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Loan 3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숙경 박영태
Title Statement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 정숙경 ; 박영태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부산 :   동아대학교출판부 ,   2001.  
Physical Medium
359 p. : 삽도 ; 25 cm.
ISBN
894490078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수록
000 00670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725637
005 20100807042625
007 ta
008 010531s2001 bnka FB 000a kor
020 ▼a 8944900787 ▼g 03380 : ▼c \11000
035 ▼a KRIC07975028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00345 ▼f 개가 ▼l 111200346 ▼f 개가 ▼l 111200347 ▼f 개가
082 0 4 ▼a 371.3 ▼2 21
090 ▼a 371.3 ▼b 2001d
100 1 ▼a 정숙경
245 1 0 ▼a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 ▼d 정숙경 ; ▼e 박영태 공저.
260 ▼a 부산 : ▼b 동아대학교출판부 , ▼c 2001.
300 ▼a 359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박영태 ▼0 AUTH(211009)95092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01d Accession No. 1112003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01d Accession No. 1112003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1.3 2001d Accession No. 1112003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숙경(지은이)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교육방법의 이해 / 정숙경
 제1장 학습과 수업 = 11
  제1절 학습의 개념과 본질 = 12
   1. 용어들 = 12
   2. 학습의 개념 = 13
   3. 학습의 본질 = 15
  제2절 수업의 개념과 수업과정모형 = 18
   1. 수업의 개념 = 18
   2. 수업과정모형 = 20
 제2장 전통적 수업이론들 = 27
  제1절 유의미학습이론 = 28
   1. 유의미학습의 의미 = 28
   2. Ausubel의 유의미학습이론 = 30
   3. 유의미학습의 교육적 의의 = 38
  제2절 발견학습이론 = 39
   1. 발견학습의 의미 = 39
   2. Bruner의 수업이론 = 40
   3. 발견학습이론의 교육적 의의 = 46
  제3절 완전학습이론 = 47
   1. 완전학습의 의미 = 47
   2.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 48
   3. Bloom의 완전학습전략 = 54
   4. 완전학습이론의 교육적 의의 = 57
 제3장 수업목표와 학습자 특성의 분석
  제1절 수업목표의 분석 = 62
   1. 교육목표 분류의 기원 = 62
   2. 교육목표의 분류체계 = 64
   3. 수업목표의 진술방법 = 71
  제2절 학습자 특성의 분석 = 76
   1. 학습자의 지적 특성 = 76
   2. 학습자의 지적 특성 조정방안 = 79
   3.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 81
   4. 학습동기 조정방안 = 85
 제4장 수업의 조직과 학습평가
  제1절 학습성과 영역과 수업원리 = 92
   1. 학습성과 영역 = 92
   2. 학습성과 영역별 수업원리 = 94
  제2절 수업사태와 수업활동 = 104
   1. 수업사태 = 104
   2. 수업사태별 수업활동 = 106
  제3절 학습성과의 평가 = 111
   1. 평가의 개념 및 원리 = 111
   2. 평가관의 변화 = 113
 제5장 교수학습의 형태와 수업접근
  제1절 교수학습의 형태들 = 122
   1. 대집단 수업 = 122
   2. 소집단 활동 = 124
   3. 개별학습 = 127
  제2절 직접적 및 간접적 수업접근 = 132
   1. 학습이론의 변천 = 132
   2. 직접적 수업접근과 간접적 수업접근 = 136
   3. 간접적 수업접근에 의한 학습과정 = 144
 제6장 교실수업을 위한 수업설계
  제1절 수업설계 = 151
   1. 수업설계이론의 발전 = 151
   2. 교실수업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 152
  제2절 수업안 작성의 실제 = 170
   1. 수업안의 개발 = 170
   2. 수업안의 추가적 예 = 172
제2부 교육공학의 이해 / 박영태
 제7장 교육공학의 기본 이해
  제1절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 182
   1. 교육공학의 개념 = 182
   2. 교육공학의 영역 = 185
  제2절 교육공학의 발달 = 197
   1. 개관 = 197
   2. 시각교육 = 198
   3. 시청각교육 = 200
   4. 시청각통신 = 205
   5. 수업공학/교육공학 = 209
 제8장 교육공학의 바탕이론
  제1절 체제이론 = 216
   1. 체제의 의미 = 216
   2. 체제적 접근 = 219
  제2절 의사소통 이론 = 224
   1. 의사소통의 의미 = 224
   2. 의사소통 모델 = 227
   3. 의사소통의 수준 = 229
   4. 의사소통의 방법 = 230
  제3절 프로그램학습이론 = 232
 제9장 수업매체의 기본 이해
  제1절 수업매체의 의미 및 발달 = 239
   1. 매체의 의미 = 239
   2. 매체의 속성 및 기능 = 241
   3. 수업매체의 발달 = 242
  제2절 수업매체의 유형 = 245
   1. 유형구분 = 245
   2. 주요 수업매체 = 247
   3. 수업매체의 선택 = 263
 제10장 수업매체와 수업
  제1절 매체와 수업 = 280
   1. 매체를 이용한 수업 = 280
   2. 매체를 이용한 수업의 방향 = 282
   3. ASSURE 모델 = 284
  제2절 수업매체의 개발 = 287
   1. 코스웨어 개발도구 = 287
   2. 코스웨어 개발 방략 = 296
   3. 실제적 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략 = 299
 제11장 컴퓨터의 기본 이해
  제1절 컴퓨터의 의미 및 구조 = 309
   1. 교육에서 컴퓨터의 의미 = 309
   2. 컴퓨터의 의미 및 구조 = 311
  제2절 멀티미디어 = 316
  제3절 하이퍼미디어 = 318
   1. 하이퍼미디어의 의미 = 318
   2. 하이퍼미디어의 구성 요소와 유형 = 320
   3. 하이퍼미디어의 교육적 기능 = 325
  제5절 인터넷 = 328
   1. 인터넷의 의미 = 328
   2. 인터넷에의 접속 = 329
   3. 주요용어 소개 = 333
 제12장 컴퓨터와 교육
  제1절 컴퓨터의 교육에서의 활용 = 340
   1. 정보화 사회와 학습내용의 디지털화 = 340
   2.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방향 = 341
  제2절 CAI = 342
   1. CAI의 의미 = 342
   2. CAI 유형 = 346
   3. CD-ROM Title = 348
  제3절 원격교육 = 349
   1. 원격교육의 의미 및 특성 = 349
   2. 원격교육의 발달과 활용매체 = 352
   3. WBI = 35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