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70c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00730326 | |
005 | 20100807051550 | |
007 | ta | |
008 | 010831s2001 ulka 000a kor | |
020 | ▼a 8984990515 ▼g 03300 : ▼c \13000 | |
035 | ▼a KRIC08018918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03646 ▼f 개가 ▼l 111203647 ▼f 개가 |
082 | 0 4 | ▼a 302.23014 ▼2 21 |
090 | ▼a 302.23014 ▼b 2001 | |
100 | 1 | ▼a Riffe, Danial |
245 | 1 0 | ▼a 미디어 내용분석 방법론 : ▼b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 ▼d 다니엘 리프 ; ▼e 스텐판 래시, ; ▼e 프레드릭 피코 지음 ; ▼e 배현석 옮김. |
246 | 1 9 | ▼a Analyzing media messages.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1. | |
300 | ▼a 344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 ▼v 202 |
504 | ▼a 참고문헌 : p. 322-344. | |
650 | 0 | ▼a Content analysis (Communication) |
650 | 0 | ▼a Mass media ▼x Research ▼x Methodology. |
650 | 0 | ▼a Mass media ▼x Statistical methods. |
700 | 1 | ▼a Lacy, Stephen |
700 | 1 | ▼a Fico, Frederick G. |
700 | 1 | ▼a 배현석, ▼e 역 ▼0 AUTH(211009)23238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112036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112036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511142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511142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112036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112036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511142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23014 2001 | Accession No. 1511142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대니얼 라이프(지은이)
오하이오 대학교 저널리즘학과 교수.
스티븐 레이시(지은이)
미시건 주립대학교 저널리즘학과 교수.
프레드릭 피코(지은이)
미시건 주립대학교 저널리즘학과 교수.
배현석(옮긴이)
1984년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연세대학교 본 대학원(신문방송학 전공)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원을 거쳐, 1998년 미시건 주립대(Michigan State University)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8년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를 지낸 후, 1999년부터 지금까지 동 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미디어의 효과, 특히 교육적 오락물(Entertainment-Education)과 보건 커뮤니케이션이며,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금까지 10여 편의 S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교육적 오락물 및 미디어 경제학 분야)을 발표했으며, 20여 권의 커뮤니케이션 관련 원서를 번역했다. [주요 논문] Bae, H.-S., Lee, D., & Bae, R. E. (2014).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 plot and characters: A narrative film on hearing-impaired sexual assault victims. Narrative Inquiry, 24(2), 309-327. Bae, H.-S., Brown, W. J., & Kang, S. (2011). Social influence of a religious hero: The late Cardinal Stephen Kim’s impact on cornea donation and volunteerism.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6(1), 62~78. Kang, S., Gearhart, S., & Bae, H.-S. (2010). Coverage of Alzheimer’s disease from 1984 to 2008 in television news and information talk shows in the United States: An analysis of news framing.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 25(8), 687~697. Bae, H.-S. (2008). Entertainment-education and recruitment of cornea donors: The role of emotion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3(1), 20~36. Bae, H.-S., & Kang, S. (2008). The influence of viewing an entertainment-education program on cornea donation intentio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3(1), 87~95. Lee, B., & Bae, H.-S. (2004). The effect of screen quotas on the self-sufficiency ratio in recent domestic film market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3), 163~176. Bae, H.-S., & Lee, B. (2004). Audience involvement and its antecedents in entertainment-education: An analysis of bulletin board messages and drama episodes on divorce in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4(1), 6~21. Bae, H.-S. (2000). Product differentiation in national TV newscasts: A Comparison of the cable all-news networks and the broadcast network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1), 62~77. Bae, H.-S. (1999). Product differentiation in cable programming: The case in cable all-news network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2(4), 265-277. Bae, H.-S., & Baldwin, T. F. (1998). Policy issues for cable startup in smaller countries: The case in South Korea. Telecommunications Policy, 22(4/5), 371-381. [주요 역서] 배현석(역) (2021). <우리는 데이터다 알고리즘이 만들어내는 우리의 디지털 자기>(We Are Data: Algorithms and the Making of Our Digital Selves).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20). <디지털 디퍼런스: 미디어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The Digital Difference: Media Technology and the Theory of Communication Effects).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9). <공유시대: 공유 개념과 공유 행위에 대한 분석>(The age of sharing).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8). <노화와 커뮤니케이션 이해하기: 지식 및 의식 개발하기>(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aging: Developing knowledge and awareness).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8). <초연결사회: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그리고 기술-사회 생활>(Superconnected: The internet, digital media, and techno-social life). 서울: 한울아카데미. 배현석(역) (2017). <퍼블릭 스피치: 대중 앞에서 말하기>(Public speaking: Concepts and skills for a diverse society).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6). <디지털 시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계획수립, 관리, 그리고 대응>(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서울: 한울 아카데미. 배현석(역) (2015). <대인관계와 소통: 일상의 상호작용>(Interpersonal communication: Everyday encounters). 서울: 한경사. 배현석(역) (2015). <미디어 메시지와 공중보건: 내용분석에 대한 의사결정 접근방법>(Media message and public message: A decisions approach to content analysis).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3). <저항과 설득>(Resistance and persuasion).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배현석(역) (2012).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 규제의 원칙과 과정>(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서울: 한국문화사. 배현석·배은결(역) (2011). <미디어 메시지 분석: 양적 내용분석방법>(개정판)(Analyzing media messages: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research, 2nd ed.). 경산: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6 제1장. 도입 = 13 1. 내용분석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 16 2. 내용분석과 제작 상황 = 23 3. 내용 "중심" = 25 4. 기술(記述)은 내용분석의 한 목적 = 27 5. 연구의 응용 : 다른 연구와의 연계 = 29 6. 연구의 응용 : 다른 분야에서의 내용분석 = 32 7. 요약 = 38 제2장. 사회과학의 한 도구로서의 내용분석 = 40 1. 여러 정의 = 41 2. 내용분석 정의 = 43 3. 하나의 연구기법으로서의 내용분석상의 이슈들 = 58 4. 명백한 내용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의 장점 = 61 5. 요약 = 62 제3장. 내용분석의 설계 = 64 1. 내용분석에서의 개념화, 목적 및 연구 설계 = 66 2. 좋은 설계와 나쁜 설계 = 78 3. 연구 설계의 요소 = 81 4. 내용분석을 위한 일반 모델 = 85 5. 요약 = 95 제4장. 측정 = 96 1. 내용의 유형 = 98 2. 단위를 통한 내용의 측정 = 103 3. 단위들과 숫자들의 연계 = 122 4. 측정의 단계 = 138 5. 요약 = 141 제5장. 표집 = 142 1. 표집기간 = 145 2. 표집기법 = 146 3. 매체 분석을 위한 유층 표집 = 168 4. 일반적인 매체 표집 = 175 5. 뉴 미디어 표집 = 176 6. 개인적 커뮤니케이션 표집 = 178 7. 요약 = 179 제6장. 신뢰도 = 181 1. 신뢰도 : 기본적인 일반 개념들 = 182 2. 개념 정의 및 범주 구축 = 184 3. 내용분석 프로토콜 = 190 4. 코더 훈련 = 204 5. 코더 신뢰도 평가 = 210 6. 범주 신뢰도 검증 = 218 7. 요약 = 227 제7장. 타당도 = 229 1. 타당도의 개념화 = 231 2.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 = 239 3. 측정 타당도 검증 = 241 4. 내용분석에서의 외적 타당도와 그 의미 = 244 5. 요약 = 254 제8장. 데이터 분석 = 255 1. 내용의 분석에 대한 소개 = 256 2. 내용분석의 기초 = 258 3. 연구 결과의 기술 및 요약 = 262 4. 관계의 발견 = 275 5. 통계적 가정들 = 298 6. 요약 = 299 제9장. 컴퓨터 사용 = 300 1. 내용 찾기 및 내용 접근을 위한 컴퓨터 사용 = 301 2. 컴퓨터 내용분석 = 306 3. 요약 = 321 참고문헌 =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