 769
        Ⅳ. 豫算의 形式(內容) = 771
        Ⅴ. 豫算要求·豫算査定의 代替的 方式과 硬直性經費問題 = 772
        Ⅵ. 豫算編成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774
      제3절 豫算審議 = 777
        Ⅰ. 意義 = 777
        Ⅱ. 豫算審議에 영향을 미치는 要因 = 777
        Ⅲ. 各國豫算審議制度의 比較 = 779
        Ⅳ. 豫算審議節次 = 781
        Ⅴ. 豫算審議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782
      제4절 豫算執行 = 784
        Ⅰ. 意義 = 784
        Ⅱ. 財政統制(豫算執行의 統制) = 786
        Ⅲ. 豫算執行의 伸縮性과 維持方案 = 787
        Ⅳ. 收入·支出과 會計方式 = 792
        Ⅴ. 豫算執行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797
      제5절 決算 = 798
        Ⅰ. 意義 = 798
        Ⅱ. 決算節次 = 800
        Ⅲ. 問題點과 改善方向 = 802
      제6절 會計檢査 = 803
        Ⅰ. 會計檢査의 本質 = 803
        Ⅱ. 會計檢査機關의 類型 = 805
        Ⅲ. 會計檢査의 方法(種類) = 806
        Ⅳ. 監査院 = 807
        Ⅴ. 職務監察 = 809
        Ⅵ. 政策監査 = 810
        Ⅶ. 監査院監査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811
   제3장 豫算改革 = 813
      제1절 豫算理論의 動向과 豫算制度改革 = 813
        Ⅰ. 豫算理論의 動向 = 813
        Ⅱ. 豫算制度改革의 段階 = 815
      제2절 成果主義豫算 = 818
        Ⅰ. 意義 = 818
        Ⅱ. 成果主義豫算의 發展 = 819
        Ⅲ. 成果主義豫算의 長短點과 導入上의 問題點 = 820
      제3절 計劃豫算(PPBS) = 822
        Ⅰ. 意義 = 822
        Ⅱ. PPBS의 發達要因과 導入 = 823
        Ⅲ. PPBS의 理論의 基礎와 效用 = 824
        Ⅳ. PPBS의 限界 = 825
        Ⅴ. 成果主義豫算과 PPBS의 比較 = 827
        Ⅵ. PPBS導入上의 問題點 = 828
      제4절 零基準豫算 = 829
        Ⅰ. 意義 = 829
        Ⅱ. 零基準豫算의 發展 = 830
        Ⅲ. 零基準豫算의 節次 = 830
        Ⅳ. 零基準豫算과 漸增型豫算·PPBS의 比較(特徵) = 832
        Ⅴ. 零基準豫算의 評價와 運用上의 問題點 = 834
        Ⅵ. 日沒法과 減縮管理 = 836
      제5절 資本豫算(複式豫算) = 838
        Ⅰ. 意義 = 838
        Ⅱ. 資本豫算의 長點과 短點 = 839
        Ⅲ. 資本豫算制度의 發展 = 840
   제4장 購買行政 = 841
      제1절 購買行政의 本質 = 841
        Ⅰ. 購買行政의 意義 = 841
        Ⅱ. 集中購買制度의 長短點 = 842
      제2절 中央購買機關과 購買節次 = 843
        Ⅰ. 中央購買制度의 發展 = 843
        Ⅱ. 購買節次 = 844
제7편 行政統制와 行政改革
   제1장 行政責任과 行政統制 = 847
      제1절 行政責任의 本質 = 847
        Ⅰ. 行政責任의 槪念과 分類 = 847
        Ⅱ. 行政責任의 확보 필요성과 基準 = 848
        Ⅲ. 行政責任의 二元的 性格과 葛藤 = 850
        Ⅳ. 行政責任關係의 循環構造 = 853
        Ⅴ. 行政責任論爭과 行政統制 = 856
      제2절 外部統制(民主統制) = 859
        Ⅰ. 意義 = 859
        Ⅱ. 立法統制 = 859
        Ⅲ. 司法統制 = 861
        Ⅳ. 民衆統制 = 862
        Ⅴ. 外部統制의 問題點과 確立方向 = 863
      제3절 옴부즈만制度 = 864
        Ⅰ. 옴부즈만制度의 意義와 發展 = 864
        Ⅱ. 옴부즈만制度의 特徵 = 865
        Ⅲ. 옴부즈만制度의 導入問題 = 866
      제4절 行政參與 = 868
        Ⅰ. 意義 = 868
        Ⅱ. 行政參與의 必要性·機能과 限界 = 868-1
        Ⅲ. 行政參與의 類型 = 868-3
        Ⅳ. 우리나라 行政參與의 現況·問題點과 方向 = 868-4
   제2장 行政改革 = 869
      제1절 行政改革의 本質 = 869
        Ⅰ. 意義 = 869
        Ⅱ. 行政改革의 필요성과 成功要件 = 870
        Ⅲ. 行政改革의 接近方法 = 872
        Ⅳ. 行政改革의 過程 = 874
        Ⅴ. 行政改革의 抵抗 = 876
      제2절 行政改革事業 = 878
        Ⅰ. 韓國의 行政改革 = 878
        Ⅱ. 美國의 行政改革 = 880
        Ⅲ. 英國의 行政改革 = 883
      제3절 傳統的 行政體制와 政府改革模型 = 885
        Ⅰ. 傳統的 行政體制의 비판 = 885
        Ⅱ. 政府改革의 理論模型 = 887
        Ⅲ. 未來政府의 靑寫眞 = 890
      제4절 行政改革의 方向 = 892
        Ⅰ. 우리나라 行政改革의 基本方向 = 892
        Ⅱ. 改革方案 = 893
參考文獻 = 897
事項索引 = 919
人名索引 = 93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