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 증보판에 부치는 서문 = 9
서문 = 17
제1장 서론 = 21
제2장 현상학, 해석학, 수용이론 = 34
서론 = 34
훗설의 현상학 = 36
현상학적 비평 : 제네바학파와 성서적 적용 = 42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론 = 47
반 고호의 '구두'와 하이데거의 이데올로기 = 52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 58
야우스, 이저의 '수용이론' = 64
가다머, 야우스, 이저의 성서 해석학적 의미 = 68
허쉬의 전통적 해석학 = 76
허쉬와 신학적 해석학 = 80
제3장 기호학, 형식주의, 구조주의 = 83
서론 = 83
소쉬르의 구조주의적 기호학 = 84
롤랑 바르트의 사회 기호학 = 94
러시아 형식주의와 쉬클로프스키의 '생소성' = 98
쉬클로프스키의 생소성과 예수의 문학적 장치 = 102
프로프의 민담적 구문론과 캠벨의 신화적 구문론 = 105
이야기의 구문론과 요나, 예수의 구속사 = 109
로만 야콥슨의 구조주의적 언어학 = 117
야콥슨의 메타포/미타니미와 성서 시학 = 121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 = 129
구조주의와 성서 해석학 = 137
구조주의 비평과 초월적 해석학 = 144
제4장 후기 구조주의 = 149
서론 = 149
데리다의 해체주의 = 151
해체, 사신론(死神論)의 해석학, 非/신학 = 169
푸코의 담론과 권력 = 179
푸코의 에피스테메, 권력, 신학적 담론 = 196
후기 구조주의의 논리 = 205
제5장 정신분석학 = 210
서론 = 210
메타 심리학의 모델 = 212
모순의 이원론 = 216
쾌락 원칙과 현실 원칙 = 228
억압 = 235
놀기와 예술 = 237
종교 = 242
라깡의 구조구의적 정신분석학 = 246
노만 홀랜드의 독자 반응 비평 = 256
해롤드 블롬의 의의푸스 컴플렉스 = 258
볼로시노프의 사회학적 프로이트 비평 = 260
제6장 프랑크푸르트학파 = 265
서론 = 265
호르카이머의 사회철학 = 267
폴록의 경제학 = 272
호르카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 = 274
아도르노의 부정의 변증법 = 279
로웬탈의 문학 비평 = 287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신학적 의미 = 291
제7장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298
뤼시엥 골드만의 발생론적 구조주의 = 298
알튀세르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305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적 생산의 장' = 322
제8장 상승적 해석학과 메타비평 = 334
이야기와 해석 = 334
단테의 4층적 해석학 = 343
프라이의 4단계 해석학 = 350
제임슨의 3지평 해석학 = 358
제9장 신학적 담론의 수사학 = 368
이야기성과 신학적 역사 서술의 플롯 = 368
시학적 신학과/또는 신학적 시학 = 378
화체론(化體論)의 시학적 신학 = 383
제10장 노드롭 프라이의 조직 시학과 조직 신학 = 387
역사비평 : 양태의 단계론 = 389
윤리비평 : 의미의 단계론 = 397
신화비평 : 원형의 양극 = 406
조직 시학과 조직 신학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