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론 제5판

거시경제론 제5판 (16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운찬 鄭雲燦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론 / 정운찬 著.
판사항
제5판
발행사항
서울 :   율곡출판사 ,   2001   (2003 5쇄).  
형태사항
xxi, 549p. : 삽도 ; 24 cm.
ISBN
8985177702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acroeconomics.
비통제주제어
거시경제,,
000 00708p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32065
005 20100807053155
007 ta
008 940622s2001 ulka 001a kor
020 ▼a 8985177702 ▼g 93320 : ▼c \24000
035 ▼a KRIC07942045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49 1 ▼l 111193244 ▼f 개가 ▼l 121079434 ▼f 과학 ▼l 121079435 ▼f 과학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1c
100 1 ▼a 정운찬 ▼g 鄭雲燦 ▼0 AUTH(211009)126586
245 1 0 ▼a 거시경제론 / ▼d 정운찬 著.
250 ▼a 제5판
260 ▼a 서울 : ▼b 율곡출판사 , ▼c 2001 ▼g (2003 5쇄).
300 ▼a xxi, 549p. : ▼b 삽도 ; ▼c 24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Macroeconomics.
653 ▼a 거시경제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111932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21079435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511468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111932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21079435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1c 등록번호 1511468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운찬(지은이)

충남 공주에서 태어나 경기고와 서울대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한국은행에서 잠깐 근무하다 미국으로 건너가 마이애미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린스턴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대학에서 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하다가, 1978년 말 귀국해 서울대 강단에 섰다. 서울대 경제학부장과 사회과학대학장을 거쳐, 서울대 제23대 총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제40대 국무총리로 봉사했고, 동반성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맡아 ‘동반성장’이라는 화두를 한국 사회에 알리는 데 힘썼다. 지금은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을 맡아 ‘동반성장 전도사’로 활동 중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 커미셔너로도 일했다. 주요 저서로는《도전받는 한국경제》,《금융개혁론》,《경제학원론》,《통계학》,《중앙은행론》,《거시경제론》,《한국경제 죽어야 산다》,《예금보험론》,《한국경제 아직 늦지 않았다》,《화폐와 금융시장》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 거시경제학의 특징 = 5

  2. 실업과 인플레이션 = 8

   2.1 실업과 인플레이션은 왜 문제가 되는가? = 9

   2.2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통한 실업과 인플레이션 분석 = 12

   2.3 필립스곡선 = 14

  3.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 17

   3.1 거시경제학의 중기 과제 : 경기변동 = 19

   3.2 거시경제학의 장기 과제 : 경제성 = 20

  4.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 = 22

  5. 이 책의 구성 = 25

  연습문제 = 27

 제2장 거시경제의 기본모형

  1. 국민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 = 31

   1.1 단순한 소득순환모형 = 31

   1.2 정부부문의 도입 = 34

   1.3 국민총생산과 국민소득 = 36

  2. 소득순환의 균형 = 39

   2.1 세이의 법칙 = 40

   2.2 케인즈 법칙 = 41

   2.3 재고의 변동과 국민소득의 균형 = 42

  3.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 44

   3.1 몇 가지 가정 = 44

   3.2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과정 = 47

   3.3 디플레이션갭과 인플레이션갭 = 51

  4.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 52

   4.1 단순한 소득순환모형에서의 승수효과 = 53

   4.2 정부부문이 도입된 경우의 승수효과 = 54

   4.3 승수모형의 한계 = 57

   보론 : 우리나라의 국민소득 = 59

   연습문제 = 61

제2편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제3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1. 생산물시장의 균형 : IS곡선 = 67

   1.1 투자함수 = 67

   1.2 IS곡선의 도출 = 68

   1.3 IS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70

  2. 화폐시장의 균형 : LM곡선 = 73

   2.1 화폐에 대한 수요함수 = 74

   2.2 LM곡선의 도출 = 77

   2.3 LM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 79

  3. 수요측면의 균형 = 82

   3.1 수요측면의 균형과 총수요곡선 = 82

   3.2 총수요곡선의 이동과 승수효과 = 84

   3.3 재정정책과 화폐금융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87

  4. IS-LM 모형의 한계 = 90

   보론 : 왈라스 법칙과 세이의 법칙 = 92

   연습문제 = 93

 제4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

  1. 노동시장의 균형 = 96

   1.1 노동에 대한 수요 = 97

   1.2 노동의 공급 = 98

   1.3 노동시장의 균형 = 100

  2. 고전학파와 수직의 총공급곡선 = 101

  3. 케인즈학파와 우상향하는 총공급곡선 = 104

   3.1 명목임금 경직성모형 = 105

   3.2 노동시장의 불완전정보 : 화폐환상모형 = 107

   3.3 총공급곡선의 이동 = 110

  4. 총공급이론의 발전 = 112

   4.1 기대가 반영된 총공급곡선 = 113

   4.2 가격 경직성 가정에 근거한 총공급곡선 = 117

  5. 총공급곡선의 의의 = 119

  연습문제 = 121

 제5장 총수요·총공급의 균형과 거시경제정책

  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과 총수요·총공급의 변동 = 125

   1.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125

   1.2 총수요관리정책과 총공급관리정책 = 126

  2. 케인즈학파와 고전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 128

   2.1 재정정책 = 129

   2.2 화폐금융정책 = 131

   2.3 케인즈학파와 고전학파의 비교 = 133

  3.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 138

   3.1 루카스 공급곡선과 정책무력성 명제 = 139

   3.2 새케인즈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 142

  4. 총공급관리정책 = 144

   4.1 생산성 향상과 거시균형의 변화 = 144

   4.2 소득정책 = 146

  5. 거시경제정책의 여러 측면 = 148

   5.1 재정정책과 화폐금융정책의 발생경로 = 148

   5.2 경제정책의 목표와 수단 = 149

   5.3 정책결합 = 151

   연습문제 = 152

 제6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 157

   1.1 인플레이션의 측정 방법 = 157

   1.2 인플레이션의 원인 = 161

  2. 인플레이션의 동태적 진행과정 = 166

   2.1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수요곡선 = 167

   2.2 기대인플레이션율과 총공급곡선 = 169

   2.3 인플레이션의 동태적 진행과정 = 172

  3.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 필립스곡선 = 175

   3.1 고전적 필립스곡선 = 175

   3.2 프리드만과 펠프스의 기대가 부가된 필립스곡선 = 180

   3.3 합리적 기대가설에 의한 필립스곡선의 재해석 = 185

  4. 실업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새로운 인식 = 194

   4.1 기억효과 = 195

   4.2 인플레이션과 실업 = 198

   보론 : 우리나라의 필립스곡선 = 199

   연습문제 = 200

 제7장 개방경제에서의 거시균형

  1. 국제수지와 환율 = 205

   1.1 국제수지 = 205

   1.2 환율 = 207

   1.3 여러 가지 환율제도 = 208

  2. 환율결정이론 = 212

   2.1 구매력평가설 = 213

   2.2 이자율평가설 = 216

   2.3 오버슈팅이론 = 218

  3. 고정환율제도에서의 거시균형과 경제정책 = 223

   3.1 개방경제의 IS-LM모형과 대내균형 = 223

   3.2 고정환율제도에서의 국제수지와 거시균형 = 229

   3.3 고정환율제도에서의 거시경제정책효과 = 237

  4. 변동환율제도에서의 거시균형과 경제정책 = 243

   4.1 변동환율제도에서의 국제수지와 거시균형 = 243

   4.2 변동환율제도에서의 거시경제정책효과 = 247

   보론 : 우리나라의 국제수지와 외환지표 = 249

   연습문제 = 252

제3편 거시경제의 부문별 균형

 제8장 소비이론

  1. 케인즈의 소비함수 : 절대소득가설 = 259

  2. 소비이론의 발전 = 261

  3. 상대소득가설 = 263

  4. 항상소득가설과 라이프사이클가설 = 265

   4.1 시점간 소비자선택모형 = 265

   4.2 프리드만의 항상소득가설 = 272

   4.3 라이프사이클가설 = 275

  5. 자산효과의 경제적 의미 = 280

   5.1 자산효과와 총수요관리정책 = 280

   5.2 자산효과의 문제점 = 283

  6. 불확실성과 소비함수 = 284

   6.1 랜덤워크가설의 기본 개념 = 285

   6.2 유동성제약과 랜덤워크가설 = 286

  7. 재정정책과 소비 = 287

  보론 : 우리나라의 소비함수 = 292

  연습문제 = 294

 제9장 투자이론

  1. 투자결정과 이자율 = 299

   1.1 기업가의 효용과 투자 = 299

   1.2 현재가치법과 투자의 한계효율법 = 303

   1.3 이자율과 투자 = 307

  2. 투자결정과 생산 = 310

   2.1 가속도원리 = 311

   2.2 가속도원리와 거시경제모형 = 312

   2.3 가속도원리에 대한 비판 = 314

  3. 토빈의 q이론 = 315

  4. 투자와 불확실성 = 319

   4.1 투자옵션모형 = 321

   4.2 재고투자모형 = 326

   보론 : 우리나라의 투자구성 = 329

   연습문제 = 331

 제10장 화폐에 대한 수요

  1. 시장경제와 화폐 = 335

   1.1 물물교환경제와 화폐경제 = 335

   1.2 화폐의 정의 = 337

  2. 고전적 화폐수량설 = 339

   2.1 거래수량설 = 339

   2.2 현금잔고수량설 = 340

  3.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 = 342

   3.1 거래적 화폐수요와 예비적 화폐수요 = 343

   3.2 투자적 화폐수요 = 343

  4. 케인즈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46

   4.1 거래적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47

   4.2 투자적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351

  5. 통화주의의 화폐수요이론 = 360

   5.1 신화폐수량설 = 361

   5.2 화폐수요함수의 안정성 = 363

   보론 : 우리나라의 화폐수요 = 366

   연습문제 = 369

 제11장 화폐의 공급과 화폐금융정책

  1. 금융제도와 화폐공급과정 = 372

   1.1 은행제도의 역할 = 373

   1.2 중앙은행과 비은행민간 = 374

   1.3 화폐공급함수 = 376

  2. 통화공급의 외생성과 내생성 = 378

   2.1 중앙은행과 본원통화공급의 내생성 = 378

   2.2 통화승수의 내생성 = 381

   2.3 통화공급의 내생성과 거시경제정책 = 382

  3. 화폐금융정책의 운용 = 384

   3.1 화폐금융정책의 체계 = 385

   3.2 중간목표전략 = 386

   3.3 인플레이션 목표관리제도 = 391

  4. 화폐금융정책의 전달경로 = 392

   4.1 장·단기이자율의 변동을 통한 경로 = 393

   4.2 보유자산 대체를 통한 직접적 효과 = 395

   4.3 유동성 압박효과를 통한 경로 = 396

   4.4 실질잔고효과를 통한 경로 = 397

   4.5 은행대출을 통한 경로 = 398

  5. 화폐금융정책의 현실적 어려움 = 401

  보론 : 우리나라의 화폐공급 = 404

  연습문제 = 407

 제12장 노동시장 분석

  1. 노동시장의 균형과 실업 = 411

   1.1 자연실업률 = 412

   1.2 실업의 원인과 종류 = 413

  2. 케인즈의 고용이론 = 415

   2.1 고전학파 이론에 대한 비판 = 415

   2.2 Z-D곡선에 의한 분석 = 418

  3. 노동시장의 탐색이론적 접근 = 425

   3.1 노동자의 노동공급측면 = 426

   3.2 기업의 노동수요측면 = 428

  4. 비자발적 실업과 임금 경직성 = 430

   4.1 명목임금 경직성 = 431

   4.2 실질임금 경직성 = 433

   보론 :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 438

   연습문제 = 441

제4편 거시경제의 동태적 측면

 제13장 경기변동론

  1. 경기변동의 개념과 원인 = 447

   1.1 경기변동의 종류와 국면 = 447

   1.2 경기순환의 원인 = 450

  2. 케인즈주의자의 경기변동이론 = 454

  3.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458

   3.1 화폐적 경기변동이론 = 459

   3.2 실물적 경기변동이론 = 465

  4.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470

   4.1 재화가격 경직성 = 472

   4.2 복수균형과 조정실패모형 = 474

   연습문제 = 478

 제14장 경제성장론

  1. 경제성장에 관한 기본지식 = 481

   1.1 경제성장의 요인 = 481

   1.2 단기거시이론과 경제성장론 = 483

  2. 신고전학파 성장이론-솔로모형 = 485

   2.1 솔로모형의 기본가정 = 486

   2.2 솔로모형에서의 균제상태 = 488

   2.3 솔로모형에서 경제성장의 결정요인 = 491

   2.4 솔로모형의 문제점 = 495

  3. 내생적 성장이론 = 498

   3.1 내생적 성장이론의 출현 = 498

   3.2 내생적 성장이론 모형 = 499

   연습문제 = 505

부록 : 거시경제이론의 전개과정

 1. 고전학파 경제학의 전성시대 = 511

 2. 대공황과 케인즈 경제학 : 거시경제학의 탄생 = 513

 3. 신고전파종합과 케인즈 경제학의 부침 = 518

 4. 통화주의 = 520

 5. 합리적 기대혁명과 새고전학파 = 524

 6. 새케인즈학파의 도전 = 528

찾아보기(한글) = 533

찾아보기(영문) = 542

인명색인(인명) = 54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