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Ⅰ. 비평이란 무엇인가
1. 비평의 특성과 대상 = 11
1.1. 장르가 지닌 성격 = 13
1.2. 문학비평의 정체와 대상 = 17
2. 비평이 맡은 기능 = 23
2.1. 해석하는 일 = 23
2.2. 감상하는 일 = 25
2.3. 평가하는 일 = 27
3. 문학비평의 기원과 비평가의 위치 = 31
3.1. 비평의 기원 = 31
3.2. 비평가의 위치 = 36
4. 비평의 여러 갈래 = 43
4.1. 비평의 구분 = 43
4.2. 비평의 양상과 실제 = 45
4.3. 비평의 여러 유형 = 54
4.4. 객관적 비평과 주관적 비평 = 56
4.5. 나머지 비평 = 77
5. 비평의 발전 형태 = 81
5.1. 고전비평 = 81
5.2. 근대비평 = 86
5.3. 현대비평 = 91
6. 실제의 비평 요령 = 95
6.1. 평론 쓰기의 긴요성과 집필과정 = 95
6.2. 글쓰기의 몇 가지 요령 = 96
Ⅱ. 현대비평은 어떤 것들인가
현대비평은 어떤 것들인가 = 103
1. 역사주의 비평 = 105
1.1. 개관 및 특성 = 105
1.2. 비평의 주안점 = 108
1.3. 원전비평의 이론과 실제 = 110
1.4. 전기비평의 이론과 실제 = 115
1.5. 역사적 비평의 이론과 실제 = 121
1.6. 문제점 및 한계점 = 129
2. 문학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 = 133
2.1. 중요성 및 개관 = 133
2.2. 문학사회학 = 134
2.3. 마르크스주의 비평 = 142
2.4. 작품비평의 실제 = 150
2.5. 한계점 및 문제점 = 154
3. 정신분석학적 비평과 테마비평 = 157
3.1. 개관과 특성 = 157
3.2. 정신분석학적 비평의 이론과 실제 = 157
3.3. 테마비평의 이론과 실제 = 174
3.4. 상이점과 한계점 = 187
4. 신화·원형비평 = 191
4.1. 개념과 특성 = 191
4.2. 주요 이론가들 = 194
4.3. 신화와 원형 = 199
4.4. 휠 라이트의 원형상징 = 201
4.5. 원형 이미지 = 205
4.6. 훤형비평의 실제 = 208
4.7. 원형(신화)비평의 문제점 = 212
5. 형식주의와 뉴크리티시즘 = 217
5.1. 개관 및 특성 = 217
5.2. 러시아 형식주의 = 220
5.3. 영미(英美)의 뉴크리티시즘 = 224
5.4. 방법상의 특징 및 한계점 = 231
6. 구조주의와 해체비평 = 235
6.1. 개관과 전개과정 = 235
6.2. 프랑스 구조주의 = 237
6.3. 작품비평의 실제 = 242
6.4. 해체비평론과 그 한계 = 245
7. 기호학적 비평 = 255
7.1. 개관 및 특성 = 255
7.2. 문학 기호학 = 257
7.3. 기호학 이론의 전개 양상 = 263
7.4. 기호학적 비평의 실제 = 269
7.5. 기호학적 비평의 문제점 = 272
8.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 275
8.1. 명칭과 차이점 = 275
8.2. 개관 및 특성 = 276
8.3. 이론 형성과 주요 이론가 = 279
8.4. 독자반응 비평의 실제 = 289
8.5. 문제점 및 한계점 = 290
9. 여성주의 문학비평 = 295
9.1.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비평, 페미니스트 문학비평 = 295
9.2. 페미니스트 문학비평의 세 가지 차원 = 297
9.3. 작품비평의 실제 = 305
9.4. 페미니스트 비평의 문제점 = 307
10. 대화비평과 담론이론 = 311
10.1. 개관 및 특성 = 311
10.2. 대화비평의 주요 개념 = 314
10.3. 작품비평의 실제 = 319
10.4. 담론이론 = 321
10.5. 작품비평의 실제 = 326
11. 신역사주의 비평과 문화유물론 = 333
11.1. 개관 및 특성 = 333
11.2. 신역사주의 비평 = 336
11.3. 문화유물론 = 340
11.4. 신역사주의 비평의 실제 = 343
12. 탈식민주의와 한국의 전통비평 = 347
12.1. 문제 제기 = 347
12.2. 탈식민주의 개념 및 전개 = 348
12.3. 한국의 전통비평 = 363
12.4. 작품비평의 실제 = 373
12.5. 한국비평의 과제와 지평 = 381
찾아보기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