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추론의 화용론

추론의 화용론 (1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범
서명 / 저자사항
추론의 화용론 / 이성범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1.  
형태사항
469 p. ; 23 cm.
ISBN
897735823X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Semantics
비통제주제어
의미론,,
000 00697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31430
005 20100807052645
007 ta
008 010716s2001 ulk 001a kor
020 ▼a 897735823X ▼g 93740 : ▼c \20000
035 ▼a KRIC08005449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195707 ▼f 개가 ▼l 111195708 ▼f 개가 ▼l 111195709 ▼f 개가 ▼l 131016006 ▼f 의학
082 0 4 ▼a 401.43 ▼2 21
090 ▼a 401.43 ▼b 2001
100 1 ▼a 이성범 ▼0 AUTH(211009)41856
245 1 0 ▼a 추론의 화용론 / ▼d 이성범 [지음].
246 0 4 ▼a 언어와 추론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1.
300 ▼a 46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650 0 ▼a Semantics
653 ▼a 의미론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410180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410180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310160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11195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410180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410180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401.43 2001 등록번호 1310160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성범(지은이)

화용론과 의미론 전공자인 이성범 교수는 서울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언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Yale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인문대학 영미어문전공에 재직 중이며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와 중국 난징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하였다. 사회적 소통의 구조와 원리 및 언어사용의 횡단문화적 분석, 명예훼손과 법언어학, 감정의 언어적 표출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언어학회 상임이사와 감사, 부회장, 담화인지언어학회 편집위원장, East Asian Pragmatics 이사 등의 학회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교육봉사단체인 (사)지식과 희망 나눔에서 활동하고 있다. 대학민국 학술원 저술상 및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도서들을 저술했고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언어와 의미>, >영어로 읽는 세계>, >추론의 화용론>, >영어 지시표현의 이해>, >영어로 생각하는 글로벌 이슈>,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소통의 화용론>, >음식과 언어>, >언어적 무례함에 대한 실험화용적 연구>, >화용론 개관>(역서), >한국, 일본, 싱가포르의 행복 감정 소통에 관한 문화 횡단적 연구>, >명예훼손의 통합적 탐구: 언어, 법, 그리고 문화>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제1장 의사소통과 추론 = 15

 1. 생각하기와 말하기 = 15

  1.1 인간의 의사소통 = 15

  1.2 의사소통에서의 추론 = 21

 2. 추론과 사고 = 26

  2.1 생각한다는 것 = 26

  2.2 추론의 정의와 유형 = 30

  2.3 용어의 문제 = 35

 3. 언어적 추론 = 40

  3.1 언어적 추론의 특성 = 40

  3.2 추론의 삼각형 = 47

 4. 기호로서의 언어와 의사소통 = 51

  4.1 의사소통의 코드 이론 = 51

  4.2 의사소통의 추론 이론 = 54

제2장 논리적 추론 = 61

 1. 언어와 철학 = 62

  1.1 철학자와 시인 = 62

  1.2 논리와 언어 = 65

 2. 귀납적 추론 = 70

  2.1 귀납적 추론의 특성 = 70

  2.2 인과 추론 = 77

  2.3 비예증적 사유 = 82

 3. 연역 추론 = 85

  3.1 연역 추론의 유형 = 85

 4. 명제 논리와 자연 언어 = 96

  4.1 이접 도입 = 99

  4.2 함언 도입 = 104

 5. 논증과 오류 = 106

  5.1 오류의 의미와 종류 = 106

  5.2 형식적 오류 = 111

  5.3 비형식적 오류 = 118

제3장 양화와 추론 = 141

 1. 정언명제의 4유형 = 141

  1.1 논리적 양화사 = 141

  1.2 전통적인 대당사각형 = 148

  1.3 존재 전제와 현대적 대당사각형 = 155

 2. 직접 추론 = 159

  2.1 환질 추론 = 160

  2.2 환위 추론 = 163

  2.3 대우환위 추론 = 168

 3. 일반 양화한정사 = 170

  3.1 기수적 양화한정사와 비례적 양화한정사 = 170

  3.2 양화한정사와 등급 추론 = 179

  3.3 many의 의미 해석 = 194

제4장 맥락의존적 추론 : 함축 = 203

 1. 함축과 대화의 원리 = 204

  1.1 함축 추론의 정의 = 204

  1.2 대화의 원리 = 209

 2. 격률과 대화 함축 = 213

  2.1 함축의 유형 = 213

  2.2 함축의 특성 = 222

 3. 함축의 이원론적 모델 = 228

  3.1 Horn의 Q-원리와 R-원리 = 228

  3.2 등급적 함축 = 232

  3.3 R-추론 = 245

 4. 적합성 이론과 함축 = 248

  4.1 의사소통과 적합성 = 248

  4.2 함축과 외축 = 254

제5장 조응과 추론 = 271

 1. 조응 현상 = 272

  1.1 조응의 유형 = 272

  1.2 조응의 조건 = 274

 2. 명사구 대용어의 의미분석 = 280

  2.1 영어의 명사구 대용어 = 280

  2.2 정보 친숙도와 대명사 선택 = 290

 3. 연상적 조응 현상 = 297

  3.1 공지시적 조응과 연상적 조응 = 297

  3.2 연상적 조응의 제약 = 300

 4. 지시 표현의 분석 = 313

  4.1 지시의 통사적 분석 = 314

  4.2 화용론적 결속이론 = 317

  4.3 도달가능성 이론 = 324

  4.4 알려진 상태의 계층 : 인지적 분석 = 330

 5. 중심화 이론 = 337

  5.1 담화와 주의집중 = 337

  5.2 담화 중심의 형성 = 339

  5.3 담화 중심에 관한 규칙 = 342

  5.4 중심의 변화와 담화의 결속성 = 351

제6장 사유방식과 언어 = 403

 1. 언어와 사고의 관계 = 360

 2. 사고우위설 = 362

  2.1 언어의 발달심리학 = 362

  2.2 소극적 역할론 = 366

  2.3 모듈이론 = 368

  2.4 사고와 언어의 진화 = 375

 3. 언어우위설 = 378

  3.1 적극적 역할론 = 379

  3.2 언어상대성 가설 = 384

 4. 언어와 문화 = 390

  4.1 언어민족학 = 390

  4.2 언어와 사고의 비교언어학 = 399

  4.3 사유의 표현 방식 = 413

  4.4 성과 언어 = 416

  4.5 공용어 논쟁 = 424

 5. 정신어와 생성적 실재론 = 430

  5.1 사고의 언어 = 430

  5.2 생성적 실재론 = 433

참고문헌 = 441

저자색인 = 458

주제색인 = 46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