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韓國行政論 第5全訂版

韓國行政論 第5全訂版 (3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동서 朴東緖
서명 / 저자사항
韓國行政論 / 朴東緖 著.
판사항
第5全訂版
발행사항
서울 :   법문사 ,   2001.  
형태사항
725 p. ; 23 cm.
총서사항
行政學叢書
ISBN
8918021712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000 00588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32359
005 20100807053424
007 ta
008 980418s2001 ulk 001a kor
020 ▼a 8918021712 ▼g 93350 : ▼c \2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93087 ▼f 개가
082 0 4 ▼a 351.53 ▼2 21
090 ▼a 351.53 ▼b 2001h
100 1 ▼a 박동서 ▼g 朴東緖
245 1 0 ▼a 韓國行政論 / ▼d 朴東緖 著.
250 ▼a 第5全訂版
260 ▼a 서울 : ▼b 법문사 , ▼c 2001.
300 ▼a 725 p. ; ▼c 23 cm.
490 0 0 ▼a 行政學叢書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1930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4566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4566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510988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1930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4566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114566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h 등록번호 1510988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동서(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및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행정쇄신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학술원 회원 및 서울대 행정대학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한국관료제도의 역사적 전개>, <한국행정의 연구>, <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序論

 제1장 行政의 發展 = 33

  제1절 韓國行政의 發展 = 33

   Ⅰ. 朝鮮時代 = 33

    1. 環境 = 33

    2. 行政 = 36

    3. 成果 = 37

   Ⅱ. 日帝時代 = 37

    1. 環境 = 37

    2. 行政 = 39

    3. 成果 = 40

   Ⅲ. 韓國時代 = 40

    1. 環境 = 41

    2. 行政 = 43

    3. 成果 = 45

   Ⅳ. 特徵 = 45

   Ⅴ. 韓國行政人의 行態(行政文化) = 46

    1. 長點 = 47

    2. 短點 = 51

  제2절 現代行政의 特質 = 59

   Ⅰ. 槪念 = 59

   Ⅱ. 機能의 變遷과 原因 = 59

    1. 機能의 變遷 = 59

    2. 變遷의 原因 = 60

   Ⅲ. 特質 = 62

    1. 量的 面 = 63

    2. 質的 面 = 63

 제2장 行政의 意義 = 66

  제1절 槪念 = 66

   Ⅰ. 諸規定 = 66

   Ⅱ. 規定의 基準 = 69

   Ⅲ. 現代行政의 槪念 = 70

  제2절 行政의 範圍 및 過程 = 71

   Ⅰ. 範圍 = 71

    1. 西歐諸國 = 71

    2. 新生國 = 72

    3. 共産國 = 73

   Ⅱ. 過程 = 73

    1. 基本的 觀點 = 73

    2. 過程論의 長·短點 = 77

    3. 目標設定 = 79

    4. 政策決定 = 80

    5. 企劃 = 80

    6. 組織化 = 81

    7. 動作化 = 81

    8. 評價 = 82

    9. 是正措置 = 82

  제3절 行政과 經營 = 82

   Ⅰ. 二大立場 = 82

   Ⅱ. 類似性 = 85

    1. 目標遂行을 위한 手段性 = 85

    2. 官僚制的 性格 = 85

   Ⅲ. 差異性 = 86

    1. 目標 = 86

    2. 權力性 = 87

    3. 獨占性과 能率性 = 87

    4. 法令의 制約 = 87

    5. 平等性 = 87

 제3장 行政學의 發達 = 90

  제1절 行政學의 成立 = 90

   Ⅰ. 行政面 = 90

   Ⅱ. 經濟面 = 91

   Ⅲ. 政治面 = 92

   Ⅳ. 韓國에서의 行政硏究 = 94

    1. 朝鮮時代 = 96

    2. 日帝時代 = 101

    3. 韓國時代 = 105

  제2절 方法論 = 117

   Ⅰ. 對象 및 範圍 = 118

   Ⅱ. 方法 = 129

   Ⅲ. 狀況的 接近과 土着化 = 131

   Ⅳ. 韓國에서의 行政學硏究와 反省 = 133

 제4장 行政理論의 發達 = 135

  제1절 政治와 行政 = 136

   Ⅰ. 二元論(技術的 行政學) = 137

   Ⅱ. 一元論(機能的 行政學) = 139

   Ⅲ. 새 二元論(行態論) = 141

   Ⅳ. 새 一元論(發展論) = 141

   Ⅴ. 新公共管理論 = 142

   Ⅵ. 韓國의 경우 = 145

  제2절 行政과 經濟 = 148

   Ⅰ. 市場의 失敗와 行政介入 = 148

   Ⅱ. 政府의 失敗와 減縮管理 = 149

   Ⅲ. 韓國의 경우 = 150

  제2절 科學性과 技術性 = 152

   Ⅰ. 科學化 및 科學視 = 153

   Ⅱ. 技術性의 강조 = 154

   Ⅲ. 科學化에의 再執念 = 154

   Ⅳ. 技術性의 再强調 = 156

   Ⅴ. 韓國의 경우 = 157

  제4절 行政理念 = 159

   Ⅰ. 合法性 = 159

   Ⅱ. 能率性 = 161

   Ⅲ. 民主性(社會的 能率性) = 162

   Ⅳ. 效果性 및 生産性 = 163

   Ⅴ. 韓國의 경우 = 167

   Ⅵ. 理念간의 優先順位 = 170

  제5절 行政變數 = 173

   Ⅰ. 構造(科學的管理論) = 173

   Ⅱ. 人間(人間關係論) = 175

   Ⅲ. 生態(環境·體制) = 177

   Ⅳ. 人間(發展人) = 179

   Ⅴ. 韓國의 경우 = 180

제2편 政策決定

 제1장 行政目標 = 185

  제1절 意義 및 形成 = 185

   Ⅰ. 意義 = 185

   Ⅱ. 機能(必要性) = 186

   Ⅲ. 內容과 形成 = 187

  제2절 類型과 數 = 192

   Ⅰ. 類型 = 192

    1. 發展 = 192

    2. 階層 = 193

    3. 機能 = 193

    4. 公式性 = 193

   Ⅱ. 數 = 194

  제3절 變動 = 195

   Ⅰ. 轉換 = 195

   Ⅱ. 承繼·多元化·擴大 = 196

 제2장 政策決定 = 198

  제1절 意義 = 198

   Ⅰ. 槪念 = 198

    1. 定義 = 198

    2. 意思決定과의 관계 = 199

    3. 定型·非定型的 = 200

   Ⅱ. 種類 = 201

   Ⅲ. 變數 = 202

   Ⅳ. 重要性 = 204

   Ⅴ. 政策學의 硏究 = 206

  제2절 參與者 = 209

   Ⅰ. 行政官 = 210

   Ⅱ. 專門家 = 214

   Ⅲ. 利益團體 = 216

   Ⅳ. 政堂·國會 = 220

   Ⅴ. 輿論과 市民團體 = 222

   Ⅵ. 政務官 = 224

   Ⅶ. 行政人의 役割 = 227

  제3절 決定過程 = 230

   Ⅰ. 問題의 認知 = 231

   Ⅱ. 情報의 蒐集 및 分析 = 234

    1. 意義와 特性 = 234

    2. 情報處理 = 235

    3. 行政과 電算化 = 237

   Ⅲ. 代案의 作成 및 評價 = 239

    1. 管理科學 = 240

    2. 體制分析 = 241

    3. 政策分析 = 242

   Ⅳ. 選擇 = 244

  제4절 規範的 基準 - 公益性 = 245

   Ⅰ. 關心의 대두 = 246

   Ⅱ. 公益의 槪念 = 247

    1. 公益의 存無 및 單一 對 複數性 = 248

    2. 決定者 = 250

   Ⅲ. 公益決定의 變數 = 252

   Ⅳ. 現實適用 = 253

  제5절 葛藤의 解決과 權威 = 255

   Ⅰ. 葛藤의 意義 = 256

    1. 槪念 = 256

    2. 機能 = 256

    3. 類型 = 257

   Ⅱ. 葛藤의 原因 = 258

    1. 利害關係 및 目標의 差 = 258

    2. 役割의 分化와 相互期待의 差 = 258

    3. 認知 및 態度의 差 = 259

    4. 意思傳達의 問題 = 259

   Ⅲ. 葛藤의 解決 = 259

   Ⅳ. 權威와 權力 = 261

    1. 意義 = 261

    2. 受容變數 = 261

    3. 機能 = 263

  제6절 合理性의 限界 = 264

   Ⅰ. 制約要因 = 264

    1. 決定人(行政人) = 264

    2. 行政構造 = 267

    3. 環境 = 269

   Ⅱ. 理論的 類型 = 270

 제3장 企劃 = 276

  제1절 意義 = 276

   Ⅰ. 槪念 = 276

   Ⅱ. 企劃과 執行 = 278

   Ⅲ. 政經的 意義 = 280

  제2절 類型 = 283

   Ⅰ. 期間別 = 283

    1. 長期企劃 = 283

    2. 中期企劃 = 283

    3. 短期企劃 = 284

   Ⅱ. 對象別 = 284

    1. 經濟企劃 = 284

    2. 自然企劃 = 285

    3. 社會企劃 = 285

   Ⅲ. 一般性別(階層別) - 運營計劃 및 目標管理 = 285

   Ⅳ. 기타 = 288

    1. 地域別 = 288

    2. 利用頻度別 = 288

    3. 綜合性別 : PERT = 288

  제3절 企劃의 樹立 = 289

   Ⅰ. 擔當者 = 289

    1. 企劃機構의 性格 = 280

    2. 人力配分 = 292

   Ⅱ. 過程 = 294

    1. 未來의 豫測 및 目標의 設定 = 294

    2. 情報의 蒐集·分析 = 295

    3. 代案의 作成 및 評價 = 296

    4. 選擇 = 296

제3편 組織化

 序論 = 300

 제1장 行政組織의 意義 = 303

  제1절 組織觀 = 303

   Ⅰ. 意義 = 303

   Ⅱ. 組織觀과 變數 = 305

   Ⅲ. 類型 = 307

  제2절 官僚制 = 310

   Ⅰ. 槪念 = 310

   Ⅱ. 特徵 = 311

    1. Weber의 理論 = 311

    2. 修正論(1930년대 이후의 美國의 社會學者) = 314

    3. 修正論(1960년대 이후의 發展論者) = 316

   Ⅲ. 官僚의 行態와 病理 = 322

    1. 書面主義·形式主義 = 322

    2. 手段의 目標化 = 323

    3. 無事安逸主義 = 323

    4. 歸屬主義에 입각한 自生集團 = 323

    5. 割據主義 = 324

    6. 上官의 權威에 의존 = 324

    7. 專門化로 인한 無能 = 324

    8. 變化에 대한 저항 = 324

  제3절 公式的 組織과 自生集團 = 325

   Ⅰ. 意義 = 325

    1. 公式的 組織의 非情誼性 = 326

    2. 公式的 組織의 지연성 = 327

    3. 公式的 組織의 一般性 = 327

   Ⅱ. 類型 = 327

   Ⅲ. 機能 = 328

   Ⅳ. 統制 = 330

 제2장 分業體制 = 331

  제1절 體制編成의 原理 = 331

   Ⅰ. 3大要因 = 331

   Ⅱ. 專門化·分業 = 333

    1. 意義 = 333

    2. 理由 = 334

    3. 限界 및 批判 = 334

   Ⅲ. 調整·統合 = 335

    1. 意義 = 335

    2. 어려운 理由 = 336

    3. 方法 = 337

   Ⅳ. 階層制 = 338

    1. 意義 = 338

    2. 機能 = 338

   Ⅴ. 統率의 範圍 = 340

    1. 意義 = 340

    2. 決定要因 = 341

   Ⅵ. 命令의 統一 = 342

    1. 意義 = 342

    2. 修正 = 342

  제2절 部處組織 = 343

   Ⅰ. 意義 = 343

   Ⅱ. 基準 = 346

    1. 目的 또는 機能 = 346

    2. 過程 = 347

    3. 受益者 또는 資材 = 347

    4. 地域 = 347

   Ⅲ. 適用 = 348

  제3절 公企業 = 349

   Ⅰ. 意義 = 349

   Ⅱ. 分類 = 350

    1. 設立의 目的 및 機能 = 351

    2. 組織의 類型 = 351

   Ⅲ. 統制 = 352

  제4절 委員會 = 355

   Ⅰ. 意義 = 355

    1. 長點 = 356

    2. 短點 = 356

   Ⅱ. 類型 = 357

    1. 諮問委員會 = 357

    2. 行政委員會 = 358

    3. 獨立規制委員會 = 358

  제5절 系線機關과 幕僚機關 = 361

   Ⅰ. 意義 = 361

   Ⅱ. 不和關係 = 363

    1. 原因 = 364

    2. 解決方案 = 364

  제6절 集權과 分權 = 366

   Ⅰ. 意義 = 366

   Ⅱ. 長·短點 = 367

    1. 集權의 장점 = 368

    2. 分權의 장점 = 368

   Ⅲ. 變數 = 369

   Ⅳ. 中央統制(中央과 地方의 關係) = 372

    1. 意義 = 372

    2. 方法 = 373

   Ⅴ. 一線機關 및 廣域行政 = 375

    1. 意義 = 375

    2. 問題點 = 376

   Ⅵ. 全面自治化의 評價 = 379

 제3장 人的 資源의 充員과 配分 = 382

  제1절 基準 = 382

   Ⅰ. 獵官主義(情實主義) - 歸屬性 = 383

    1. 意義 = 383

    2. 成立要因 = 384

    3. 弊害 = 387

   Ⅱ. 實績主義 - 實績性 = 387

    1. 意義 = 387

    2. 成立要因 = 389

    3. 展望 = 389

   Ⅲ. 職業公務員制 - 生涯性 = 390

    1. 意義 = 391

    2. 樹立要件 = 392

  제2절 擔當機關 = 393

   Ⅰ. 中央人事機關 = 394

    1. 意義 = 394

    2. 韓國中央人事機關의 變遷 = 395

    3. 組織 = 395

    4. 機能 = 378

   Ⅱ. 각 部處人事機關 = 399

    1. 組織 = 400

    2. 機能 = 401

   Ⅲ. 人事機關改革 = 402

  제3절 分類 = 403

   Ⅰ. 經歷職과 特殊經歷職 = 403

    1. 經歷職公務員 = 404

    2. 特殊經歷職公務員 = 404

   Ⅱ. 職位分類制 = 406

    1. 意義 = 406

    2. 長·短點 = 407

    3. 樹立方法 = 407

   Ⅲ. 階級制 = 410

    1. 意義 = 410

    2. 長·短點 = 411

   Ⅳ. 分類制의 將來 = 413

    1. 經歷職과 特殊經歷職의 관계 = 413

    2. 職位分類制와 階級制의 관계 = 413

  제4절 採用 = 415

   Ⅰ. 募集 = 415

    1. 意義 = 415

    2. 資格要件 = 417

   Ⅱ. 試驗 = 422

    1. 效用性의 限界 = 422

    2. 試驗의 種類 = 424

   Ⅲ. 任命 = 427

    1. 任用候補者名簿 = 427

    2. 任用候補者의 推薦 = 428

 제4장 財源의 動員과 配分 = 431

  제1절 豫算의 原則과 財源의 動員 = 431

   Ⅰ. 意義 = 431

   Ⅱ. 豫算의 原則 = 433

    1. 統制手段視 : 우리의 1950년대말까지와 서구의 19세기 = 434

    2. 問題解決의 資源視 : 우리의 1960년대후와 서구의 20세기 = 435

    3. 展望 = 435

   Ⅲ. 動員(歲入) = 436

    1. 租稅 = 437

    2. 信用 = 440

    3. 外援 = 441

    4. 赤字財政 = 441

  제2절 配分의 基準 = 442

   Ⅰ. 品目別豫算 - 統制性 = 443

    1. 意義 = 443

    2. 長·短點 = 444

   Ⅱ. 成果主義豫算 - 能率性 = 445

    1. 意義 = 445

    2. 長·短點 = 447

   Ⅲ. 計劃豫算 - 發展計劃性 = 448

    1. 意義 = 448

    2. 發展過程 = 449

    3. 長點 = 451

    4. 限界 및 問題點 = 451

    5. 展望 : 目標管理와 零基準豫算 = 454

  제3절 擔當機關 = 459

   Ⅰ. 中央豫算機關의 位置 = 459

   Ⅱ. 中央豫算機關의 機能 = 460

   Ⅲ. 各部機關 = 461

   Ⅳ. 人員의 資質 = 461

  제4절 豫算의 種類 = 462

   Ⅰ. 一般會計豫算·特別會計豫算 = 462

   Ⅱ. 本豫算·修正豫算·追加更正豫算 = 463

   Ⅲ. 準豫算 = 464

   Ⅳ. 公企業의 豫算 = 465

    1. 特色 = 465

    2. 政府企業 = 465

    3. 政府投資機關 = 466

  제5절 豫算의 分類 = 467

   Ⅰ. 意義 = 467

   Ⅱ. 經濟性質別 分類 = 468

    1. 意義 = 468

    2. 特質 및 制限 = 469

   Ⅲ. 資本豫算 = 470

    1. 意義 = 470

    2. 長點 = 471

    3. 問題點 = 471

   Ⅳ. 機能別 分類 = 472

    1. 意義 = 472

    2. 分類 의 범주 = 472

    3. 特質 = 473

   Ⅴ. 事業 및 組織別 分類 = 473

  제6절 豫算의 編成 = 474

   Ⅰ. 意義 = 474

   Ⅱ. 編成過程 = 475

    1. 豫算編成指針의 決定 = 475

    2. 豫算의 要求 = 475

    3. 査定 = 476

    4. 豫算案의 作成 및 提出 = 478

   Ⅲ. 問題點 = 479

  제7절 豫算의 審議 = 480

   Ⅰ. 意義 = 480

   Ⅱ. 審議過程 = 481

    1. 政策演說 = 481

    2. 國政監査 = 481

    3. 豫備審査 = 482

    4. 綜合審査 = 484

    5. 本會議 議決 = 486

   Ⅲ. 問題點 = 487

  제8절 豫算의 執行 = 488

   Ⅰ. 意義 = 488

   Ⅱ. 財政統制 = 489

    1. 豫算의 配定과 資金의 供給 = 489

    2. 支出原因行爲의 統制 = 490

    3. 行政人의 定員과 報酬에 대한 統制 = 490

    4. 國庫債務負擔行爲의 統制 = 491

   Ⅲ. 伸縮性의 維持 = 491

    1. 豫算의 移用 및 轉用 = 491

    2. 豫算의 移替 및 移越 = 492

    3. 繼續費 = 493

    4. 豫備費 = 493

   Ⅳ. 問題點 = 495

  제9절 購買行政 = 496

   Ⅰ. 意義 = 496

   Ⅱ. 擔當機關 : 集中·分散 = 496

    1. 長點 = 497

    2. 短點 = 498

   Ⅲ. 購買過程 = 498

    1. 需要豫測 = 499

    2. 契約 = 499

    3. 收納檢査·引渡 및 代金支拂 = 500

제4편 動作化

 제1장 士氣의 一般理論 = 503

  제1절 士氣의 意義 = 503

   Ⅰ. 人間觀 = 504

    1. Theory X(X理論) = 504

    2. 合理的·經濟的 人間 = 505

    3. 社會的 人間 = 506

    4. 自己完成人 = 507

    5. 複雜한 人間 = 508

   Ⅱ. 士氣(勤務意欲) = 509

    1. 期待理論 : 過程論 = 509

    2. 基本的 欲求論 : 內容論 = 512

  제2절 報酬와 年金 = 517

   Ⅰ. 報酬의 一般水準의 決定原則과 基準 = 517

    1. 二大原則 = 518

    2. 決定基準 = 519

   Ⅱ. 新生國 公務員報酬의 特殊性 = 521

    1. 公務員報酬의 特徵 = 522

    2. 後進國報酬의 特徵 = 522

   Ⅲ. 報酬表의 作成 = 523

    1. 報酬表의 數 = 523

    2. 等級의 數 = 523

    3. 等級의 幅(號俸制) = 524

    4. 報酬曲線 = 525

    5. 手當 = 526

   Ⅳ. 薄俸과 行政發展 = 526

   Ⅴ. 年金 = 528

    1. 意義 = 528

    2. 內容 = 529

  제3절 人間關係(社會心理的 要因) = 530

   Ⅰ. 個人의 價値認定과 칭찬 = 531

   Ⅱ. 成功感 = 531

   Ⅲ. 安定感 = 532

   Ⅳ. 參與意識 = 532

   Ⅴ. 歸屬感 = 533

  제4절 士氣의 測定 = 534

   Ⅰ. 生産高 = 535

   Ⅱ. 輿論調査 = 535

   Ⅲ. 出退勤狀況 = 535

   Ⅳ. 離職率 = 536

  제5절 昻揚制度 = 536

   Ⅰ. 提案·表彰制度 = 537

    1. 意義 = 537

    2. 手績·節次 = 538

   Ⅱ. 苦衷處理 = 539

    1. 意義 = 539

    2. 解決·方法 = 540

   Ⅲ. 公務員團體 = 540

    1. 意義 = 540

    2. 適用範圍 = 542

    3. 活動의 內容 = 543

 제2장 能力發展 = 545

  제1절 敎育訓練 = 545

   Ⅰ. 意義 = 545

    1. 槪念 = 545

    2. 目的 및 需要 = 546

    3. 種類 = 547

   Ⅱ. 訓練業務의 編成 = 549

    1. 訓練에 대한 抵抗克服 = 549

    2. 訓練의 擔當機關 = 550

    3. 訓練官의 確保 = 551

    4. 敎科編成 = 552

   Ⅲ. 訓練方法 = 552

    1. 討論方法 = 553

    2. 事例硏究 = 554

    3. 演技方法 = 555

    4. 感受性訓練 = 555

    5. 現場訓練(見習) = 556

    6. 轉補·循環補職 = 556

   Ⅳ. 事後評價 = 557

  제2절 勤務成績評定 = 559

   Ⅰ. 意義 및 用途 = 559

    1. 意義 = 559

    2. 用途 = 559

    3. 批判 = 560

   Ⅱ. 評定方法 = 562

    1. 圖表式 = 562

    2. 强制配分式 = 562

    3. 同僚評定, 自己評定式 = 563

    4. 目標管理式 = 563

   Ⅲ. 運營上의 注意點 = 564

    1. 作成上의 注意點 = 564

    2. 利用上의 注意點 = 565

  제3절 昇進 및 轉職 = 568

   Ⅰ. 昇給 = 568

    1. 意義 = 568

    2. 基準 = 568

    3. 昇給期間 = 569

    4. 昇給額 = 570

   Ⅱ. 昇進 = 571

    1. 意義 = 571

    2. 範圍 = 571

    3. 基準 및 方法 = 573

   Ⅲ. 轉職·轉補 = 575

    1. 意義 = 575

    2. 利用 = 575

 제3장 意思傳達 = 579

  제1절 意思傳達(組織內) = 580

   Ⅰ. 意義 = 580

   Ⅱ. 過程과 原則 = 581

    1. 過程 = 581

    2. 原則 = 582

   Ⅲ. 類型 = 582

    1. 公式的 意思傳達과 自生的 意思傳達 = 582

    2. 上意下達과 下意上達 = 584

    3. 橫的 意思傳達 = 586

   Ⅳ. 效率化 方案 = 587

    1. 沮害要因 = 587

    2. 向上方案 = 588

  제2절 對民關係 : 公共關係 = 589

   Ⅰ. 意義 = 589

   Ⅱ. 過程 = 590

   Ⅲ. 效率化 方案 = 591

    1. 沮害要因 = 591

    2. 改善方案 = 592

 제4장 指導性 = 593

  제1절 指導性 = 593

   Ⅰ. 意義 = 593

    1. 槪念 = 593

    2. 重要性 = 594

   Ⅱ. 理論의 變遷 = 595

    1. 資質論과 行態論 = 596

    2. 狀況論 = 597

   Ⅲ. 機能 = 599

   Ⅳ. 類型 = 600

    1. 權威·民主·自由放任型 = 600

    2. 修正論 = 601

  제2절 最高 및 中間管理 = 602

   Ⅰ. 意義 = 602

   Ⅱ. 最高管理 = 603

    1. 機能 = 603

    2. 資質 = 604

   Ⅲ. 中間管理 = 605

    1. 機能 = 605

    2. 資質 = 606

  제3절 行政과 社會變化(行政指導) = 607

   Ⅰ. 行政의 社會變化機能 = 608

   Ⅱ. 社會變化觀 = 613

   Ⅲ. 變化戰略 = 619

    1. 傳達內容 = 620

    2. 傳達方法 = 622

    3. 傳達時期 = 622

    4. 戰略의 選擇基準 = 623

제5편 統制(評價와 是正措置)

 제1장 行政統制와 責任 = 627

  제1절 意義 = 627

   Ⅰ. 統制의 意義 = 627

   Ⅱ. 統制의 重要性 = 628

   Ⅲ. 評價의 基準 - 責任性 = 630

   Ⅳ. 基準과 比較 = 631

  제2절 統制方法 = 634

   Ⅰ. 意義 = 634

   Ⅱ. 司法統制 = 634

   Ⅲ. 民衆統制 = 635

    1. 選擧 = 636

    2. 利益團體 = 636

    3. 輿論·매스컴 = 637

    4. 知識人 = 638

    5. 市民參與 = 638

   Ⅳ. 立法統制 = 640

   Ⅴ. 國民苦衷處理委員會(옴부즈만) = 642

   Ⅵ. 內部統制 = 643

  제3절 忠誠 = 646

   Ⅰ. 意義 = 646

    1. 槪念 = 646

    2. 忠誠과 人權 = 647

   Ⅱ. 調査 = 650

    1. 對象人員 = 650

    2. 擔當機關 = 650

  제4절 政治的 中立 = 651

   Ⅰ. 意義 = 651

   Ⅱ. 內容 = 653

    1. 制限內容 = 653

    2. 問題點 = 654

  제5절 決算 및 會計檢査 = 658

   Ⅰ. 決算 = 658

    1. 意義 = 658

    2. 過程 = 659

   Ⅱ. 會計檢査 = 660

    1. 意義 = 660

    2. 擔當機關 = 662

    3. 檢査의 方法 = 663

 제2장 行政改革 = 665

  제1절 意義 = 665

   Ⅰ. 槪念 = 665

    1. 成長과 發展 = 666

    2. 發展行政 = 667

    3. 組織發展 = 669

    4. 機關形成 = 670

    5. 刷新, 改革과 再發明 = 671

   Ⅱ. 動因 = 672

    1. 政治理念 = 672

    2. 權力鬪爭 = 672

    3. 官僚的 利益 = 673

    4. 機能의 擴大·變化 = 673

    5. 能率化와 民主化 = 673

   Ⅲ. 事例比較 = 675

  제2절 改革觀의 變遷 = 678

   Ⅰ. 諸學說 = 678

   Ⅱ. 合理的·官僚制的 方法(傳統的 方法) = 679

   Ⅲ. 參與·人間關係的 方法(새 方法) = 681

   Ⅳ. 體制的·綜合的 方法(統合的 方法) = 682

  제3절 改革過程 = 684

   Ⅰ. 改革擔當者 = 684

   Ⅱ. 改革性向 = 686

   Ⅲ. 抵抗의 弱化 = 688

    1. 原因 = 688

    2. 弱化方案 = 689

   Ⅳ. 評價 = 690

제6편 韓國의 行政과 行政學

 제1장 韓國의 行政과 行政學 = 695

  제1절 韓國의 行政 = 695

  제2절 韓國의 行政學 = 697

參考文獻 = 701

事項索引 = 7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