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서론 = 13
Ⅰ. 연구 문제와 연구의 필요서 = 15
Ⅱ. 연구를 위한 전제 = 18
1. 작은 사회로서의 교실 = 19
2. 교실수업의 교수적 구성 = 21
3. 교사 = 24
4. 학생 = 26
5. 교수학습 = 27
6. 교실 수업의 사회적 환경(social context) = 29
7. 수업의 주제(content structure) = 30
8. 교실분석을 위한 중요 개념 = 34
Ⅲ. 연구 방법 = 37
Ⅳ. 본 서의 내용전개와 절차 = 39
제2장 교실수업연구의 방법론 = 43
Ⅰ. 서언 = 45
1. 앎이란 무엇인가? = 45
2. 일상생활 기술적(Micro-ethnographic) 교실연구 = 48
Ⅱ. 사회현상 연구방법으로서의 실증적 연구와 해석적 연구 = 50
1. 인간 사회의 학문적 연구와 실증주의 = 50
2. 사회현상 연구의 해석학적 입장 = 57
3. 해석학적 연구의 체계화와 흐름 = 59
4. 연구 방법(method)으로서의 "일상생활 기술적 접근" = 69
5.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의 신빙성 : 신뢰도와 타당도? = 75
Ⅲ. 일상생화 기술적 연구의 자료수집과 분석 = 81
1. 자료 수집과 분석의 특성 = 81
2. 자료수집 전략의 개요 = 87
3. 면담 = 91
4. 참여관찰 = 98
5. 자료의 분석 = 105
Ⅳ. 해석적 연구의 글쓰기 = 116
1. 탐구과정으로서의 글쓰기 = 116
2. 글쓰기의 스타일 = 117
3. 논문구성으로서의 글쓰기 = 120
Ⅴ. 본 연구의 방법적 기초 = 122
제3장 교실수업의 조직과 구성 = 125
Ⅰ. 서언 = 127
Ⅱ. 교실수업의 분석과 연구동향 = 132
1. 본 연구의 수업 분석 = 132
2. 선행연구의 개관 = 135
3. 수업 조직의 개념 = 141
Ⅲ. 한국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조직과 구성 = 142
1. 수업 의식의 단계 = 143
2. 수업 확인의 단계 = 145
3. 교수·학습 단계 = 147
4. 교수학습의 마감단계와 수업 종료 단계 = 164
Ⅳ. 경제수업의 이해와 수업연구를 위한 논의 = 165
1. 요약 :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조직과 구성 = 165
2. 한국 교실 수업의 "이해"와 개선을 위한 논의 = 168
3. 결언 = 171
제4장 교실수업의 참여구조 = 175
Ⅰ. 서언 : 고등학교 경제교실의 상호작용유형 이해를 위한 개념 = 177
Ⅱ. 경제수업의 대화이동 양식 = 179
Ⅲ. 경제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 189
1. 관찰된 경제교실의 사회적 참여구조 = 190
2. 경제 주제학습세트의 사회적 참여구조와 그 특성 = 199
Ⅳ. 결론 : 한국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이해와 경제교육 수업연구를 위한 논의 = 208
1. 요약 :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상호작용유형 = 208
2. 한국 고등학교 경제수업의 이해를 위한 논의 = 211
3. 결언 : 경제교육 수업 연구와 수업개선을 위한 시사점 = 213
제5장 교실수업고 교사의 수업활동 = 217
Ⅰ. 서론 = 219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19
2. 교실수업 연구(본 연구)의 중요개념 = 221
3. 연구내용 및 연구 방법 = 224
Ⅱ. 교실수업 연구의 학문동향 = 226
1. 실증적 전통에 기반을 둔 연구 : 과정산출적 접근 = 228
2. 과정산출적 접근에 대한 비판 = 231
3. 교실수업의 질적 연구 = 235
Ⅲ. 한국 교실수업의 분석과 이해 = 235
1. 한국 교실수업 연구의 개관 = 235
2. 한국 교실수업의 이해 = 238
Ⅳ. 교실수업과 교사의 교육활동, "교사 수업행동의 최적화" 이론 = 257
1. 한국 교실수업연구(해석적)의 동향 = 257
2. 한국의 교실수업과 교사의 행동에 대한 이해 : "최적화 행동" = 260
3. 한국 교실수업 연구 및 지원센터의 제안 = 265
Ⅴ. 결언과 제언 = 266
제6장 교육개혁과 교실수업 참여구조의 변화 = 269
Ⅰ. 서언 = 27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71
2. 연구문제 = 275
3. 연구의 방법과 절차 = 276
Ⅱ. 경제수업 참여구조의 이해를 위한 개념들 = 280
1. 경제수업의 조직 = 281
2. 경제수업의 상호작용과 대화의 이동 양식 = 283
3. 수업의 사회적 참여형태와 권리-의무 관계 = 285
Ⅲ. 한국 중학교 경제수업 참여구조의 이해 = 288
1. 수업A의 참여구조 : "전제적 참여구조" = 288
2. 수업B의 참여구조 : "전제적 참여구조"와 "통제적 참여구조"의 혼재 = 293
3. 요약 : 경제수업 참여구조의 변화에 대한 이해 = 297
Ⅳ. 경제수업의 참여성 증진을 위한 논의 : 통제적 참여구조의 문제와 구성적 참여구조의 제안 = 299
1. 통제적 참여구조와 교사행동의 최적화 : 대화배분의 불평등 = 299
2. 경제수업의 참여성 증진 : "구성적 참여구조"의 제안 = 302
3. "구성적 참여구조"의 특성 = 303
4. "구성적 참여구조"와 수업 모형 = 305
Ⅴ. 요약과 결언 = 306
제7장 결언 : 요약과 논의 = 309
Ⅰ. 서언 = 311
Ⅱ. 교실수업 연구의 틀과 성과 분석(요약) = 313
1. 교실수업 연구의 틀 = 313
2. 한국 교실수업 질적(미시기술적)연구의 성과 = 317
3. 교실수업 행동의 이해 : 교사의 "최적화 행동" = 332
4. 한국 교실수업 참여구조의 변화 : "전제적 참여"에서 "통제적 참여"로 이행 = 336
Ⅲ. 한국 교실수업 연구의 반성과 지향 = 344
1. 교실수업 연구의 반성(1) : 연구 대상과 초점의 문제 = 344
2. 교실수업 연구의 반성(2) : 연구 방법 = 347
3. 결언 : "전통적 해체와 교육적 재구성" = 352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