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세계를 바꾸는 역사

세계를 바꾸는 역사 (Loan 1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세길
Title Statement
세계를 바꾸는 역사 / 박세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민 ,   2001.  
Physical Medium
471 p. ; 23 cm.
Series Statement
민총서 ; 2
ISBN
899507353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623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25664
005 20100807042709
007 ta
008 010704s2001 ulk 000a kor
020 ▼a 8995073535 ▼g 03300 : ▼c \12000
035 ▼a KRIC08005975
040 ▼a 248009 ▼c 248009 ▼d 211009
049 1 ▼l 111200437 ▼f 개가 ▼l 111200438 ▼f 개가 ▼l 111200439 ▼f 개가
082 0 4 ▼a 330.122 ▼2 21
090 ▼a 330.122 ▼b 2001d
100 1 ▼a 박세길
245 1 0 ▼a 세계를 바꾸는 역사 / ▼d 박세길 지음.
260 ▼a 서울 : ▼b 민 , ▼c 2001.
300 ▼a 471 p. ; ▼c 23 cm.
490 0 0 ▼a 민총서 ; ▼v 2
504 ▼a 참고문헌 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511052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11200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0.122 2001d Accession No. 1511052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세길(지은이)

1962년 충북 영동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철학을 수학했다. 대학생 시절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이후 줄곧 재야에 머물렀다. 1990년대 전반기에는 노동자와 한국근현대사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역사교양 활동에 매진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단체와 연구기관 상근자로 활동했다. 1993년 기존 세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미래를 탐색하는 일에 몰두하기 시작, 2007년부터는 오로지 연구와 집필 작업에만 전념했다. 지은 책으로는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1~3』, 『한국경제의 뿌리와 열매』, 『세계를 바꾸는 역사』, 『우리 농업, 희망의 대안』,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미래를 여는 한국인史 1~2』, 『자본주의, 그 이후』, 『젊은 국가』, 『한국 현대사 열한 가지 질문』, 『선언』, 『한국혁명』, 『두 번째 프레임 전쟁이 온다』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글을 쓰면서 = 11
제1부 혁명의 한 세기
 제1장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과 시련의 연속 = 19
  1. 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혁명 = 19
   야만의 전쟁
   러시아혁명
   볼세비키의 성공 요인
  2. 시련에 봉착한 혁명 = 30
  3. 급속한 공업화와 그 유산 = 36
  4. 2차 세계대전과 초강대국으로의 부상 = 41
 제2장 동아시아에서의 혁명 = 46
  1. 중국혁명 = 47
   새로운 혁명 모델의 창조
   대장정
   항일전을 주도하다
  2. 조선혁명 = 57
   항일무장투쟁의 개척
   극단적 편향과의 투쟁
   최후의 결전을 향해
  3. 베트남혁명 = 70
 제3장 작은 거인들의 분투 = 74
  1. 한국전쟁 = 75
  2. 쿠바혁명 = 80
  3. 베트남전쟁 = 86
  4. 난공불락의 요새 = 91
 제4장 사회주의 중국의 행보 = 99
  1. 후퇴를 낳은 대약진운동 = 100
  2. 극단을 향해 치달은 문화대혁명 = 106
  3. 개혁개방의 길 = 110
   개혁의 출발로서의 농촌개혁
   사회주의 기업과 시장경제의 결합
   대외개방의 확대
 제5장 소련의 붕괴 = 121
  1. 국제사회주의운동의 분열과 소련의 고립 = 121
  2. 드러나는 소련체제의 결함 = 126
   관료주의에 전염된 소련의 엘리트 집단
   새로운 세대를 주체로 하는 새로운 역사적 과제를 창출하는 데 실패하다
   생산시스템의 전환이 절실했다. 그러나……
  3. 고르바초프의 실험과 실패 = 134
   미국에 백기를 든 냉전 종식
   글라스노스트와 뻬레스트로이까의 모순
   무정부 상태로 빠져든 소련 경제
   기묘한 소연방의 해체
제2부 신자유주의 시대
 제1장 퇴로를 상실한 자본주의 = 147
  1. 자유주의의 침몰 = 147
   자유주의의 원리
   대공황의 기습
   국가만이 해답을 갖고 있었다
  2. 황금의 시기 : 완전고용, 고임금, 사회복지 = 156
   절박해진 개혁
   케인즈주의의 비밀
   사상 최고의 번영
  3. 케인즈주의의 파탄과 신자유주의의 부상 = 166
   장기 침체의 늪
   무력해진 국가
   신자유주의의 부상
 제2장 신자유주의 세계화전략 = 175
  1. 세계화를 재촉한 세 가지 조건 = 177
   비대해진 거대 독점자본
   세계화의 기술적 기초로서의 정보통신·교통 혁명
   역사적 전기로서의 소련의 붕괴
  2. 세계화의 동력으로서의 초국적자본의 성장 = 183
   다국적자본을 거쳐 초국적자본으로
   인수합병을 통한 몸집 키우기
   초국적자본의 주력부대, 초국적금융자본
  3. 초국적자본의 세계정복과 아메리카 세계제국 = 191
   초국적자본의 세계정복 작전
   사상 최대의 상륙작전, 동아시아에 대한 초국적자본의 공격
   아메리카 세계제국을 향한 야망
  4. 신자유주의 시대, 제국주의의 특징 = 203
 제3장 모순의 확대재생산 = 209
  1. 노동력 착취의 극대화 = 210
   대량감원의 회오리
   노동강도의 급격한 강화와 실질임금의 하락
   미국식 모델의 확산
  2. 불평등 구조의 심화 = 218
   국가에 대한 시장의 반란
   20 대 80으로의 사회적 양극화
   소수의 부자나라를 먹여살리는 다수의 가난한 나라
  3. 모순의 세계화 = 230
   위험한 고공비행
   전 세계를 도박판으로 만들어라!
   공황의 세계화, 위기의 세계화
  4. 자본주의의 운명 = 240
제3부 역사의 길목
 제1장 대륙의 충돌 = 245
  1. 복권되어야 할 또 하나의 세계 = 246
   역사의 진실
   엇갈리는 두 세계
   동아시아 봉건국가의 이중적 역할
  2. 새로운 도약 = 257
   봉건질서를 일소한 사회주의 혁명
   잠에서 깨어나는 용들
   고도성장의 결정적 요인
  3. 동북아경제권 = 263
   미래의 실험장
   독특한 해법
   동북아경제권의 요충지 한반도
  4. 미국의 패권을 흔드는 대중국주의 = 271
 제2장 숙명의 대결 = 276
  1. 고난의 시기 = 277
  2. 봉쇄를 돌파하기 위한 노력 = 283
   선군혁명영도
   첨예한 대결
   회심의 반격
  3. 강성대국의 꿈 = 293
  4. 관료주의와의 비타협적 투쟁 = 300
 제3장 변혁의 소용돌이 = 304
  1. 모순의 폭발 = 304
   짧았던 희망
   외환위기의 충격
   초국적자본의 그물망에 걸려든 한국 정부
  2. 국면의 대전환 = 313
   쓰라린 교훈
   사라지는 중간지대
   이해할 수 없는 현상들
  3. 심장부를 향한 공격 = 325
  4. 흔들리는 낡은 질서 = 330
   궁지에 몰린 주한미군
   평양회담
   놀라운 변화
  5. 자주적인 통일강국으로 = 340
제4부 미래의 지평
 제1장 정보혁명과 생산력 발전의 새로운 단계 = 347
  1. 자연, 인간 그리고 정보 = 347
  2. 정보혁명의 과학기술적 기초 = 351
  3. 정보의 산업화, 산업의 정보화 = 353
   소비시장의 정보화
   경영의 정보화
   생산시스템의 정보화
  4. 도전받는 낡은 질서 = 360
   생산방식의 대립물로의 전화
   작은 것이 강하다
   위기에 직면한 관료적 기업조직
 제2장 노동의 대전환과 자본주의의 미래 = 372
  1. 노동의 변증법 = 372
  2. 자본주의 시대의 소외된 노동 = 377
  3. 지식노동자계급의 성장 = 384
   자동화의 획기적 진전과 미(반)숙련 노동력의 축소 경향
   지식과 생산의 직접적 결합의 증대
   대학교육의 일반화
  4. 후계자인가 반역아인가 = 394
   죽은 장인이 지식노동자로 되살아나다
   확산되는 독립에 대한 열망
   지식노동자가 혁명적이기 위한 조건
 제3장 미래로 나아가는 관문 = 405
  1. 주인과 노예의 갈림길 = 407
  2. 시장의 폭력에 저항하는 기지 = 412
  3. 자본이 노동력 앞에 줄서는 시대로 = 416
  4. 세계권력을 둘러싼 투쟁 = 420
 제4장 지평선 너머로의 여행 = 426
  1.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 = 426
  2. 모두가 왕이 되는 시대로 = 430
   미래 사회의 예고편
   자치 확대와 새로운 국가
   진정으로 강한 나라는?
  3. 사람 중심의 생산조직 = 442
   소유의 극복
   기계적 조직에서 유기체적 조직으로
   공동체, 시장, 국가의 변증법
  4. 삶의 양식에서의 근본적 전환 = 456
   정보의 해방과 공유
   물질적 풍요에서 문화적 풍요로
   자연과의 역사적 화해
참고문헌 = 4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Acemoglu, Daro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