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725425 | |
005 | 20211103143126 | |
007 | ta | |
008 | 011031s2001 ulka 000c kor | |
020 | ▼a 8977753546 ▼g 0319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202091 ▼f 개가 ▼l 111202092 ▼f 개가 |
082 | 0 4 | ▼a 370.1 ▼2 21 |
085 | ▼a 370.1 ▼2 DDCK | |
090 | ▼a 370.1 ▼b 2001f | |
100 | 1 | ▼a Kant, Immanuel, ▼d 1724-1804 ▼0 AUTH(211009)136412 |
245 | 1 0 | ▼a 칸트의 교육학 강의 : ▼b 교사와 부모를 위한 칸트의 교육론 / ▼d 칸트 지음 ; ▼e 조관성 옮김 |
246 | 1 9 | ▼a Über Pädagogik |
260 | ▼a 서울 : ▼b 철학과 현실사, ▼c 2001 | |
300 | ▼a 21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연보수록 | |
700 | 1 | ▼a 조관성, ▼d 1955-, ▼e 역 |
900 | 0 0 | ▼a 칸트,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416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0209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020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511226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416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0209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112020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0.1 2001f | 등록번호 1511226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지은이)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 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조관성(옮긴이)
전북대에서 철학과 교육학을 공부한 뒤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가톨릭 학술재단 장학생으로 프라이부르크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인교육대 윤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4 들어가는 말 = 15 Ⅰ. 본론 = 53 Ⅱ. 자연적 교육 = 58 Ⅲ. 여러 가지 능력들을 기르고 키우는 일 = 87 Ⅳ. 마음의 능력들 또는 정신의 능력들을 기르고 키우는 일 = 99 Ⅴ. 도덕성을 기르고 키우는 일 = 135 Ⅵ. 실천적 교육 = 156 역자 주 = 203 칸트 연보 = 207 교사들의 후기 =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