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설 = 1
제1편 한국관료의 가치관과 행태
제1장 한국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 13
1.1 서론 = 13
1.2 사회문화와 인간행태 = 14
1.3 한국사회구조의 변동과 전통문화의 변화 = 16
1.4 사회문화의 변화와 행정행태 : K-S이론 = 19
1.5 한국사회문화와 행정행태의 변화에 관한 실증적 조사 = 27
1.6 결론 = 38
제2장 한국행정문화 연구의 방향과 과제 = 39
2.1 문제의 제기 = 39
2.2 행정문화의 테두리와 고유성 = 40
2.3 한국행정문화의 실상 : 전통적 행정문화의 변화 = 44
2.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 46
2.5 행정문화의 전환방안 = 50
2.6 상향적 접근방법의 제안 = 53
2.7 결론 = 56
제3장 한국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태도 차이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58
3.1 서론 = 58
3.2 선행연구의 검토 = 60
3.3 실증적 조사의 설계와 방법 = 63
3.4 조사결과의 분석 = 67
3.5 결론 = 76
제4장 다원주의적 민주주의에 대한 한국관료의 태도 = 78
4.1 서론 = 78
4.2 조사의 이론적 배경과 틀 = 79
4.3 실증적 조사와 분석 = 84
4.4 결론 = 92
제2편 한국행정엘리트의 임용과 관리
제5장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정책·행정상 폐단의 시정방안 = 99
5.1 서론 = 99
5.2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실태와 형성원인 = 100
5.3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근본적 배경 = 107
5.4 기존 장관임면관행의 정책·행정상 폐단 = 114
5.5 시정방향 = 118
5.6 결론 = 124
제6장 김영삼 정부의 장·차관 충원정책 평가 = 125
6.1 문제의 제기 = 125
6.2 이론적 검토 및 연구분석 틀 = 126
6.3 인선내용에 대한 분석 및 논의 = 132
6.4 김대중 정부와의 비교 = 145
6.5 결론 = 150
제7장 한국에 있어서의 정치적 피임명자와 고위 직업관료의 정책성향과 상호관계 = 151
7.1 서론 = 151
7.2 한국정부관료제의 특성과 연구 필요성 = 152
7.3 조사의 이론적 기초 = 154
7.4 조사의 범위와 방법 = 160
7.5 분석 및 논의 = 161
7.6 결론 = 170
제8장 한국관료제의 지역대표성 = 172
8.1 연구목적 및 의의 = 172
8.2 대표관료제의 이론과 실제 = 173
8.3 대표관료제론과 한국의 지역문제 = 178
8.4 한국정책관료의 지역대표성 = 182
8.5 결론 = 191
제3편 한국관료제와 정책집행
제9장 정책집행모형에 관한 비교분석 : 그 이론적·실제적 함의 = 195
9.1 연구목적 및 의의 = 195
9.2 정책집행모형에 관한 비교분석 = 196
9.3 정책이론에 대한 함의 = 204
9.4 한국의 정책집행에 대한 함의 = 208
9.5 요약 및 제언 = 212
제10장 집행환경의 변화와 한국정부관료제의 개혁 : 전망과 과제 = 213
10.1 문제의 제기 = 213
10.2 종래의 집행환경과 집행과정 = 215
10.3 집행환경 및 집행과정의 변화 = 220
10.4 정부관료제의 개혁방향 = 224
10.5 결론 = 228
제11장 다조직적 구조하에서의 핵심적 집행문제 : 국가GIS정책의 사례 = 230
11.1 연구의 목적 = 230
11.2 관련문헌의 검토 = 231
11.3 정책의 개요 및 분석 틀 = 234
11.4 국가GIS정책의 핵심적 집행문제 = 238
11.5 요약 및 시사점 = 249
제12장 서울시 생활보호사업의 집행과정 평가 = 253
12.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253
12.2 생활보호사업의 개요 및 분석 틀 = 255
12.3 생활보호사업의 집행요인 분석 = 259
12.4 서울시 생활보호사업의 발전방안 = 269
12.5 요약 및 결론 = 278
제4편 한국관료제의 권력과 책임
제13장 정부관료제의 권력원과 책임확보방안 = 283
13.1 권력과 책임 = 283
13.2 정부관료제의 권력원 = 284
13.3 관료제의 책임성 : 이론적 고찰 = 293
13.4 결론 : 한국관료제의 책임성 확보방향 = 305
제14장 행정기관의 정치권력기반 비교 : 한국환경처와 미국환경보호처를 중심으로 = 308
14.1 서론 = 308
14.2 이론적 배경 = 309
14.3 정치적 지지기반의 실태 = 310
14.4 독자적 관할영역의 실태 = 323
14.5 경험적 조사의 결과분석 = 326
14.5 결론 = 333
제15장 한국행정부처간의 정치권력분포 실태와 변화가능성 : 국가관료의 인식조사 = 334
15.1 서론 = 334
15.2 행정부처의 정치권력과 그 기초 = 336
15.3 한국 행정부처간의 정치권력 분포 = 339
15.4 실증적 조사 및 결과분석 = 342
15.5 결론 : 정책적 시사 = 352
제16장 한국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과 활동패턴 : 정부관료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354
16.1 서론 = 354
16.2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수준 = 356
16.3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 행사방식 및 행사단계 = 363
16.4 한국이익집단의 정부관료제에 대한 영향력과 활동패턴에 관한 실증적 조사 = 367
16.5 결론 = 380
제5편 지방관료제와 행정서비스
제17장 도시공공서비스의 민영화 : 이론과 실제 = 385
17.1 정부실패와 민영화 = 385
17.2 민영화의 개념 및 유형 = 386
17.3 계약의 이론과 실제 : 비판적 고찰 = 388
17.4 계약의 집행구조와 과정 : 분석 틀의 형성 = 392
17.5 사례연구 : 서울시 쓰레기수거업무 = 400
17.6 결론 = 407
제18장 도시공공서비스의 공동생산 :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 408
18.1 공동생산의 대두배경 = 408
18.2 공동생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410
18.3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검토 = 419
18.4 요약 및 연구방향의 제시 = 425
제19장 민원행정에서의 레드테이프 결정요인 = 426
19.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26
19.2 기존 문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427
19.3 레드테이프의 결정요인 : 분석 틀 = 431
19.4 조사설계 및 분석 = 435
19.5 결론 및 시사점 = 441
제6편 정부개혁과 관료제
제20장 공무원의 삶의 질 : 의의, 실태 및 개선방향 = 447
20.1 연구목적 및 배경 = 447
20.2 공무원의 삶의 질 : 개념 및 의의 = 448
20.3 공무원의 삶의 질 : 실태분석 = 453
20.4 삶의 질 제고방향에 관한 논의 = 461
20.5 결론 = 469
제21장 정부조직개편의 목적과 실현가능성 = 471
21.1 문제의 제기 = 471
21.2 논의의 틀 = 472
21.3 정부조직개편 목적의 성격과 실현가능성 = 474
21.4 결론 : 현실적 시사 = 486
제22장 고객지향적 행정 : 실천상의 의문점과 한국관료의 시각 = 488
22.1 문제의 제기 = 488
22.2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몇 가지 의문점 = 489
22.3 고객지향적 행정에 관한 한국관료의 시각 = 502
22.4 결론 = 510
제23장 정부 인력관리의 효율화 방향 : 직업공무원제의 개혁을 중심으로 = 511
23.1 서론 = 511
23.2 직업공무원제의 이론적 고찰 = 512
23.3 한국직업공무원제의 문제점 = 517
23.4 한국직업공무원제의 개혁 = 521
23.5 결론 = 530
제24장 한국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의 불신 원인과 처방 = 532
24.1 서론 = 532
24.2 정부관료제에 대한 신뢰와 불신 = 534
24.3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원인 = 536
24.4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의 객관성 여부 = 546
24.5 정부관료제에 대한 불신 해소의 기본 방안과 한계 = 551
24.6 결론 = 556
참고문헌 = 559
색인 =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