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8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726058 | |
005 | 20100807043127 | |
007 | ta | |
008 | 011102s2001 ulk 00 a kor | |
020 | ▼a 8941901197 ▼g 04330 : ▼c \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02880 ▼f 개가 ▼l 111202881 ▼f 개가 |
082 | 0 4 | ▼a 331.8 ▼2 21 |
090 | ▼a 331.8 ▼b 2001b | |
100 | 1 | ▼a 허창수 |
245 | 1 0 | ▼a 이성의 길 : ▼b 노동조합 / ▼d 허창수 지음. |
260 | ▼a 서울 : ▼b 분도출판사 , ▼c 2001. | |
300 | ▼a 99 p. ; ▼c 23 cm. | |
490 | 0 0 | ▼a 경제와 인간 ; ▼v 6 |
504 | ▼a 참고문헌과 : p. 99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8 2001b | Accession No. 1112028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8 2001b | Accession No. 1112028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1. 노조의 생성 = 11 1. 역사적 배경 = 11 2. 노조에 의한 힘의 균형 = 12 2. 권익단체로서의노조 - 노조의 임무 = 17 3. 노조의 임무 실행 - 노조의 기능 = 23 1. 운동으로서의 노조 = 23 2. 재단법인으로서의 노조 - 권리와 의무의 주체자 = 24 4. 노조와 민주주의 = 27 5. 노사간의 동반자 관계 = 33 1. 문제제기 = 33 2. 동반자 관계의 본질 = 35 3. 노동자의 신분과 그것에 입각한 권리 = 36 4. 기업과 경제를 위한 노조의 공동책임 = 42 5. 임금정책 - 경제에서의 공동책임의 장소 = 47 6. 사회적 동반자들의 자율성 = 49 7. 계급투쟁 아닌 동반자 관계 = 51 6. 노조의 조직 형태 - 강점과 약점 = 57 7. 노조와 정치활동 = 61 8. 동반자 관계의 세계관 = 67 부록 1 영국 노동조합의 정당차원 정치활동, 노동당과의 연계사 1. 문제제기 = 73 2. 노조의 발생 = 74 3. 노동당 발생 = 75 4. 노조와 노동당과의 관계 = 76 부록 2 독일 노동조합의 정당차원 정치활동, 소위 노동자당인 SPD와의 관계사 1. 독일 사민당과 노조의 설립 = 81 2. 당에 종속되어 있던 노조가 당과 대등한 위치로 = 83 3. 노조의 사민당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 = 86 부록 3 한국 노동운동 - 성공과 결함의 역사 1. 배경 : 경제적 성공의 역사? = 91 2. 노조 길들이기 = 92 3. 노조의 쇄신을 위한 노력 = 94 4. 노조의 결정권 = 95 5. 특기할 노조의 잘못(결여) = 96 6. 맺는 말 = 97 참고 문헌 =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