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관료제의 이해 제2판

한국관료제의 이해 제2판 (7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천오 박경효
서명 / 저자사항
한국관료제의 이해 / 박천오 ; 박경효 공저.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法文社 ,   2001.  
형태사항
xiii, 622 p. ; 25cm.
총서사항
행정학총서
ISBN
891802178X
서지주기
참고문헌(p.559-618)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한국 , 관료제,,
000 00760camccc200277 k 4500
001 000000732358
005 20100807053422
007 ta
008 960914s2001 ulk 001d kor
020 ▼a 891802178X ▼g 93350 : ▼c \25000
035 ▼a KRIC07937619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9 1 ▼l 111193084 ▼f 개가 ▼l 111193085 ▼f 개가 ▼l 111193086 ▼f 개가
082 0 4 ▼a 351.53
090 ▼a 351.53 ▼b 2001i
100 1 ▼a 박천오 ▼0 AUTH(211009)52609
245 1 0 ▼a 한국관료제의 이해 / ▼d 박천오 ; ▼e 박경효 공저.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2001.
300 ▼a xiii, 622 p. ; ▼c 25cm.
490 1 0 ▼a 행정학총서
504 ▼a 참고문헌(p.559-618)과 색인수록
653 ▼a 한국 ▼a 관료제
700 1 ▼a 박경효 ▼0 AUTH(211009)107751
830 0 ▼a 행정학총서(법문사)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11193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111930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511182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11193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111930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53 2001i 등록번호 1511182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천오(지은이)

건국대학교 법학사, 법학석사 미국 오하이오대학 정치학석사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정치학박사 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사회복지대학원장, 대학원장 역임 현재 명지대학교 명예교수

박경효(지은이)

<한국관료제의 이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총설 = 1

제1편 한국관료의 가치관과 행태

 제1장 한국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 13

  1.1 서론 = 13

  1.2 사회문화와 인간행태 = 14

  1.3 한국사회구조의 변동과 전통문화의 변화 = 16

  1.4 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 K-S이론 = 19

  1.5 한국사회문화와 행정행태의 변화에 관한 실증적 조사 = 27

  1.6 결론 = 38

 제2장 한국행정문화 연구의 방향과 과제 = 39

  2.1 문제의 제기 = 39

  2.2 행정문화의 테두리와 고유성 = 40

  2.3 한국행정문화의 실상 : 전통적 행정문화의 변화 = 44

  2.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 46

  2.5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50

  2.6 상향적 접근방법의 제안 = 53

  2.7 결론 = 56

 제3장 한국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태도 차이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58

  3.1 서론 = 58

  3.2 선행연구의 검토 = 60

  3.3 실증적 조사의 설계와 방법 = 63

  3.4 조사결과의 분석 = 67

  3.5 결론 = 76

 제4장 다원주의적 민주주의에 대한 한국관료의 태도 = 78

  4.1 서론 = 78

  4.2 조사의 이론적 배경과 틀 = 79

  4.3 실증적 조사와 분석 = 84

  4.4 결론 = 92

제2편 한국행정엘리트의 임용과 관리

 제5장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정책·행정상 폐단의 시정방안 = 99

  5.1 서론 = 99

  5.2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실태와 형성원인 = 100

  5.3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근본적 배경 = 107

  5.4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정책·행정상 폐단 = 114

  5.5 시정방향 = 118

  5.6 결론 = 124

 제6장 김영삼 정부의 장·차관 충원정책 평가 = 125

  6.1 문제의 제기 = 125

  6.2 이론적 검토 및 연구분석 틀 = 126

  6.3 인선내용에 대한 분석 및 논의 = 132

  6.4 김대중 정부와의 비교 = 145

  6.5 결론 = 150

 제7장 한국에 있어서의 정치적 피임명자와 고위 직업관료의 정책성향과 상호관계 = 151

  7.1 서론 = 151

  7.2 한국정부관료제의 특성과 연구 필요성 = 152

  7.3 조사의 이론적 기초 = 154

  7.4 조사의 범위와 방법 = 160

  7.5 분석 및 논의 = 161

  7.6 결론 = 170

 제8장 한국관료제의 지역대표성 = 172

  8.1 연구목적 및 의의 = 172

  8.2 대표관료제의 이론과 실제 = 173

  8.3 대표관료제론과 한국의 지역문제 = 178

  8.4 한국정책관료의 지역대표성 = 182

  8.5 결론 = 191

제3편 한국관료제와 정책집행

 제9장 정책집행모형에 관한 비교분석 : 그 이론적·실제적 함의 = 195

  9.1 연구목적 및 의의 = 195

  9.2 정책집행모형에 관한 비교분석 = 196

  9.3 정책이론에 대한 함의 = 204

  9.4 한국의 정책집행에 대한 함의 = 208

  9.5 요약 및 제언 = 212

 제10장 집행환경의 변화와 한국정부관료제의 개혁 : 전망과 과제 = 213

  10.1 문제의 제기 = 213

  10.2 종래의 집행환경과 집행과정 = 215

  10.3 집행환경 및 집행과정의 변화 = 220

  10.4 정부관료제의 개혁방향 = 224

  10.5 결론 = 228

 제11장 다조직적 구조하에서의 핵심적 집행문제 : 국가GIS정책의 사례 = 230

  11.1 연구의 목적 = 230

  11.2 관련문헌의 검토 = 231

  11.3 정책의 개요 및 분석 틀 = 234

  11.4 국가GIS정책의 핵심적 집행문제 = 238

  11.5 요약 및 시사점 = 249

 제12장 서울시 생활보호사업의 집행과정 평가 = 253

  12.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253

  12.2 생활보호사업의 개요 및 분석 틀 = 255

  12.3 생활보호사업의 집행요인 분석 = 259

  12.4 서울시 생활보호사업의 발전방안 = 269

  12.5 요약 및 결론 = 278

제4편 한국관료제의 권력과 책임

 제13장 정부관료제의 권력원과 책임확보방안 = 283

  13.1 권력과 책임 = 283

  13.2 정부관료제의 권력원 = 284

  13.3 관료제의 책임성 : 이론적 고찰 = 293

  13.4 결론 : 한국관료제의 책임성 확보방향 = 305

 제14장 행정기관의 정치권력기반 비교 : 한국환경처와 미국환경보호처를 중심으로 = 308

  14.1 서론 = 308

  14.2 이론적 배경 = 309

  14.3 정치적 지지기반의 실태 = 310

  14.4 독자적 관할영역의 실태 = 323

  14.5 경험적 조사의 결과분석 = 326

  14.5 결론 = 333

 제15장 한국행정부처간의 정치권력분포 실태와 변화가능성 : 국가관료의 인식조사 = 334

  15.1 서론 = 334

  15.2 행정부처의 정치권력과 그 기초 = 336

  15.3 한국 행정부처간의 정치권력 분포 = 339

  15.4 실증적 조사 및 결과분석 = 342

  15.5 결론 : 정책적 시사 = 352

 제16장 한국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354

  16.1 서론 = 354

  16.2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수준 = 356

  16.3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행사방식 및 행사단계 = 363

  16.4 한국이익집단의 정부관료제에 대한 영향력과 활동패턴에 관한 실증적 조사 = 367

  16.5 결론 = 380

제5편 지방관료제와 행정서비스

 제17장 도시공공서비스의 민영화 : 이론과 실제 = 385

  17.1 정부실패와 민영화 = 385

  17.2 민영화의 개념 및 유형 = 386

  17.3 계약의 이론과 실제 : 비판적 고찰 = 388

  17.4 계약의 집행구조와 과정 : 분석 틀의 형성 = 392

  17.5 사례연구 : 서울시 쓰레기수거업무 = 400

  17.6 결론 = 407

 제18장 도시공공서비스의 공동생산 :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 408

  18.1 공동생산의 대두배경 = 408

  18.2 공동생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410

  18.3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검토 = 419

  18.4 요약 및 연구방향의 제시 = 425

 제19장 민원행정에서의 레드테이프 결정요인 = 426

  19.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26

  19.2 기존 문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427

  19.3 레드테이프의 결정요인 : 분석 틀 = 431

  19.4 조사설계 및 분석 = 435

  19.5 결론 및 시사점 = 441

제6편 정부개혁과 관료제

 제20장 공무원의 삶의 질 : 의의, 실태 및 개선방향 = 447

  20.1 연구목적 및 배경 = 447

  20.2 공무원의 삶의 질 : 개념 및 의의 = 448

  20.3 공무원의 삶의 질 : 실태분석 = 453

  20.4 삶의 질 제고방향에 관한 논의 = 461

  20.5 결론 = 469

 제21장 정부조직개편의 목적과 실현가능성 = 471

  21.1 문제의 제기 = 471

  21.2 논의의 틀 = 472

  21.3 정부조직개편 목적의 성격과 실현가능성 = 474

  21.4 결론 : 현실적 시사 = 486

 제22장 고객지향적 행정 : 실천상의 의문점과 한국관료의 시각 = 488

  22.1 문제의 제기 = 488

  22.2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몇 가지 의문점 = 489

  22.3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한국관료의 시각 = 502

  22.4 결론 = 510

 제23장 정부 인력관리의 효율화 방향 : 직업공무원제의 개혁을 중심으로 = 511

  23.1 서론 = 511

  23.2 직업공무원제의 이론적 고찰 = 512

  23.3 한국직업공무원제의 문제점 = 517

  23.4 한국직업공무원제의 개혁 = 521

  23.5 결론 = 530

 제24장 한국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불신 원인과 처방 = 532

  24.1 서론 = 532

  24.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신뢰와 불신 = 534

  24.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원인 = 536

  24.4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객관성 여부 = 546

  24.5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해소의 기본 방안과 한계 = 551

  24.6 결론 = 556

참고문헌 = 559

색인 = 61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