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 ⅲ
서문 = ⅴ
제Ⅰ부 읽기와 읽기 지도
제1장 읽기의 본질 = 3
1. 읽기의 개념과 읽기관 = 3
2. 읽기의 과정 모형 = 9
3. 읽기 능력, 읽기 기능, 읽기 전략 = 15
제2장 읽기 지도 이론의 흐름 = 21
1. 교육의 패러다임 = 21
2. 읽기 지도의 패러다임 = 24
3. 읽기 연구와 읽기 지도의 관계 = 30
4. 읽기 지도의 새로운 변화 = 37
제3장 전략중심의 읽기 지도 = 45
1. 읽기 지도의 성격 = 45
2. 읽기 지도의 초점 = 47
3. 읽기 수업의 구성 = 56
4. 읽기 수업모형의 유형 = 67
제Ⅱ부 지식과 독해, 어휘
제1장 어휘와 텍스트의 이해 = 85
1. 어휘의 개념 = 85
2. 어휘관의 변화 = 88
3. 어휘와 담화장 = 92
4. 텍스트와 어휘의 관계 = 97
제2장 스키마와 독해 = 101
1. 지식관의 변화 = 101
2. 지식 표상과 스키마 = 103
3. 스키마 이론의 역사 = 108
4. 스키마와 텍스트 = 113
5. 스키마의 유형과 독해 지도 = 120
제3장 텍스트 독해와 독해 단서 = 131
1. 독해와 독해 지식 = 131
2. 텍스트와 독해 단서 = 138
3. 독해 단서 지도의 구성 = 147
4. 독해 단서 지도의 의의 = 152
제4장 독해전략의 유형 = 157
1. 읽기 지도와 독해 = 157
2. 독해 능력, 독해 기능 = 161
3. 독해전략의 유형 = 171
4. 독해전략과 수업모형 = 177
제Ⅲ부 읽기의 교수학습
제1장 읽기 교수학습의 설계 = 193
1.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읽기 = 193
2. 읽기관과 읽기 교수학습의 배경 = 195
3. 읽기 교수학습의 전제 = 202
4. 읽기 교수학습의 층위와 전략의 유형 = 207
제2장 읽기 학습의 구성 = 217
1. 읽기 학습의 전제 = 217
2. 읽기 학습의 성격 = 220
3. 읽기 학습과 독이성 = 225
4. 읽기 학습 제재의 구성 = 233
제3장 읽기 교재의 구성 = 243
1. 교육의 관점 = 243
2. 교재의 구성 이론 = 251
3. 전략중심 읽기 교재의 구성 = 261
4. 읽기 교재 구성의 사례 = 265
제4장 읽기 평가의 유형 = 277
1. 교수학습법과 평가 기능 = 277
2. 읽기 평가의 대상 = 279
3. 읽기 평가의 수행 = 284
4. 읽기 평가의 사례 = 290
제Ⅳ부 현대 사회와 읽기
제1장 언어 기호와 읽기 지도 = 303
1. 미디어 문화와 언어 사용 = 303
2. 열린 교육과 총체적 언어 학습 = 307
3. 의사소통과 기호 체계 = 309
4. 약호 체계와 읽기 학습 = 315
제2장 문식성과 매체 읽기 = 325
1. 매체 변화의 의의 = 325
2. 언어와 매체의 관계 = 328
3. 언어와 멀티미디어 매체의 관계 = 337
4. 매체 읽기의 전망 = 343
제3장 텍스트와 어휘 지도 = 347
1.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 = 347
2. 어휘와 이해의 관계 = 349
3. 어휘 지도의 유형 = 354
4. 어휘 지도의 실제 = 359
제4장 독서와 현대문화 = 367
1. 독서의 현대적 의미 = 367
2. 책의 역사와 출판 = 369
3. 독서 지도의 방향 = 373
4. 독서 지도의 구성 = 377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01