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6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725934 | |
005 | 20100807043031 | |
007 | ta | |
008 | 011101s2001 ulka 000a kor | |
020 | ▼a 8946029196 ▼g 94900: ▼c \2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331.40953 ▼2 21 |
090 | ▼a 331.40953 ▼b 2001 ▼c 1 | |
100 | 1 | ▼a 이옥지 ▼0 AUTH(211009)63045 |
245 | 1 0 | ▼a 한국여성노동자 운동사 . ▼n 1 / ▼d 이옥지 지음 ; ▼e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기획. |
260 | ▼a 서울 : ▼b 한울아카데미 , ▼c 2001. | |
300 | ▼a 585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573-585) | |
710 | ▼a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 ▼e 기획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029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297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0295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3-06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297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410145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511224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511224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029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297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0295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4-03-06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112297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410145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511224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40953 2001 1 | Accession No. 1511224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여성노동자운동은 노동운동사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룩한 업적에 비해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는 1997년 여성노동자운동의 역사에 대한 기획을 시작하여 4년만에 이 책을 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이 다루는 연대기적 범위는 여성노동자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20년대에서부터 1990년대 중반에 걸쳐 있다. 그러나 자료상의 문제로 1960년대 이후 여성노동자들의 활동과 투쟁이 주를 이룬다. 여성 노동자들의 운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각종 신문과 잡지, 연감 등의 문헌자료와 노동조합 간부로 활동했거나 활동하고 있는 여성노동자들을 직접 만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 책은 여성노동운동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제조업 생산직 여성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인순(지은이)
1954년생으로, 1973년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인문사회계열에 입학했다. 당시 1학년 7반 지도 교수였던 이이효재 선생님과 처음 인연을 맺은 후 선생님이 돌아가실 때까지 제자로서 반백 년을 함께했다. 사회학은 ‘분단시대의 사회학’이자 ‘인간 해방의 사회학’이라는 선생님의 학문적 삶과 실천적 삶을 뒤따라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큰 스승님의 가르침에는 많이 부족하다. 하지만 선생님의 고향인 경남 진해에서 선생님과 많은 시간을 함께한 행복한 제자다. 경남대학교 사회학과에 부임해 여성학을 개설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학지회 중앙위원, 경남대학교 교수협의회 부회장, 문과대학 학장, 교학부총장을 지냈다. 현재는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다. 지역사회와 관련해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를 지역 노동자와 함께 창립했으며,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를 지냈고, 경남여성사회교육원을 만들어 활동했다.
이옥지(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전북대학교, 한양대학교, 배재대학교 강사를 지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를 발간하며 = 3 축하의 글 = 5 서문 = 8 제1장 머리말 = 21 1. 여성노동자운동사 서술의 의미 = 21 2. 여성노동자운동의 개념 = 26 1) 운동의 조직성과 지속성의 문제 = 27 2) 운동의 주체와 목표, 과제로서의 여성노동자운동과 남성노동자운동 = 28 제2장 한국여성노동자운동의 역사적 배경 = 32 1. 일본 식민지하에서의 여성노동자운동 = 33 1) 일본 자본주의의 침투와 근대적 공장노동자계급의 성장 = 33 2) 여성노동자들의 생활상태와 노동조건 = 36 3) 1920년대의 여성노동자운동 = 38 4) 1930년대의 여성노동자운동 = 43 5) 일제 말기의 여성노동자운동 = 52 2. 미군정기의 여성노동자운동 = 53 1) 정치·경제적 배경과 노동운동 = 53 2) 경제침체 - 공업생산, 고용자수의 감소, 노동자들의 생활난 = 56 3) 미군정의 노동정책 = 58 4) 전평과 미군정의 대립과 대한노총의 노동운동 주도 = 59 5) 여성노동자운동의 사례 = 62 3. 이승만 정권하의 여성노동자운동 = 65 1) 정치·경제적 배경 = 65 2) 노동시장에서의 여성노동 = 67 3) 여성노동자운동 사례 = 69 4. 민주당 정권하의 여성노동자운동(1960년 4월 19일∼1961년 5월 16일) = 79 제3장 1960년대의 여성노동자운동 = 84 1. 1960년대의 정치·경제적 배경 = 84 2. 1960년대의 노동시장과 여성노동자 = 88 1) 노동계층의 성장과 여성노동자의 위치 = 88 2) 1960년대 한국 노동자의 노동조건 / 여성노동자의 노동조건 = 90 3) 1960년대의 노동법과 노동정책 = 93 3. 1960년대 한국 노동운동의 맥락에서 본 여성노동자운동 사례 = 97 4. 1960년대 말의 과도기 = 101 5. 먼 곳에서 다가오는 노동운동세력 : 가톨릭노동청년회와 도시산업선교회 = 108 1)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가노청, JOC) = 109 2) 도시산업선교회(산선, UIM) = 111 제4장 1970년대의 한국사회와 노동상황 = 120 1. 정치·경제적 배경 = 120 2. 1970년대 노동시장 상황과 여성노동자 = 125 3. 1970년대의 노동법과 노동정책 = 128 4. 1970년대 한국 노동자들의 노동조건 = 131 5. 1970년대의 노동운동 지원세력과 기존 노동조합운동 = 136 제5장 1970년대 초의 여성노동자운동 사례(1970∼1972년) = 140 1. 노조 결성투쟁 = 143 1) 섬유업체 = 143 2) 전자업체 = 153 3) 제약/식품업체 = 156 2. 노조민주화/민주노조 사수 투쟁 = 158 1) 동일방직 - 노조민주화운동과 여성지부장 선출 = 158 2) 한국모방 - 퇴직금 받기 운동과 노조민주화투쟁 = 163 3. 노조가 주도한 임금인상, 노동조건 개선, 권리신장, 체불임금, 휴폐업 등으로 인한 투쟁 = 168 4. 미조직사업장에서의 투쟁 = 173 제6장 유신체제하에서의 여성노동자운동 사례(1973∼1979년) = 176 1. 노조 결성/노동조합 수호 투쟁 = 177 1) 스웨터/편직업체 = 178 2) 봉제/가발업체 = 194 3) 섬유사/직물(방직, 제사, 모방업체) = 212 4) 전자업체 = 219 5) 제약업체 = 224 6) 섬유/전자/제약 이외의 업체 = 236 2. 노조민주화투쟁/민주노조 사수 투쟁 = 244 3. 노조가 주도한 임금인상, 노동조건 개선, 체불임금, 휴폐업 등으로 인한 투쟁 = 254 4. 어용노조하에서의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 265 1) 방직/모방업체 = 266 2) 봉제/스웨터/섬유제품업체 = 277 3) 전자업체 = 287 4) 식품업체 = 288 5. 미조직사업장에서의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 305 6. 민주노동자들의 공동투쟁/정치투쟁 = 311 제7장 1970년대 민주노동조합운동의 전개 = 315 1. 민주노조운동이란 무엇인가? = 315 2. 청계피복노조 = 317 3. 동일방직노조 = 332 4. 반도상사노조 = 345 5. YH무역노조 = 356 6. 콘트롤데이타노조 = 373 7. 원풍모방노조(1974년까지는 한국모방) = 389 8. 삼성제약노조 = 412 제8장 민주화의 봄과 여성노동자운동(1979년 10월 26일∼1980년 5월 17일) = 425 1. 정치·경제적 배경 = 425 2. 여성노동자운동 사례(1979년 10월 26일∼1980년 5월 17일) = 428 1) 노조 결성/노동조합 수호 투쟁 = 429 2) 노조민주화/민주노조 사수 투쟁 = 445 3) 노조가 주도한 임금인상, 노동조건 개선, 권리신장, 체불임금, 휴폐업 등으로 인한 투쟁 = 449 제9장 전두환 정권하에서의 여성노동자운동 = 455 1. 정치·경제적 배경 = 455 1) 1980년대 초의 정치적 상황 = 455 2) 1980년대 초반의 한국의 경제적 상황 = 458 3) 노동정책과 노동운동에 관한 법률적 규제 강화 = 462 4) 1980년대 전반기의 노동시장 상황과 노동조건 = 466 2. 암흑기의 여성노동자운동 사례(1980년 5월 18일∼1983년 말) = 470 1) 신규노조 결성 = 472 2) 노조민주화/민주노조 사수 투쟁 = 474 3) 노조가 주도한 임금인상, 노동조건 개선, 권리신장, 체불임금, 휴폐업 등으로 인한 투쟁 = 484 4) 미조직사업장에서의 투쟁 = 485 5) 이 시기에 있었던 노동운동 활성화 시도들 = 488 3. 회복기의 여성노동자운동 사례(1984∼1986년) = 492 1) 노조 결성/노동조합 수호 투쟁 = 492 2) 노조민주화/민주노조 사수 투쟁 = 532 3) 노조가 주도한 임금인상, 노동조건 개선, 권리신장, 체불임금, 휴폐업 등으로 인한 투쟁 = 539 4) 미조직사업장에서의 투쟁 = 545 5) 어용노조하에서의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 553 6) 민주노동자들의 공동투쟁/정치투쟁 = 560 참고문헌 = 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