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개정판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개정판 (27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고영근 高永根 , 1936-.
서명 / 저자사항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 고영근.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   1997   (2009)  
형태사항
421 p. ; 23 cm.
ISBN
8930304176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000 00637c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28101
005 20100807045225
007 ta
008 970407s1997 ulk b 001c kor
020 ▼a 8930304176 ▼g 93710
035 ▼a KRIC00938385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d 244002
082 0 4 ▼a 495.1902 ▼2 21
085 ▼a 497.702 ▼2 DDCK
090 ▼a 497.702 ▼b 1997a
100 1 ▼a 고영근 ▼g 高永根 , ▼d 1936-.
245 1 0 ▼a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 ▼d 고영근.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집문당 , ▼c 1997 ▼g (2009)
300 ▼a 42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194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4839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1945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4839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9202877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512783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51278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194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4839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1945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114839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9202877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512783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702 1997a 등록번호 151278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고영근(지은이)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개정판을 내면서 = 7

제1편 총론

 제1장 문자, 표기법, 발음 = 15

  1.1 문자 = 15

  1.2 표기법 = 20

  1.3 발음 = 27

   연습문제 = 35

 제2장 문법자료와 그 성격 = 39

  2.1 문법자료 = 39

  2.2 문법자료의 성격 = 46

   연습문제 = 51

 제3장 중세국어의 특징 = 54

  3.1 형태적 특징 = 54

  3.2 통사적 특징 = 57

   연습문제 = 60

 제4장 중세국어 문법연구의 어제와 오늘 = 61

  연습문제 = 65

제2편 형태론

 제5장 중세국어의 단어의 특징과 품사분류 = 69

  5.1 형태소와 단어 = 69

  5.2 중세국어의 품사분류 = 71

   연습문제 = 74

 제6장 체언과 조사 = 77

  6.1 명사 = 77

  6.2 대명사와 수사 = 84

  6.3 복수 표시법 = 93

  6.4 조사 = 96

  6.5 체언의 형태 교체 = 112

   연습문제 = 116

 제7장 활용론 = 120

  7.1 활용어 = 120

  7.2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 129

  7.3 선어말어미 = 141

  7.4 어말어미 = 150

   연습문제 = 156

 제8장 관형사, 부사, 감탄사 = 159

  8.1 관형사 = 159

  8.2 부사 = 161

  8.3 감탄사 = 165

   연습문제 = 166

 제9장 품사의 통용 = 168

  연습문제 = 172

 제10장 단어형성의 원리 = 173

  10.1 단어의 짜임새 = 173

  10.2 파생법 = 177

  10.3 합성법 = 191

  10.4 합성어의 파생 = 197

   연습문제 = 198

제3편 통사론

 제11장 문장의 성분 = 205

  11.1 문장의 성분과 재료 = 205

  11.2 주성분 = 209

   11.2.1 주어 = 209

   11.2.2 서술어 = 213

   11.2.3 목적어 = 216

   11.2.4 보어 = 221

  11.3 부속성분 = 222

   11.3.1 관형어 = 222

   11.3.2 부사어 = 229

  11.4 독립성분 = 236

   연습문제 = 237

 제12장 문법요소의 통사적 기능과 그 의미 = 242

  12.1 사동문과 피동문 = 242

   12.1.1 사동문 = 242

   12.1.2 피동문 = 250

   12.1.3 피동문과 능격문 = 255

    연습문제 = 258

  12.2 시제, 서법, 동작성 = 261

   12.2.1 기본서법과 시제 = 262

   12.2.2 부차서법과 믿음·느낌 = 276

   12.2.3 동작상 = 286

    연습문제 = 292

  12.3 높임법 = 296

   12.3.1 주체높임법 = 296

   12.3.2 객체높임법 = 300

   12.3.3 상대높임법 = 303

   12.3.4 특수어휘에 의한 높임법 = 307

    연습문제 = 310

  12.4 선어말어미 '-오-'의 기능 = 314

   12.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 315

   12.4.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 321

    연습문제 = 327

  12.5 문장종결법 = 330

   연습문제 = 346

  12.6 부정문 = 349

   연습문제 = 354

 제13장 문장과 이야기의 짜임새 = 356

  13.1 겹문장과 이야기 = 356

  13.2 문장 속의 문장 = 357

   연습문제 = 365

  13.3 이어진 문장 = 368

   연습문제 = 377

  13.4 이야기 = 380

   연습문제 = 388

(붙임)

 일러두기 = 395

  1. 사전 및 문법서류 = 395

  2. 문법자료 = 397

(찾아보기)

 1. 문법용어 = 405

 2. 문법형태 = 413



관련분야 신착자료

홍종선 (202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23)
이관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