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행정과 행정학의 개념 및 성격 = 9
1. 행정의 개념 = 11
2. 행정과 경영 = 14
3.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18
제2장 20C 산업화·도시화현상과 행정 = 21
1. 산업화현상 = 23
2. 도시화현상 = 26
3. 산업화·도시화가 야기한 행정의 변모 = 27
제3장 행정학의 전개와 이론의 변천 = 29
1. 미국행정학의 전개 = 31
2. 한국행정학의 전개 = 42
제4장 행정학의 대상, 영역 및 분석수준 = 47
1. 행정학의 연구대상 = 49
2. 행정학의 연구영역 = 52
3. 행정학의 분석단위와 분석수준 = 53
제5장 행정학의 접근방법 = 57
1. 역사적 접근방법 = 59
2. 법률적·제도론적 접근방법 = 60
3.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61
4. 생태론적 접근방법 = 61
5. 행태론적 접근방법 = 62
6. 후기행태주의 = 62
7. 체제적 접근방법 = 63
8.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65
9. 현상학적 접근방법 = 66
10. 해석학적 접근방법 = 67
11.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68
제6장 관료제와 민주제 = 71
1. M. Weber의 관료제이론 = 73
2. 관료제의 병리와 순기능 = 76
3. 새로운 관료제 패러다임 = 78
4. 관료제와 민주제 = 80
5. 한국의 관료제 = 82
제7장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85
1. 전통적 견해 = 87
2. Dunleavy의 중앙과 지방관계론 = 88
3. Wright의 정부간관계론 = 91
4. 村松의 수평적 경쟁모형 = 92
5. 1990년대 한국의 분권과 집권 = 93
제8장 행정철학과 행정윤리 = 95
1. 행정철학의 개념과 위상 = 98
2. 행정철학에서 추구하는 가치 = 100
3. 행정윤리 = 108
제9장 정책과 정책학 = 111
1. 정책의 개념과 유형 = 113
2. 정책의 과정 = 116
3. 정책과정의 참여자 = 119
4. 정책학의 발상과 전개 = 123
제10장 기획과 발전기획 = 127
1. 기획의 개념과 발전기획의 성격 = 129
2. Hayek와 Finer 논쟁 = 130
3. 발전계획의 유형 = 132
4. 기획의 과정 = 136
제11장 행정조직과 관리 = 139
1. 조직이론의 기초 = 141
2. 조직이론의 전개 = 144
3. 조직이론의 내용 = 149
4. 관리에 의한 행정= 152
제12장 인사행정 = 157
1. 인사행정의 기초 = 159
2. 인사행정의 발달 = 162
3. 인사행정의 과정과 내용 = 166
4. 대표관료제와 실적제 = 168
제13장 재무행정 = 171
1. 재무행정의 기초 = 173
2. 재무행정의 내용 = 175
3. 예산제도의 발달 = 176
4. 민간기법의 도입과 예산개혁 = 181
제14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 183
1. 행정책임 = 185
2. 행정통제의 개념과 과정 = 188
3. 행정통제의 유형 = 189
4. 행정통제력의 향상방안 = 194
제15장 21C 행정의 미래상과 행정개혁 = 197
1. 세계화와 행정 = 199
2. 정보화와 행정 = 202
3. 지방화와 행정 = 205
4. 행정개혁 = 207
참고 문헌 = 213
찾아보기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