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3
제2장 교육과정의 출발 = 23
1. 프랭클린 바비트의 생애와 초기 업적 = 26
2. 『교육과정학』교재의 탄생 = 28
3. 『교육과정 편성법』에 대한 학계의 반응 = 34
제3장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 논쟁 : 역사적 접근 = 39
1. 19세기 중엽의 교육 : 고전 중심의 교육 = 43
2. 진보주의 : 교사 중심에서 아동 중심으로 = 49
1) 진보주의란 무엇인가? = 49
2) 진보주의의 발생 및 발전과정 = 49
3. 고전교육과정의 변화 = 57
4. 사회적 행동주의의 발생 = 58
5.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들간의 입장 차이 조율을 위한 토론 = 59
6. 사회 재건주의의 부상과 진보주의의 분열 = 64
7. 본질주의의 등장 : 여러 교육과정학 이데올로기들의 절충 = 66
8. 시간여행을 마치며 = 68
제4장 교유과정 개발절차의 완성 : 타일러의 논리 = 73
1. 랄프 타일러의 학문적 생애 = 77
2. 타일러의 논리 = 83
1) 교육목표의 설정 = 87
2) 학습 경험의 선정 = 89
3) 학습 경험의 조직 = 92
4) 학습 경험의 평가 = 95
5) 타일러의 논리 요약 = 96
3. '타일러 논리'의 국내 소개 = 98
제5장 '타일러 논리'의 발전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105
1. 교육목표의 세분화 및 진술 작업의 시작 : 타일러 = 107
2. 교육목표의 세분화 및 진술 작업의 발전 : 블룸 = 110
1) 지적 영역 = 112
2) 정의적 영역 = 116
3. 교육목표 진술방법의 완성 : 메이거 = 118
1) 행동용어의 사용 = 119
2) 교육목표 진술방법의 구체화 = 121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122
1)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모태 = 124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국내 도입 = 138
제6장 '터일러의 논리'로부터의 탈출 : 교육과정학의 재개념화 = 145
1. 교육과정학의 위기 = 148
2. 재개념화운동의 발전과정 = 154
3. 재개념주의자들의 탐구 영역 = 157
제7장 교육과정학 탐구의 실존적·구조적 재개념화 = 161
1. 교육과정학 탐구의 실존적 재개념화 : 윌리암 파이너 = 163
1) 기본적인 주제 : 인간의 실존적 해방 = 163
2) 학교교육의 정신 분석 = 166
3) 쿠레레(Currere) : 교육과정의 탐구 = 171
2. 교육과정학 탐구의 구조적 재개념화 : 마이클 애플 = 174
1) 기본적인 주제 : 인간의 정치적 해방 = 174
2) 학교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 176
3) 기술공학적 논리의 비판과 교육과정 탐구 = 179
4) 컴퓨터 교육에 대한 비판 = 183
3. 파이너와 애플의 비교 = 186
1)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 = 187
2) 해답의 원천 = 188
3)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 = 189
4) 학교의 기능과 역할 = 190
5) 교육과정의 가치 기준 = 191
제8장 교육과정학 탐구의 미학적 재개념화 = 197
1. 예술교과의 중요성 = 200
2. 미학적 인식론 = 201
3. 20세기 미술사조와 교육과정 이론의 상응 = 203
4. 행동목표 비판과 질적 연구·질적 평가의 강조 = 204
1) 행동목표 비판 = 204
2) 참 평가 = 209
3)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비평 = 216
4) 질적 탐구 = 217
5) 영 교육과정 = 220
제9장 파이데이아 제안 : 고전교육과정의 부활 = 227
1. 『파이데이아 제안』의 역사적 배경 = 231
2. 『파이데이아 제안』의 요약 = 235
1) 제1장 : 민주주의와 교육 = 236
2) 제2장 : 오직 교육의 일부에 불과한 학교교육 = 237
3) 제3장 : 모든 학생에 대한 동일한 목표 = 238
4) 제4장 : 모든 학생에 대한 동일한 교육과정 = 239
5) 제5장 : 초기 장애의 극복 = 244
6) 제6장 : 개인차 = 244
3. 『파이데이아 제안』에 대한 비평·비판과 아들러의 답변 = 248
1) 토론자들의 비평·비판 요약 = 249
2) 토론자들에 대한 아들러의 반응 = 253
제10장 열린교육 : 진보주의의 재등장 = 263
1. 열린교육의 성격 = 266
2. 열린교육과 진보주의와의 관계 = 270
3. 진보주의는 왜 부침을 반복하는가? = 276
1) 정치경제적 요인 = 278
2) 학교교육의 문법적 요인 = 286
4. 요약 = 289
제11장 교육정보화 : 신진보주의의 등장 = 293
1. 교육정보화란 무엇인가? = 296
2. 교육정보화 운동과 신진보주의적 비전 = 299
3. 교육정보화 운동은 언제부터 일어났는가? = 302
1) 영화 = 302
2) 라디오 = 304
3) 텔레비전 = 306
4) 컴퓨터와 인터넷 = 308
4. 교육정보화 운동은 어떤 사이클을 순환하는가? = 312
5. 테크놀러지에 의해 학교가 변화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313
1)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의 문제 = 314
2) 새로운 테크놀러지 도입 과정상의 문제 = 315
3) 작업 환경으로서의 학교와 교실의 특성 = 317
4)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의 분질 = 319
6. 교육정보화가 공교육에 가져올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 321
1) 교사들의 탈숙련화 = 322
2) 남녀 교사간의 불평등 심화 = 323
3) 교직에 대한 만족감 저하 = 324
4) 학생들간의 불평등 심화 = 327
7. 교육정보화는 궁극적으로 공교육제도를 해체할 것인가? = 329
부록 : 주요 인물 연표 = 336
참고문헌 = 337
찾아보기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